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llgate Work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톨게이트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among Tollgate Female Workers on Turnover Intention)

  • 최수찬;이은혜;이소민;조영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61-572
    • /
    • 2018
  • 톨게이트 여성근로자는 유사 서비스 직종 중에서도 직무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직종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년 5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할당추출법으로 표집한 톨게이트 여성근로자 183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톨게이트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장-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 사이에서 직장-가정갈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는 첫째, 톨게이트 여성근로자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 활동이 선행되어 이를 토대로 맞춤형 프로그램의 제안이 필요하고, 둘째, 조직차원의 심리 사회지원 프로그램(근로자지원프로그램: EAP) 도입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셋째, 톨게이트 여성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대기오염이 고속도로 톨게이트 근무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Health Effect of Air Pollution among the Express-way Tollgate Workers in Seoul)

  • 차철환;염용태;김영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5
    • /
    • 1988
  •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오염의 농도가 지극히 심할 것으로 예측되는 고속도로 서울톨게이트에 근무하는 근로자 37명과 사무직 15명을 대상으로 혈액 및 요중 납함량과 요중 코프로포르피린을 정량하고 임파구 중 자매염색분체 교환빈도를 계산하여 인적특성에 따라 비교 검토하였다. 한편 대기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1986년 4월부터 약 3개월에 걸쳐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부유분진, 납, 벤조파이렌 등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들을 톨게이트 근무자가 근무하는 위치의 공기 중에서 정량하였다. 이들 성적을 비교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톨게이트 내의 공기 중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부유분진, 벤조파이렌, 납량 등이 서울시내 일반 대기보다 월등히 높았다. 2. 톨게이트 근로자의 혈중 납량, 요중 납 및 포프로포르린량, 그리고 임파구 내의 자매염색분체 교환빈도의 평균치가 사무직근로자보다 유의하고 높았다.

  • PDF

간이 폐기능측정기 (mini-Wright)와 비강세척액 (Nasal Lavage)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과 호흡기 건강영향 분석 (Effects of Ambient Air Pollution on Respiratory Health of Workers at Highway Tollgate)

  • 이종태;정용;현연주;조혜련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1_2호
    • /
    • pp.21-33
    • /
    • 1999
  •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indicated associations between the impairment of respiratory health and exposure to ambient air pollutants such as ozone (O$_3$) , nitrogen dioxide (NO$_2$) , sulfur dioxide(SO$_2$) , particulate matters (PM$\_$10/). To evaluate this associations, we used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peak expiratory flow rate : PEFR) by mini-wright peak flow meter and counting neutrophils in the nasal lavage (NL) as biomarker. From 15 June to 16 July 1998, for the workers in the highway tollgates, PEFR and NL were measured three times daily and twice per week. and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air pollutants and PEFR and NL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the poisson regression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all measured air pollutants (SO$_2$, NO$_2$, O$_3$, PM$\_$10/)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PEFR. On the other side, SO$_2$, NO$_2$, PM$\_$1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neutrophils in NL. The increase in SO$_2$, NO$_2$of 10ppb and in PM$\_$10/ of 10$\mu\textrm{g}$/m$^3$was associated with 24%, 21%, 35% increases in neutrophil counts. But the ozone exposure was not associated with NL.

  • PDF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스 내 공기 중 PM10의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PM10 in Expressway Toll Booths)

  • 남미란;피영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1-15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PM_{10}$ concentrations at eight highway tollgate boo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7. Methods: A total of 1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ight toll booths. Each $PM_{10}$ sample was collected using a 37 mm PTFE filter attached to a Personal Environment Monitor. Results: The geometric mean concentrations of $PM_{10}$ in the toll booths was $83.51{\mu}g/m^3$. The mean $PM_{10}$ concentrations measured on freight roadway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measured on general roadways($102.46{\mu}g/m^3$ and $68.05{\mu}g/m^3$, respectively). $PM_{10}$ was revealed to be higher in the morning($105.59{\mu}g/m^3$) than at dawn or in the afternoon($71.26{\mu}g/m^3$ and $61.22{\mu}g/m^3$, respectively). The mean $PM_{10}$ concentration in toll booths ventilated through an air conditioner was higher than that for those using a window or no ventilation. The rate of exceeding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aintenance Limit($200{\mu}g/m^3$) was 6.25%, and the rate of exceeding the Ministry of Labor Recommended Limit($150{\mu}g/m^3$) was 12.5%. Conclusions: In order to protect the health of toll booth workers exposed to airborne dus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exposure level from indoor air quality on a regular basis and to manage i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