• 제목/요약/키워드: Tooth mouss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QLF-D를 이용한 fTCP와 CPP-ACP의 재광화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Remineralization Effect of fTCP and CPP-ACP using QLF-D)

  • 강용주;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3-139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개발된 fTCP와 현재 치과임상에서 재광화 크림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PP-ACP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QLF-D를 이용하여 인공우식병소에서 fTCP와 CPP-ACP의 무기질소실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우치시편은 탈회용액에 10일간 보관하여 인공우식병소를 형성하였고, 무작위로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10% CPP-ACP가 포함된 Tooth Mousse 군이고, 2군은 fTCP가 포함된 Clinpro Tooth Creme군이다. 두 종류의 치아크림을 각각 탈회병소에 바르고 1주일간 인공타액에 침전 후 QLF-D를 이용하여 병소의 형광소실량(${\Delta}F$)을 평가하였다. QLF-D 분석결과 Tooth Mousse군은 처치 후에 ${\Delta}F$값과 ${\Delta}Fmax$값이 각각2.65, 6.63 증가하여 무기질 소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p<0.05)한 반면, Clinpro Tooth Creme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Delta}Fmax$값에서는 처치 후 Tooth Mousse군이 Clinpro Tooth Creme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므로 10% CPP-ACP가 포함된 Tooth Mousse는 fTCP가 포함된 Clinpro Tooth Creme보다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CPP-ACP 함유 크림과 불소가 초기 인공우식 법랑질에 미치는 재광화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REMINERALIZATION EFFECTS USING CPP-ACP AND FLUORIDE ON THE ARTIFICIAL ENAMEL LESION)

  • 김기백;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8-45
    • /
    • 2009
  • 본 연구는 상품화된 10% CPP-ACP 크림 (Tooth mousse, GC Co., Japan)이 0.05 % NaF 불소 용액 매일 양치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 탈회 병소를 가진 우치 법랑질에 대해 10일간 위 두 가지 방법 단독 혹은 복합 사용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0.1% thymol 용액에 냉장 보관한 소의 치아를 교정용 레진 (Orthodotic resin, Dentsply international Inc., USA)에매몰한 후 탈회 용액에 96시간 보관하였고, 총 60개의 시편을 5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비처치군 (1군), 0.05% NaF 용액 1분 (2군), Tooth mousse 3분 (3군), 0.05% NaF 용액 1분 처리 후 Tooth mousse 3분 (4군), Tooth mousse 3분 처리 후 0.05% NaF 용액 1분(5군). 재광화 정도는 10일간의 시편 처리 전 후의 Vickers hardness number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군에서 시편 처리 전후의 표면경도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3, 4, 5 군에서만 유의할만한 표면 경도 증가가 나타났다(P < 0.05). 2. 각 군별로 평균 표면 경도 증가량은 5 > 4 > 3 > 2 > 1 군 순이었고, 각 군의 표면경도 증가량을 one-way ANOVA test로 비교분석한 후 Duncan test로 사후 검정한 결과, 4, 5 군은 1, 2, 3 군과 유의할만한 표면경도 증가를 보였으며 (P < 0.05), 다른 군들 간에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Tooth mousse를 우치에 10일간 적용시킨 결과 0.05% NaF 용액보다 더 많은 표면경도 변화량을 나타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Tooth mousse 사용은 불소 양치가 용이하지 않은 환자들에게 양호한 대체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불소 적용시 Tooth mousse를 복합 사용하는 것이 추천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effect of desensitizing agents on the retention of crowns cemented with luting agents: an in vitro study

