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eruption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5초

A Ret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of Delayed Eruption of Premolars in the Mandible

  • Sookyung Park;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Young-Jae Kim;Hong-Keun Hyun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9-48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delayed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spontaneous erup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y. The prevalence of delayed mandibular premolar eruption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comprising 254 patients (aged 9 - 15 years), was 5.1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most affected (4.39%) compared to the first premolars (0.7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Among the treated mandibular premolars, primary molar-related lesions were identified as the leading cause (7.85%) of delayed tooth eruption.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based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Teeth with Nolla stage 7 or lower had a treatment duration of 22.89 ± 11.96 months, whereas those with stage 8 or higher had a 15.02 ± 6.34 month duration. The deeper the tooth was located in the bone,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became.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 and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tment durations for affected mandibular premolar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impaction angle of inclination. In this study, the treatment duration for delayed eru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Variations in the impaction depth and inclination angle across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s explored in this study, might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management options for delayed tooth eruptions.

혼합치열기의 함치성 낭종 치료 시 영구치의 맹출과 자가치아이식 (ERUPTION AND AUTOTRANSPLANTATION OF A PERMANENT TOOTH RELATED TO DENTIGEROUS CYST IN MIXED DENTITION)

  • 최지욱;최종명;차인호;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62-466
    • /
    • 2009
  • Purpose: Dentigerous cyst is the most common intra-osseous lesion of the jaw. Dentigerous cysts can cause delays in eruption of the affected permanent tooth in mixed denti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ffected permanent tooth could be erupted spontaneously after the dentigerous cyst was enucleated. But in some cases, orthodontic treatment or autotransplantation technique is known to be required. This study reviews previously performed prognoses of affected permanent teeth, which will lead to a more efficient treatment plan. Patients and Methods: With 28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yst enucleation and 10 patients who have undergone autotransplantation, the prognosis of permanent teeth was observed. Results: After cyst enucleation, spontaneous eruption of a permanent tooth was observed in 56.3% patients, orthodontic treatment was performed in 25% patients. The success rate of autotransplantation was 60.0%. Discussion: The first choice for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n mixed dentition is to guide spontaneous eruption of permanent teeth. For cases without enough eruption space, the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uto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spontaneous eruption is not expecte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ate of successful autotransplantation is decreased on maxilla anterior area.

구개측 매복된 상악 견치의 교정적 치험례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 감동훈;김정욱;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7-133
    • /
    • 1998
  • An impacted tooth is defined pathologically as a tooth that remains under the mucosa of inside bone without eruption of the crown after a specific period of eruption. Clinically, the term includes those teeth, even before eruption period, that are not expected to erupt due to shape, position and alignment of tooth and lack of space. Canine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because it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The impaction incidence of maxillary canine is repoted 0.92$\sim$3.3% (Ferguson, 1990). In 1995 Orto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was 0.92$\sim$2.2% and palatal impaction was more frequent than labial impaction(85%:15%). In 1969 Johnston presented it was more common to woman than to man(3:1). The etiology includes systemic disease such as endocrine disorder, cleidocranial dysostosis, irradiation, Crouzon syndrome, ricketts, facial hemihypertrophy and hereditary and local problems such as ectopic position of the tooth, distance of tooth from its place of eruption, malformation of the tooth, presence of supernumerary teeth, trauma of tooth germ, infection of tooth germ, displacement of tooth germ or tooth by a neoplasm, ankylosis, overretention of deciduous predecessor, lack of space for the tooth in the dental arch and mucosal barrier due to gingival fibrosis.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assumes an important role esthetically as it is located at mouth angle. If left untreated, it may cause migration and external, internal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loss of arch length, formation of dentigerous cyst or tumors, infection and referred pain as well as malposition of the tooth. Therefore, periodic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and eruption of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in a growing child.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of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utilizing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on patients visiting SNUDH dept. of pediatric dentistry.

