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bone

검색결과 943건 처리시간 0.023초

Overdenture 하에서 하악응력 및 의치의 변위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NDIBULAR STRESSES AND DENTURE MOVEMENTS INDUCED BY OVERDENTURES)

  • 김정희;정재헌;조규종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3-94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placement and the magnitude and the mode of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in the lower overdenture, the mucous membrane, the abutment tooth and the mandibular supporting bone when various denture base materials, such as acrylic resin and 0.5mm metal base, and various denture base design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loading schemes. For this study, the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Mandibular arch models, with only canine remaining, were fabricated. In the first denture base design, a space, approximately 1mm thick, was prepared between the denture and the dome abutment. In the second denture base design, contact between the denture and the dome abutment was eliminated except the contact of the occlusal third of the abutment. In order to represent the same physiological condition as the fixed areas of the mandible under loading schemes, the eight nodes which lie at the mandibular angle region, the coronoid process and the mandibular condyle were assumed to be fixed. Each model was loaded with a magnitude of 10 kgs on the first molar region(P1) and 7 kgs on the central incisal region (P2) in a vertical direction. Then the force of 10 kgs was applied distributively from the first premolar to the second molar of each model in a vertical direction(P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the testing vertical loads were given to the selected points of the overdenture, the overdenture showed the rotatory phenomenon, as well as sinking and the displacements of alveolar ridge, abutment and lower border of mandible under the metal base overdenture were less than those under the acrylic resin overdenture. 2. The maximum principal stresses(the maximum tensile stresses) being considered, high tensile stresses occured at the buccal shelf area,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idge crest and the an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ular ramus. 3. The minimum principal stresses(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es) being considered, high compressive stresses occured at the inferior and pos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le, the mandibular angle and the pos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ular ramus. 4. The vertical load on the central incisal region(P2) produced higher equivalent stress in the mandible than that on any other region(P1, P3) because of the long lever arm distance from the fixed points to the loading point. 5. Higher equivalent stress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metal base overdenture than the resin base overdenture under the same loading condition. 6. The case of occlusal third contact of the abutment to the denture produced higher equivalent stresses in the abutment, the mandibular area around the abutment and the overdenture than the case of a 1mm space between the denture and the abutment. 7. Without regard to overdenture base materials and designs, the amount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equivalent stresses under the same loading condition were similar in the mucous membrane.

  • PDF

소아청소년기 정상 교합 아동에서 경추골 및 수완부골 성숙도에 대한 하악골 성장의 연관성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OF CVM, SMI AND MANDIBULAR LENGTH WITH NORMAL OCCLUSION IN GROWING CHILDREN)

  • 김수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7-365
    • /
    • 2012
  • 교정치료에는 치아를 움직이는 치열교정치료와 골격적인 이동을 도모하는 악정형 치료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아동에서 특히 악정형 치료를 위해서는 골 성숙도와 성장 잠재력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6~13세 정상 교합 아동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과 수완부골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발달 단계를 평가하고 하악골 성장량을 비교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SMI와 CVM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5). 수완부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고, 경추골 성숙도가 증가할수록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이 증가하였다. 또한 Ar-Go, Co-Go, N-Go, S-Gn, N-Me, Co-Gn, Go-Me, Go-Gn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하악골 성장은 경추 및 수완부골 성숙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혼합치열기의 miniscrew를 이용한 교정치료 (ORTHODONTIC TREATMENT WITH MINISCREWS IN MIXED DENTITION)

  • 임수민;양연미;김재곤;백병주;이용훈;신정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67-375
    • /
    • 2008
  • 교정치료 시 고정원은 항상 염두에 두면서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인 고정원을 이용한 치료는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하고 원하는 치아이동에 대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견고한 구강 내 고정원이 요구되어져 왔으며 이를 위해 miniscrew가 임상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Miniscrew를 통한 고정원의 확보는 구외력 의존도 감소, 치료기간의 단축, 식립 후 즉시 교정력 적용, 환자의 협조도 불필요, 식립의 간편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는 성인에 비해 골질이 좋지 않아 miniscrew의 성공률이 성인에 비해 낮다. 그러나 일단 고정에 성공하면 많은 교정치료 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miniscrew를 이용하여 정중이개 및 정중선 불일치, 매복치에 대한 양호한 교정치료를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하악 전치 함입 시 변위양상의 3차원 유한요소분석 (3-D FEA on the intrusion of mandibular anterior segment using orthodontic miniscrews)