  • Jalandar, Sonune Shital;Pandharinath, Dange Shankar;Arun, Khalikar;Smita, Vaidy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4권3호
    • /
    • pp.127-133
    • /
    • 2012
  • PURPOSE. Many dentists use desensitizing agents to prevent hypersensitivity. This study compared and evaluated the effect of two desensitizing agents on the retention of cast crowns when cemented with various luting agent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prepared with flat occlusal surface, 6 degree taper and approximately 4 mm axial length. The prepared specimen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each group is further divided into 3 subgroups. Desensitizing agents used were GC Tooth Mousse and $GLUMA^{(R)}$ desensitizer. Cementing agents used were zinc phosphate, glass ionomer and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ndividual crowns with loop were made from base metal alloy. Desensitizing agents were applied before cementation of crowns except for control group. Under tensional force the crowns were removed using an automated universal testing machin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one-way ANOVA followed by Turkey-Kramer post hoc test at a preset alpha of 0.05. RESULTS.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exhibited the highest retentive strength and all dentin treatments resulted in significantly different retentive values (In Kg.): GLUMA ($49.02{\pm}3.32$) > Control ($48.61{\pm}3.54$) > Tooth mousse ($48.34{\pm}2.94$). Retentive strength for glass ionomer cement were GLUMA ($41.14{\pm}2.42$) > Tooth mousse ($40.32{\pm}3.89$) > Control ($39.09{\pm}2.80$). For zinc phosphate cement the retentive strength were lowest GLUMA ($27.92{\pm}3.20$) > Control ($27.69{\pm}3.39$) > Tooth mousse ($25.27{\pm}4.60$). CONCLUSION. The use of $GLUMA^{(R)}$ desensitizer has no effect on crown retention. GC Tooth Mousse does not affect the retentive ability of glass ionomer and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but it decreases the retentive ability of zinc phosphate cement.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 재흡수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Fluoride Recharging on Fluoride Release and Surface Properties of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 변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8-226
    • /
    • 2018
  • 불소 적용 후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 종류에 따른 불소의 재흡수성과 표면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불소가 방출되지 않은 복합레진 Transbond $XT^{(R)}$, 불소 방출성 복합레진 $Blugloo^{(R)}$$LightBond^{(R)}$,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Rely $X^{TM}$ Luting $2^{(R)}$, 재래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R)}$를 사용하였다. 시편에서 방출되는 불소 방출량을 측정하였고, 불소 재흡수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편에 3가지의 불소 제품(APF gel,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을 도포하였으며,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여 불소방출량 변화를 측정하였고, 표면조도 측정기와 FE-SEM을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 조도 및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에서는 다른 불소 제품인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뿐만 아니라 불소함유 치약으로 잇솔질한 후에도 불소의 재흡수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Tooth Mousse $Plus^{(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서 부분적인 미세 필러 입자의 탈락을 보였다. Fluor Protector를 도포한 후에는 Transbond $XT^{(R)}$, Rely $X^{TM}$ Luting $2^{(R)}$를 제외하고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교정용 접착제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기포가 생긴 부분을 제외하고 매끄러운 양상을 나타내었다. 모든 교정용 접착제에 APF gel을 도포했을 때는 표면 조도 값이 유의하게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때 치아우식 예방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불소 방출량을 고려한다면 Rely $X^{TM}$ Luting $2^{(R)}$와 Fuji $I^{(R)}$가적극 추천되며, 불소 제품으로는 Tooth Mousse $Plus^{(R)}$, Fluor Protector가 APF gel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불소가 함유된 치약으로 잇솔질을 하였을 때도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탄산음료에 의해 부식된 법랑질 표면변화에 대한 증례발표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EFFECT OF ACIDIC DRINK ON ENAMEL EROSION : A CASE REPORT)

  • 김수연;박재홍;김광철;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9-515
    • /
    • 2008
  •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산성 음료의 소비는 치아 부식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성 음료와 산부식 용액, 산성 음료 적용 후 칫솔질, 산성 음료 적용 후 우유, 타액, Tooth $Mousse^{(R)}$ 의 적용이 치아 법랑질 표면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소구치의 치관 시편을 제작하여 각각을 적용시킨 후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SEM)를 촬영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ca-Cola와 Chilsung-Cider의 산도는 FineEtch 37과 self-etching primer인 $Tyrian^{TM}SPE$의 산도보다 높았다. 2. Coca-Cola, Chilsung-Cider, FineEtch 37, $Tyrian^{TM}SPE$를 적용한 후 촬영한 SEM 사진에서 법랑질 표면의 부식된 양상을 비교한 결과 Coca-Cola와 Chilsung-Cider의 산부식 정도가 나머지 둘의 산부식 정도보다 낮은 양상을 보였다. 3. Coca-Cola, Chilsung-Cider를 적용한 후 우유, 타액, Tooth $Mousse^{(R)}$를 적용시키고 촬영한 SEM 결과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부식된 법랑질 표면보다 덜 부식된 양상을 보였다. 4. Coca-Cola를 적용시킨 다음 칫솔질한 후와 Coca-Cola, 타액, 칫솔질의 순서로 적용한 후 촬영한 SEM 결과, 타액을 적용시킨 법랑질의 표면이 덜 부식된 양상을 보였다.

  • PDF

QLF를 이용한 항우식 제품의 인공우식 재광화 효과에 대한 연구 (REMINERALIZATION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ANTICARIOGENIC PRODUCTS ON ARTIFICIAL CARIES LESION USING QLF)

  • 송주현;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7-296
    • /
    • 2008
  • 본 연구는 항우식 제품인 저농도의 불소 양치액(500 ppm NaF)과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를 포함하는 치아 연고, 그리고 이 두 제품을 같이 사용했을 경우, 인공 우식 병소의 재광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3대구치 협면에 인공우식을 유발하였고, 시편을 16개씩 4군으로 나누어, 28일 동안 매일 2 회 다음과 같은 항우식 제품을 시편에 처리하였고, pH 순환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1군: 대조군(무처치) 2군: Tooth $Mousse^{(R)}$ (GC Co. Japan) 3군: 치카치카$^{(R)}$ (삼일제약. 한국) 4군: 치카치카$^{(R)}$+Tooth Mousse$^{(R)}$ 무기질 소실량(${\Delta}Q$)의 장기적인 변화를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elta}Q$는 1군에서는 28일동안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군과 3군에서는 처치전에 비해 14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4군에서는 7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2. ${\Delta}Q$는 1군 < 2군, 3군 < 4군 순이었다. 3. ${\Delta}Q$는 1군과 비교시 2군은 7일, 3군과 4군은 3일부터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고, 2군은 3군과 전 기간 동안 유의차가 없었다. 4군은 2군과 3군에 비해 28일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4. 모든 군에서 재광화 속도는 점차 감소하였다.

