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lerance on Violenc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Dating Violence Victim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Violence Tolerance)

  • 김래은;구상미;송민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1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U대학교 4개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 및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계층적 다중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대생의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 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였다. 둘째, 폭력 허용도는 모든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행동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2%로 나타났다. 셋째, Sobel 검증 결과 첫 번째 단계에서 여대생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은 폭력에 대한 허용도를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폭력을 허용하는 것으로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행동을 설명하였고, 네 번째 단계에서는 폭력에 대한 허용을 도입하였을 때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의 피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였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즉, 폭력허용도는 데이트 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피해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향후 데이트 폭력의 피해자 예방을 위해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폭력에 대한 허용을 낮출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폭력 인식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Tolerance and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 이현정;윤미선;김영은;이수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5-12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 및 데이트 폭력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관련 요인들을 대상자의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충남 에 소재한 B 대학교 남녀 대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365부를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데이트 폭력 허용도는 매우 낮았고, 폭력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이성교제 및 성 관련 교육 경험 특성에 따른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폭력 인식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데이트 폭력 허용도와 데이트 폭력 인식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과 데이트 폭력 예방을 비롯한 실천적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미국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Major Principles and Changes of Zero Tolerance Policy on School Violence in USA)

  • 정일환;김영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5-49
    • /
    • 2012
  • 미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학교폭력, 무기사용, 마약복용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관용정책(zero tolerance)을 시행하고 있다. 학교폭력이나 비행이 발생한 경우 미리 예정된 정학 또는 퇴학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학교의 안전과 학습 분위기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실제로 학교폭력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사소한 비행에 대해서도 엄격한 처벌을 함으로써 비행이 더 악화되며, 효용성도 증명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안으로 무관용정책의 대원칙은 유지하면서도 폭력의 정도에 따라 처벌의 정도를 달리하자는 등급징계제도 또는 조기반응모형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강하게 부각됨에 따라 정부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소한 괴롭힘도 '범죄'라는 인식하에 철저히 대응하는 정부의 방침의 타당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 정책의 주요 내용과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미혼 성인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nmarried Adult Men and Women's Implicit Narcissistic Propensity on the Tolerance of Dating Viol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 정오영;장석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53-46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의 미혼 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의 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20~30대의 미혼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수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고 통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사이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합리적 관계신념을 매개하여서만 데이트 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허용도에 대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시사성을 담고 있다.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on Sexual Assertiveness : Mediating Effect of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 구상미;오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58-167
    • /
    • 2021
  • 본 연구는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충북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정하윤(2013)의 데이트폭력 인식, 정진아(2016)의 성적 자기주장, 남현미(2003)의 폭력허용도의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데이트폭력 인식과 폭력 허용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3, p<.001), 폭력허용도와 성적 자기주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 p<.05). 둘째,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𝛽=.43, p<.001),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F=36.10, p<.001). 셋째, 여대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의 성적 자기주장에 대한 효과의 감소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Z=2.05, p<.05) 데이트폭력 인식이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폭력허용도를 낮추고 폭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성적 자기주장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폭력가정 청소년의 가족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lescent폭s Experiences in Domestic Violence)

  • 김경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0-80
    • /
    • 1998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nursing intervention of adolescent domestic violence victims by describing specifically what they go through and on this basis work out a grounded theory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The data were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grounded theory as mapped out by Strauss & Corbin(1990).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core category was found to be the the adaptation of "Joyudeum" or “Straight jacketing”. The sub-categorie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grounded data analysis were 'menacing', 'being harassed', 'being pressed', 'being attacked', 'being strapped', 'being filled with anger'. 'getting angry', 'being oppressed', 'being strained', 'becoming hard', 'endurance', 'regulation', 'seriousness'. 'repitition'. 'being helpful', 'dependence', 'thinking oriented', 'blowing off', 'going astray', 'self-deprecating', 'shaking off', 'covering up', 'governing', 'being devoted', 'performing', 'being transformed'. 'bolting', 'being shaken', 'withdrawing', 'disliking', 'bitterness'. These categories were again grouped into 13 categories including 'threatening'. 'straight jacketing', 'tolerance', 'violence', 'supporter', 'supporting type', 'thinking oriented'. 'impulsive response', 'self-controlled', 'response', 'self-reliance', 'wandering', 'withdrawal' and pain'. Of these the five sub-categories 'being filled with anger'. 'getting angry', 'being oppressed', 'being strained', 'becoming hard' were grouped into a core category "straight jacketing". Those adolescents brought up in a violent family go through three stages of the adaptation of "straight Jacketing". that is, generation, response and adaptation. The following four theses were confirmed on the basis of repetitive relations : 1) If a subject's tolerance is strong,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frequent and serious, with the resulting straight jacketing being stronger but the subject's supporter is highly mature, the supporting type is concrete and the thinking oriented is wishful,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 jacketing result in a self-control whose consequence is self-reliance with part of it resulted in withdrawal and pain. 2) If a subject's tolerance is weak,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frequent but not serious, with the resulting straight jacketing being weaker but the subject's supporter is immature, the supporting type is superficial and the thinking oriented is extemporary,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 jacketing result in an impulsion whose consequence is wandering with part of it resulted in withdrawal and pain. 3) If a subject's tolerance is weak,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frequent and serious, the straight jacketing is strong, the subject's supporter is immature and the supporting type is superficial but the thinking oriented is wishful,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 jacketing result in an impulsion whose consequence is withdrawal and pain with part of it resulted in wandering. 4) If a subject's tolerance is strong and the episodes of the violence are infrequent and not serious, the straight jacketing is weak, the subject's supporter is immature and the supporting type is superficial but the thinking oriented is wishful, the responses to the straight jacketing result in a self-control whose consequence is withdrawal and pain with part of it resulted in self-reliance.