  • 박현경;성의향;조영수;모성서;전윤식;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84-398
    • /
    • 2011
  •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악 전치의 함입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분절의 크기에 따른 예측가능한 이동 양상에 대하여 보고된 바는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4전치와 6전치 분절 모델에서 미니스크류와 훅의 위치를 달리하여 함입력을 적용하였을 때 응력분포와 초기 변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악 전치와 치주인대,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미니스크류 및 호선상 훅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힘 벡터에 따른 치아의 3차원 각 평면에서의 변위량 및 von Mises 응력분포 양상을 비교하였다. 하악 4전치 분절에서는 함입력의 위치에 무관하게 공히 치관의 전방 경사가 발생하였으며 측절치 원심의 미니스크류와 후하방 힘을 가한 경우 경사 정도가 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6전치 분절의 함입 시 견치 전방에 위치한 미니스크류에 의해 역시 상당한 치관의 전방 경사 및 순측치경부 치근막에 von Mises stress가 집중되었으며 견치 후방에 위치한 미니스크류와 중절치-측절치 간 훅에 의한 힘에 의해 순수한 함입에 가까운 치아 변위 및 치근막 전체에 균일한 von Mises stress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악 전치의 함입이 요구되는 과개교합 증례에서 견치 원심측의 미니스크류와 중절치-측절치 간 훅을 이용한 후하방 힘에 의해 예측가능하게 하악 6전치의 순수한 함입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아 및 임플랜트 지지 고정성 국소의치에서 내가동 연결장치의 변형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A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DEFLECTION OF IMC IN THE TOOTH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

  • 김창호;최아영;계기성;조규종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8-329
    • /
    • 1997
  • A lot of the research paper was reported about the result of influence of IMC (Intra-mobile connector) in the IMZ implant placed solely in the alveolar bone, but reports about the effect of IMC on functional load at state of connecting with natural teeth ere rare. The major propose of this study was find the mechanical character of IMC itself by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fter simulated variance of condition connected with the natural teeth and implant on funcional load. When first and second premolar was lost, IMZ implant was placed with a diameter of 3.3mm and a length of 13mm with IMC in second premolar area. Rigid connection was done and the non-figid connention was located on the female part of the canine abutment and the implant respectively and then both the infraocclusion of $30{\mu}m$ and the non-infraocclusion under the load of 40kg applied to the portion of the natural teeth, the pontic and the implant. The displacement and the stress of it was estimated and analyzed IMC itself of the rigid connection and the non-rigid connection was grouped.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In all groups, the displacement of Y-axis was greater than that of X-axis and the aspect of displacement showed that IMC was displaced downward and to the center. 2.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displacement of IMC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type. 3. In the displacement of IMC, I 4 was the least, I 1 and I 3 are similar and I 2 was the greatest. 4.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peak value of maximal stress of IMC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type. 5. In the peak value of maximal stress of IMC, I 4 was the least, I 1 and I 3 were similar, and I 2 was the largest.

  • PDF

Obturator를 이용한 함치성 낭종의 처치 및 이환된 치아의 맹출 유도 (MANAGEMENT OF DENTIGEROUS CYST AND ERUPTION GUIDANCE OF INVOLVED TEETH USING OBTURATOR)

  • 임철승;임광호;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69-676
    • /
    • 1999
  • 함치성 낭종은 법랑질 형성이 완료된 후 법랑상피층 사이나 치관과 이 상피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어 발생한다. 10대와 20대에서 호발하며 6-7세는 9.1%를 차지한다. 또한 상하악 어느 곳에서나 발생될 수 있으나, 하악 제 3 대구치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며, 상악 견치, 하악 제 2 소구치, 상악 제 3 대구치 순으로 발생된다. 모든 악골 낭종 중 16.6%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약간 높은 발생 빈도를 나타낸다. 함치성 낭종의 치료로는 조대술과 적출술이 있는데 치아의 맹출력이 왕성한 연령이며 변위된 치아의 보존이 요구될 때는 조대술이 추천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함치성 낭종에 이환되어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obturator를 이용한 조대술을 시행하여 이환된 치아를 정상 위치로 맹출 유도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Obturator를 이용한 조대술만으로 함치성 낭종에 이환되어 심하게 변위되었던 영구치는 특별한 교정적 처치없이 대부분정상 위치로 맹출하였다. 2. 법랑질 저형성과 치근 형태 이상이 일부 증례에서 관찰되었다. 3. 골 팽창 부위와 결손 부위는 특별한 감염이나 재발 없이 치유되었다.

  • PDF

예후가 불량한 상악 중절치의 유지 (CONSERVATIVE TREATMENT OF A UPPER CENTRAL INCISOR WITH POOR PROGNOSIS)

  • 이두영;김승혜;최형준;최병재;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8-373
    • /
    • 2010
  • 상악 중절치는 저작시 음식물을 찢거나 자르는 기능 외에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며 상악 악궁의 형태 및 얼굴의 형태와도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발음을 하는데 있어서도 전치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후가 불량한 치아의 일반적인 치료는 발거 후 공간 유지장치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혼합치열기에 있어 상악 영구 중절치의 발거는 치조골의 흡수, 불량한 심미성, 발음과 저작의 문제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악 전치부의 치료는 보존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예후가 불량한 상악 전치부의 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환아의 나이, 성장 잠재력, 교합 관계, 구강 위생상태, 경제력 그리고 환아의 치료에 대한 협조도 등이 있다. 본 증례는 짧은 치근으로 인해 치아의 동요도가 있어 상악 좌측 중절치의 예후가 불안정함에도 불구하고 치아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통해 상악 좌측 중절치를 정상 위치로 배열하고 보존하였다. 짧은 치근과 치아 회전으로 인한 추가적인 치근 흡수와 치아 동요도 증가 등 예후가 불안정하였지만 환아의 심리적 안정성, 나이,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보존적인 치료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란트 CT에서 방향 표시자의 방향과 잔존골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 방향의 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cation rod of stent on implant CT and the real path of implant fixture insertion considering residual ridge)