  • PDF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필름의 법랑질 재광화효과 (Effect of Polymer Adhesive Film Supplemented 5% NaF on Enamel Remineralization)

  • 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8-224
    • /
    • 2014
  • 이 논문은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와 QLF의 ${\Delta}F$ 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이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하였다. 시편을 탈회한 후 표면미세경도가 평균 50-100 KHN의 범위를 갖고 QLF의 ${\Delta}F$ 값이 -25에서 -15 범위를 갖는 60개의 시편들을 4그룹으로 나누었다 : 그룹1(대조군), 그룹2(NaF-PVA), 그룹3(불소바니쉬, FluoroDose$^{(R)}$ varnish), 그룹4(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Tooth mousse plus$^{TM}$). 시편들에 각 제제들을 적용하고 인공타액(artificial saliva)에 담근 후 표면미세경도계와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재광화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은 그룹1과 4보다 뛰어나며 그룹3과 견줄만한 재광화 효과를 나타냈다 (p<0.05).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BODY USING THE SILICONE INDEX TOOTH TRAY IMPRESSION SYSTEM

  • Lee, Kyu-Young;Jeong, Seung-Mi;Shim, June-Sung;Choi, Byeong-Gap;Lee, Keun-Woo;Kim, Han-Su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22-27
    • /
    • 2008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ITT (Silicone Index Tooth Tray) impression system and to determine whether providing space for wash impression material in SITT is a necessary step in obtaining accurate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 After mounting metal dies with shoulder and chamfer margins arbitrarily, SITT was fabricated using Blu-mousse$^{(R)}$. To test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ITT system for margin design, the shoulder margin and chamfer margin were evaluated. Furthermore, to test the effect of space for wash impression material, 0.5mm space in SITT and zero space in SITT were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shoulder margin and that with chamfer margi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0.5mm space and that with zero space for wash impression material. Conclusions :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ITT system did not interfere with the margin design. Space for the wash impression material was also unnecessary.

  • PDF

Silicone Index Tooth Tray를 이용한 인상체의 체적안정성에 대한 연구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BODY USING SILICONE INDEX TOOTH TRAY IMPRESSION SYSTEM)

  • 이규영;정승미;심준성;최병갑;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22-632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Silicone Index Tooth Tray impression system which does not use gingicord has a shortcoming. It takes time to remove internal wall of Silicone Index Tooth Tray for space of wash impression material.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providing certain space to impression body can prevent from doing complicated laboratory work. Material and methods: After mounting metal dies with shoulder and chamfer margins arbiturarily, SITT was produced using $Blu-mousse^(R)$. In one experimental group, wash impression was taken using $Fit-tester^(R)$ without removing interior surface of SITT and in the other group, wash impression was taken using $Fit-tester^(R)$ providing 0.5mm space in the SITT and then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wo groups.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which did not allow space and a group which granted equal 0.5mm spac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ngival diameter, occlusal diameter of metal die that has shoulder margin and gingival diameter, occlusal diameter of metal die that has chamfer margi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which did not take pick-up impression and a group which took pick-up impression through relining method using SITT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that poured immediately after taking primary impression and a group that poured after removing poured stone die. Conclusions: When taking an impression of an abutment using SITT impression system, it is considered to obtain clinically identical results between a group that did not grant a 0.5mm space within SITT for wash impression and a group which invest a space.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produce an individual die through secondary pouring.

교정용 브라켓 주위의 불소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비교 (Comparison of Prevention Methods against Enamel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 Using Fluoride)

  • 모혜림;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3-300
    • /
    • 2019
  • 고정식 교정 장치 치료의 흔한 부작용으로 구강 위생이 불량한 환자에서 브라켓과 밴드에 인접한 법랑질의 탈회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불소를 이용한 다양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중 고정식 교정장치 주위의 탈회 예방에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된 소의 절치 8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 (I군) 대조군, (II군) V $varnish^{TM}$, (III군) Tooth Mousse $Plus^{(R)}$, (IV군) $Vanish^{TM}$ XT. 각 군 별로 처리 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0일, 30일, 60일, 90일에 무기질 소실량과 비커스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무기질 소실량은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면미세경도는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IV군이 브라켓 주위 법랑질 탈회 방지에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III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를 보였지만, 다른 군보다는 그 효과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