  • PDF

Miniplat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사용한 심도있는 매복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 치료: 증례보고 (Use of a Miniplate for Skeletal Anchorage in the Forced Eruption of a Severely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Case Report)

  • 임재성;윤현중;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85-189
    • /
    • 2011
  • Tooth impaction represents the stop of eruption by clinical and radiographical disturbance in eruption path or the dislocation of tooth germ. The most common factor in tooth eruption disorders are spacial deficiency with other causes reported to be odontogenic tumors, periodontal ligament injury, etc. Impac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is relatively rare and reported in about 3 out of 1,000 people. Because the second molars tend to erupt in a mesial direction, this situation can lead to serious problems if untreated, including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root resorption of the first molar. Treatment of this problem includes, surgical repositioning and orthodontic forced eruption. Because each procedure have the definit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nfluenced by circumferential environment, these have limits for successfu1 recovery as independent treatment. In a case at St. Mary's Hospital, we performed successful correction of a horizontal impacted mandibular second molar using a miniplate skeletal anchorage system. We introduce this treatment as a valid method for an impacted second molar and consider a oromaxillofacial surgeon's role in tooth movement treatment.

선생 유치의 외상 후 발생한 만곡된 하악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 맹출 : 증례보고 (Spontaneous Eruption of a Dilacerated Mandibular Central Incisor after Trauma of a Primary Tooth : Two Case Reports)

  • 장은영;이제식;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5-121
    • /
    • 2021
  • 치아 만곡은 치아의 치관부 혹은 치근부에서 발생한 장축의 갑작스러운 굽힘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선행 유치에 대한 기계적 외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만곡된 치아는 종종 맹출 장애를 동반한다. 치아 만곡은 하악에서 드물게 발생하지만, 함입과 같은 심한 외상성 손상 이후에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두 명의 환아에서 확인된 선행 유치의 함입성 외상 이후 발생한 하악 영구 중절치에서의 만곡에 대한 증례를 보고하고 있으며, 두 증례 모두에서 만곡 치아의 자발적 맹출이 관찰되었다. 첫 번째 증례는 치관과 치근의 경계부 주위에서 측방치근만곡을 보였으며, 두 번째 증례는 치관만곡을 보였다. 본 증례를 통해서 유치의 외상 이후 하악 영구 중절치에서 치관부 만곡 혹은 치관과 치근 경계부에서의 측방만곡이 관찰된다면, 만곡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해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소맹출하는 상악전치의 자가치아이식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ECTOPICALLY ERUPTING MAXILLARY ANTERIOR TEETH)

  • 손정민;김선미;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04-709
    • /
    • 2006
  • 이소맹출은 발육과정 중 그 발생지에서의 정상적 맹출 경로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의미한다. 이소맹출의 극단적인 형태로 전위가 있는데 이것은 두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이소맹출 및 전위된 치아의 치료는 치아가 맹출되는 방향, 치근단의 완성정도, 맹출공간의 존재여부 등에 따라 단순한 관찰에서 외과적 노출 후 교정적 견인까지 매우 다양하며, 위치 이상이 심한 경우에는 외과적 자가이식이나 발치를 고려할 수 있다. 이중 자가치아이식은 치아를 구강내의 한 위치에서 다른 발치와나 외과적으로 형성된 치조와로 이동시키는 술식으로, 치아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 이동에 제한이 있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는 술식이다. 본 증례들은 교정적 견인 및 배열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이소맹출하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견치를 자가이식함으로써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조기 맹출 소구치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THE EARLY ERUPTED FIRST PREMOLAR WITH FIXED APPLIANCE)