  • PDF

Prevalence and Effect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Emergency Nurses at a Tertiary Hospital in Kenya: A Cross-Sectional Study

  • Kibunja, Betty Kiunga;Musembi, Horatius Malilu;Kimani, Rachel Wangari;Gatimu, Samwel Main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2호
    • /
    • pp.249-254
    • /
    • 2021
  • Introduction: Workplace violence (WPV) is a major occupational and health hazard for nurses. It affects nurs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acts health service delivery. We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describe the consequences of WPV experienced by nurses working in an emergency department in Kenya. Methods: We conduct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among emergency nurses at one of the largest tertiary hospitals in Kenya. We collected data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dapted from the 'WPV in the Health Sector, Country Case Studies Research Instruments' questionnaire. We described the prevalence and effects of WPV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Results: Of the 82 participating nurses, 64.6% were female, 57.3% were married and 65.8% were college-educated (65.8%). Participants' mean age was 33.8 years (standard deviation: 6.8 years, range: 23-55). The overall lifetime prevalence of WPV was 81.7% (n = 67, 95% confidence interval [CI]: 71.6%-88.8%) and the 1-year prevalence was 73.2% (n = 63, 95% CI: 66.3-84.8%). The main WPV included verbal abus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harassment. Most incidents were perpetrated by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No action was taken in 50% of the incidents, but 57.1% of physical violence incidents were reported to the hospital security and 28.6% to supervisors. Perpetrators of physical violence were verbally warned (42.9%) and reported to the hospital security (28.6%). Conclusion: Workplace violence is a significant problem affecting emergency nurses in Kenya. Hospitals should promote workplace safety with zero-tolerance to violence. Nurses should be sensitised on WPV to mitigate violence and supported when they experience WPV.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ssault Cases by the Police Officers)

  • 권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71-681
    • /
    • 2019
  •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당방위 유형, 신문기사의 정당방위 인정비율, 판단자 개인 특성이 정당방위 판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fense Categories, Rate of Self-Defense recognition in News Article,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ck Jurors on the Self-Defense Judgment)

  • 김용애;김민지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2권2호
    • /
    • pp.171-197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인이 정당방위를 어떻게 판단하고 있으며 판단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정당방위 유형, 정당방위에 대한 기사, 판단자 개인 특성인 폭력 허용도, 법적 태도로 나누어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총 65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은 정당방위가 주장되는 상황을 유형화하여 작성된 세 유형 중 하나의 유형에 할당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정당방위 관련 기사와 시나리오를 제공받은 후 정당방위 판단을 하였다. 또한, 개인적 요소인 법에 대해 가지는 태도, 폭력 허용도가 측정된 후 정당방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을 위한 정당방위 유형에서는 정당방위를 인정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국가기관에 대항하는 정당방위 유형에서는 정당방위를 불인정하는 비율이 훨씬 높은 반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당방위에 대한 기사 중 정당방위가 잘 인정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기사가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참가자 개인의 폭력 허용도, 법적 태도가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일반인들의 정당방위 판단 과정과 정당방위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반 요소들은 실제 배심 재판에서의 편향적인 판단을 방지하기 위한 고려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아내강간 발생과 관련 변수 파악 및 인식 (A Study of the Prevalence, Correlates and Perceptions on Wife Rape)

  • 신성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180-209
    • /
    • 1999
  • 이 연구는 아내강간이란 단독주제로는 선구적 연구로 아내강간의 발생정도, 관련 사회계층적 배경, 성장시 가정폭력 배경, 그리고 아내강간에 대한 인식조사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우리나라 기혼남성들 중 약 42.4%가 아내강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월수입이 적고, 어릴 때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많은 남성이 아내강간 경향이 높고, 아내가 신앙생활에 열심일수록 남편의 아내강간 행동이 다소 감소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한편 아내가 남편으로부터 강간을 당하는 중요한 변수가 경제생활 수준으로 확인되어, 아내강간 발생을 예측하는 데 현재 부부의 재정상황이 상당히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남녀 성별간에는 아내강간에 대한 수용정도와 처벌의 필요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내강간의 행동에 대해 많은 기혼남성과 기혼여성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기혼남성과 여성이 아내강간에 대해 수용적이었다. 특히 아내강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한 남성보다 남편으로부터 강간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경험한 여성이 아내강간에 대한 문제의식이 약해져 아내강간을 훨씬 더 수용하고 있는 현상은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사회사업실천을 위한 중요한 함의를 던져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