  • 김도훈;허민석;이삼선;오성욱;최항문;전인성;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79-83
    • /
    • 2003
  • Purpose :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indicating rod of the radiographic stent for ideal prosthetic design and the actual possible path of implant fixture placement when residual ridge resorption is considere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materials consisted of 326 implant sites (male 214 cases and female 112 cases) from a total of 106 patients (male 65 patients and female 41 patients) who desired implant prostheses. Computed tomography of patients were taken and reformatted using ToothPix/sup (R)/ software. Bony defects, bony sclerosis, the change of the direction of indicating rod, and root proximity of the adjacent teeth were examined on the CT-derived images. Results: The rate of the irregular crestal cortex was relatively high on premolar and molar area of maxilla. Mandibular molar area showed relatively high rate of focal sclerosis on the area of implant fixture insertion. The position of the indicating rods were relatively acceptable on the molar areas of both jaws. However, the position of the indicating rods should be shifted to buccal side with lingual rotation of the apical end on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premolar area. Conclusion: Clinically determined rod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indicating rod for implant placement was not always acceptable for insertion according to the reformatted CT images. The pre-operative treatment plan for implant should be determined carefully, considering the state of the alveolar bone using the reformatted CT images.

  • PDF

골내 임프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국소의치 하에서 변위 및 응력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ES AND DEFLECTIONS INDUCED BY FIXED PARTIAL DENTURE USING ENDOSTEAL IMPLANT)

  • 최수호;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248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natatively analyze the stress patterns induced in the abutment, superstructure, supporting bone and to determine the deflection of abutment and superstructure by appling occlusal force to natural teeth supported fixed prostheses a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Th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using the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The implant and natural tooth-supported bridge has a first molar pontic supported by mandibular second bicuspid and implant posterior retainer, which were rigidly(Model A) or flexible(Model B). The natural teeth-supported bridge has a first molar pontic supported by mandibular second bicuspid and second molar, which were rigidly splinted together(Model C). 63.5kg(Load P1) of localized load on central fossa of first molar pontic and 24kg(Load P2) of distributed load on each occlusal surface were applied respectively. 1. The coronal portion of premolar pontic and posterior abutment in fixed partial denture deflected inferiorly in order of Model B, Model C and Model A under Load P1 and Load P2. 2. Mesial displacement of the coronal portion of premolar showed in Model A, Model B and Model C under Load P1, but mesial displacement of that in Model B and distal displacement of that in Model A and Model C showed under Load P2. 3. Mesial displacement of the coronal portion of the pontic and distal displacement of the coronal portion of posterior abutment showed in Model A, Model B and Model C under Load P1 and Load P2. Displacement in the case of Model B was greater than that of Model A and Model C. 4. In the case Model A under Load P1 and Load P2, high stress apically was concentrated in the mesiocervical portion of the posterior abutment than in the disto-cervical portion of the premolar. 5. In the case of Model B under Load P1 and Load P2 high stress was concentrated in the case of the premolar than in that of posterior abutment and high stress especially was concentrated in the connected portion of pontic and posterior abutment. 6. In the case of Model C under Load P1 and Load P2, high stress was concentrated in the distal area of the cornal portion of premolar and the mesial area of the coronal portion of posterior abutment, and stress pattern was anteroposterially symmetric around the pontic. 7. Load P1 and Load P2 compared, stress magnitude was different but stress pattern was similar in Model A, Model B and Model C. 8. Under Load P1 and P2, stress magnitude in the mesial distal portion and the portion of root apex of the posterior abutment was in order of Model B, Model A and Model C.

  • PDF

임플란트 보철방식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염 자각증상 및 만족도 (Subjective Symptoms of Peri-Implantiti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Prosthesis Methods)

  • 차지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5-182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 375명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 자각증상과 만족도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플란트 주위염 자각자율은 식편압입이 40.5%, 출혈 49.1%, 통증 61.1%, 입냄새 61.9%였고, 만족도는 3.95점이었다. 보철방식에서 임플란트-자연치 연결군이 식편 압입(21.3%), 통증(35.5%), 입냄새(36.6%) 모두 가장 낮았고(p<0.001), 출혈은 임플란트 단일군(33.8%)이 가장 낮았다(p<0.05). 만족도는 임플란트-자연치 연결군(4.06점)과 골 이식을 하지 않은 군(4.03점)이 높았다(p<0.01). 요인분석 결과 임플란트 만족도는 임플란트-자연치 연결군에 비해 단일 임플란트군은 0.43배, 임플란트-임플란트 연결군은 0.44배 낮을 가능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접한 자연치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면서 치아결손 부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은 임플란트-자연치 연결방식이므로 다각적 검토를 통해 적극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