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gue body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9초

혀에서 골성 이소종(osseous choristoma)에 대한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of osseous choristoma on the tongue.)

  • 박윤하;백진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10호
    • /
    • pp.548-554
    • /
    • 2018
  • Choristoma is a growth of normal tissue that occurs at an abnormal region. In the oral cavity, osseous choristoma that has a normal bone feature mainly has been appeared. It is mainly occurred on the tongue. So, It can be found in dental practice or in discomfort in the mouth. Osseous choristoma in the oral cavity is extremely rare. But It can be treated excision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The prognosis is very good. This case is a report of osseous choristoma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tongue. A 17-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a foreign body sensation of the tongue. A diameter of the mass is 0.7cm, and there is no pain. Panoramic radiographs showed a radiopaque image in the form of a double image. An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and diagnosed as an osseous choristoma. 12 months after the resection, there were no signs of recurrence. Intraoral osseous choristoma is very rare, but it is clinically very simple and can be found in dental radiographs. We present this case because of Dentists who examine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can easily diagnose the lesion and treat it by simple resection.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안면 및 혀의 크기에 대한 연구 (A size analy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배응권;;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5-870
    • /
    • 1997
  • 폐쇄성 수면무호흡(이하 OSA)환자의 일반적 특징의 하나로 다소 비대한 Submental부위를 든다. 따라서 근간에는 경부 주위의 측정을 임상적 진단의 한 보조방법으로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80명의 환자로 부터 직접위와 앙와위의 두 자세에서 각각 두 장의 측모두부방서선사진을 채득하여 OSA환자의 안면과 혀의 크기를 일반인의 그것과 비교 하였다. 채득된 실험자료는 각각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무증상군, 경미군 중증군 그리고 중중근으로 나누었다. 크기 측정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두 계측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모든 계측치의 합으로 해부학적 크기를 대신하였다. 결과로서, 안면의 크기가 혀의 크기보다 체중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증상의 심한 정도와는 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측정치 임을 알수 있었다. 혀의 크기가 증상의 정도에 비례함에 있어서 $1\%$의 유의차를 보였다.

  • PDF

Volumetric measurement of the tongue and oral cavity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 systematic review

  • Kannitha Alina, Aflah;Winny, Yohana;Fahmi, Oscanda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4호
    • /
    • pp.333-342
    • /
    • 2022
  • Purpose: The goal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compare the use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with that of computed tomography (CT) for volumetric evaluations of the tongue and oral cavity. Materials and Methods: A search for article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guidelines. The PubMed, Scopus, ScienceDirect, and SAGE Journals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1. Articles were screened and assessed for eligibility. Screening involved checking for duplication, reading the title and abstract, and reading the full text. Results: The initial search retrieved 25,780 articles. Application of the eligibility criteria yielded 16 articles for qualitative analysis. Multiple uses of CBCT were identified. In several studies, researchers assessed the volumetric correlation between tongue and oral cavity volumes, as well as other parameters. Post-treatment volumetric evaluations of the oral cavity were also reported, and the reliability of CBCT was assessed. The use of CT resembled that of CBCT. Conclusion: CBCT has been used in the evaluation of tongue and oral cavity volumes to assess correlations between those volumes and with the upper airway. It has also been used for volumetric evaluation after surgical and nonsurgical procedures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ongue volume, tooth position, occlusion, and body mass index. Participa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malocclusion have been evaluated, and the reliability of CBCT has been assessed. In the included studies, CT was utilized for similar purposes as CBCT, but its reliability was not assessed.

혀 유지구의 크기와 유지력 평가 (Size and Retention of Tongue Bulb for Tongue Retaining Device)

  • 박남선;이기호;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83-292
    • /
    • 2007
  • 구강장치를 이용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는 하악이나 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공간을 확보하는데,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MAA)와 혀견인장치(tongue retaining device, TRD)가 주로 이용된다. 이 중 혀견인장치는 전치의 순측에 위치되는 혀 유지구(tongue bulb) 속에 생기는 음압을 이용하여 혀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구강장치로서 단독 혹은 하악전방이동장치와 복합된 형태로 사용하여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혀견인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개개인에 적합한 혀 유지구의 크기를 조사하여 분류하고 혀 유지구의 크기와 유지력의 관계 및 신체적 변수와의 관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환자를 대상으로 하기에 앞서, 정상인 젊은 남성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투명 아크릴 레진 판을 이용하여 폭(27-36 mm)과 두께(8, 10 mm)를 달리한 20 가지 크기의 혀유지구를 제작하고 준비하였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36명의 젊은 남성 지원자들(평균연령: $24.47{\pm}2.58$세)을 대상으로 다양한 크기의 혀 유지구를 장착하여 유지력을 측정하여 최대유지력을 보이는 혀 유지구를 그 환자에게 적합한 크기의 유지구로 결정하고 측정한 값들을 기록하였다. 측정은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 모두에서 혀 유지구 크기에 따라 분류한 네 군의 유지력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즉, 피검자에게 가장 적합한 크기의 유지구로 조사한 결과 유지구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유지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체적 변수와 혀 유지구 크기 사이의 관련성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으며, 측정 자세에 따른 유지력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혀 유지구의 유지력은 유지구의 크기, 즉 혀의 부피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기도 공간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irway space and facial morphology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with nasal obstruction)