  • 황지원;김성오;최형준;최병재;손홍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7
    • /
    • 2011
  • 치아의 맹출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1/2~2/3이 완성(Nolla stage 7)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출은(emergence)하여 치근 형성이 완성되기 전에 교합평면에 도달한다. 조기 맹출이란 맹출이 가속화되어 정상 맹출 시기 보다 이른 시기에 맹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영구치의 조기 맹출은 매우 드물며 유치의 만성 치근단 주위염 등의 국소적 원인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상방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을 때 치아의 치관이나 치근의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계승 영구치가 조기 맹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의 조기 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영구치의 조기 맹출이 가능하다. 조기맹출 치아의 임상 소견으로는 심한 동요도와 저작 시 동통, 법랑질의 저석회화, 치아의 편향과 변위, 회전 등이 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미발육된 치근과 골지지의 부족 등이 있다. 조기 맹출 영구치의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만성적인 외상과 동통 및 부종이 있을 수 있고, 맹출 순서의 변경과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소구치 매복율의 증가, 치아의 변위와 회전이 야기될 수 있으며, 영구치의 탈락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조기 맹출 영구치의 경우 공간 유지 및 영구치 고정과 주위 조직의 회복, 치근 발육의 유도를 위해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전신 질환이 없는 만7세 여환이 상악 양쪽 제 1소구치의 심한 동요도와 동통을 주소로 치과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치근 형성이 거의 없이 양측 상악 제 1소구치들이 조기 맹출되어 심한 동요도와 부종 및 저작 시동통을 나타내어 상악 제 2유구치에 교정용 band와 spur를 이용한 구내 고정식 장치를 제작하여 14개월 간 장착하여 조기 맹출한 치아들을 안정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치근 형성을 도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이 동반된 제1대구치 수평매복의 맹출유도 : 증례보고 (Eruption Guidance of Horizontally Impacted Permanent First Molar with Primary Retention of Primary Second Molars: Case Reports)

  • 윤가람;이난영;이상호;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19-227
    • /
    • 2020
  • 치아 맹출은 치조골을 통해 치낭의 위치로부터 구강 내의 최종적인 교합 위치까지 치아가 이동해가는 복잡한 발육 과정이다. 치아의 맹출 장애는 맹출 일련의 단계 중 어느 단계에서도 일어날 수 있으며, 하악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 매복이 동시에 발생한 증례는 매우 드물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제2유구치의 일차성 만기잔존이 동반된 하악 제1대구치의 수평매복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일차성 만기잔존으로 맹출 지연된 하악 제2유구치는 발치하였고, 수평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는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였다. 이후 계승 소구치의 맹출 공간을 위해 공간획득을 도모하였고 계승 소구치의 변위가 개선되었으며 제1대구치는 정상적인 맹출이 유도되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교정적 치아 이동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YPERTHYROIDISM ON THE RATE OF ORTHODONTIC TOOTH MOVEMENT)

  • 김승혜;김성오;김철희;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2-206
    • /
    • 2010
  • 치아 맹출 속도는 여러가지 국소적 및 전신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 갑상선 호르몬은 치아 맹출 속도와 비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호르몬은 기초 대사율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과 영역과 관련하여 치아 맹출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만 11세 여아의 매복된 상악 견치의 교정적 견인 시 특정 시점에서 교정적 치아 이동이 빠르게 진행되었고, 이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나타난 시기와 일치하였다. 이는 혈청 갑상선 호르몬 수치와 교정적 치아 이동 속도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하악 영구 견치의 의원성 매복에 대한 증례 보고 (IATROGENIC IMPACTION OF LOWER LEFT PERMANENT CANINE : CASE REPORT)

  • 김송이;최성철;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39-344
    • /
    • 2008
  • 상악 영구 견치의 매복에 비해 하악 영구 견치의 매복은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치아가 매복된 경우 장애물 존재 여부와 매복 위치와 방향, 맹출 가능한 공간의 유무, 치근의 형성 단계 등의 요소에 따라 매복 치아의 발거 혹은 장애물의 제거 후 주기적 관찰, 맹출이 지연된 치아의 외과적 노출, 교정적 견인 등의 방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본 증례는 하악골의 골절 부위에 시행된 골간 강선 결찰과 미니 플레이트에 의해 하악 좌측 견치가 매복되어 있었던 경우로 CT 검사 결과 하악 정중부위 플레이트의 스크류가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전신 마취 하에 플레이트를 제거하였다. 이후 자연적인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맹출력이 부족하여 교정적 견인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