  • 정호림;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비폐쇄를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에서, 기도 공간의 형태와 안모 골격 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며, 비폐쇄 소견을 보여 이비인후과로 의뢰된 환아 100명의 초진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에서 상 인두기도 공간(upper PAS), 하 인두기도 공간(lower PAS), 편도의 크기, 구개-혀 공간을 측정하여 기도 공간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통상적인 계측점을 사용하여 안면 골격 분석을 시행하여 기도 공간 형태 계측항목과 안면 골격분성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Upper PAS는 ramal height, SNA, SNB, PFH, FHR, facial plane angle 항목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의 sum, SN-GoGn, Y-axis to SN, FMA 항목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Lower PAS는 genial angle, FM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rticular angle, facial depth, PFH, FHR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편도의 크기는 PCBL, ramal height, Mn. body length, Mn. body length to ACBL, facial depth, facial length, PFH, A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개-혀 공간은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genial angle의 합, facial length, AFH, FMA, LFH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MPA, overbite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개의 혀 뿌리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ase of the Tongue in a Dog)

  • 김세은;김승현;심경미;배춘식;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3
    • /
    • 2016
  • 혀 뿌리 부위의 종양, 특히 종양이 정상으로 보이는 점막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경우 발견하고 진단하기가 어렵다. 전산화단층촬영법, 특히 조영후 영상은 혀의 종양을 평가하고 경부 림프절을 포함한 인근 조직을 평가하기에 유용하다. 그러나 종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조직병리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개에서 혀의 뿌리부터 몸통에 걸쳐 종양이 발생하였으며 환자는 유연과다 및 섭식장애 증상으로 전원되었다. 구강검사 결과 혀의 운동성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혀 종양이 확인되었다. 2달 뒤 사후에 개의 혀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병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혀의 종양은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AIRWAY SIZ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 이용승;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29
    • /
    • 1995
  • 앵글씨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두부형태, 연구개, 혀 및 기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의 크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2세부터 17세 사이의 여성 환자 98명을 연구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에 관한 거리, 각도, 비율 및 면적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골체 길이, SNB,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B plane angle, Y axis to FH, SN-MP, Wits appraisal, ODI, APDI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 설골의 전후방위치는 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이 다른 군에 비해 후방 위치하였으나 상하방위치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비인두의 면적은 I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가 I급 부정교합자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 인두의 총면적은 II급 부정교합자가 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보다 작게 나타났다.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연구개, 혀,구인두 및 하인두의 면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하악지 고경과 하악골체 길이는 혀, 비인두, 구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SNA는 혀 및 기도의 크기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NB는 하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facial plane에 대한 상하악 중절치의 위치는 혀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수종의 코골이장치 장착에 따른 인두공간의 변화 (Changes of the Pharyngeal Space by Various Oral Appliances for Snoring)

  • 조철배;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47-256
    • /
    • 2009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대부분 상기도의 인두부위의 폐쇄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 부위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혀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구강내 장치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종류의 코골이장치 즉,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MAA), 혀견인장치(tongue retaining appliance, TRA), 하악-혀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tongue retaining appliance, MATRA )가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Class I 교합을 갖고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이 없으며 체질량지수 (BMI)가 정상인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상기 세종류의 코골이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MAA, MATRA의 하악전방이동량은 5mm로 TRA, MATRA의 혀전방이동량은 10-20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코골이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CO상태와 MAA, TRA, MATRA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모두부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 두경부 자세, 연구개와 설골의 위치와 관련된 20가지 측정항목에 대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MAA, TRA, MATRA 모두 상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나, MATRA 만이 하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MATRA가 MAA와 TRA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 혀의 비교형태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Tongue of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and Pipistrellus savii)

  • 박지원;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67-276
    • /
    • 2009
  •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한국산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와 검은집박쥐(Pipistrellus savii)의 혀유두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두 종 모두 세 가지의 혀유두, 즉, 실유두, 버섯유두 그리고 성곽유두가 관찰되었다. 실유두는 다시 두 종류로 세분화되어졌으며, 침상의 돌기물을 갖는 유형1은 혀의 전반부의 1/2 지점까지 분포하며, 유형2는 밋밋하고 두꺼운 돌기물을 갖고 있으며 혀의 후반부의 1/2에 분포한다. 두 종 모두 35~45개의 버섯유두가 혀의 표면에서 관찰된다. 이들 버섯유두는 혀의 측면과 혀의 전반과 후반부의 끝 쪽에서 나타난다. 두 종의 버섯유두는 각각 두 개 혹은 세 개의 매우 큰 유두로 혀의 후반부 중앙에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두 개의 성곽유두는 혀의 후반부 끝쪽 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다. 이들 성곽유두는 크고 둥글며 각각은 두 층의 pad를 갖고 있다. 긴가락박쥐와 검은집박쥐의 혀유두의 전체적인 형태는 다른 익수류와 유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종 사이에 드물지만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실유두와 버섯유두에서 나타났다. 검은집박쥐와는 달리 긴가락박쥐의 유형2의 실유두는 두 개 혹은 세 개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혀의 후반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큰 버섯유두의 경우, 긴가락박쥐에서는 3개, 검은집박쥐에서는 단지 2개만 관찰되었다.

1개월 이상 지속된 하인두 이물의 1례 (A Case of Hypopharyngeal Foreign Body Persisted for More Than 1 Month)

  • 김태현;임권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4-167
    • /
    • 1995
  • Foreign holies in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re an important cause of morbity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nd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Fish and chicken bones are the usual foreign bodies lodged in the hypopharynx, and most of them lodge In the lower pole of a tonsil, at the base of the tongue, at the lateral wall of the pharynx, or in a vallecula. Recently,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spiration pneumonia caused by chronic local inflammatory reaction of the posterior wall of the hypopharynx originated from a special foreign bo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