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arodes pacificu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3초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 생식기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Male Reproductive Organ in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Cephalopoda: Ommastrephidae))

  • 신소령;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23
  • 연구에서는 두족류의 생식생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두족류인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 수컷의 생식기관과 정포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기재하였다. 살오징어는 자웅이체로 외투막에 투과되는 생식기관의 색과 교접완을 통하여 암, 수를 구분할 수 있는 성적이형을 가진다. 수컷 생식기관은 정소, 1차 수정관, 정포선, 정포낭, 2차 수정관으로 구성된다. 살오징어의 수컷은 정포 형성기관인 정포선과 같은 특수화된 생식기관을 가진다. 정소는 조직학적으로 정세관형이었다. 1차 수정관은 정소의 후방부터 정포선까지 연결된 가늘고 긴 역삼각형의 용수철 형태였다. 내부에는 H-E 염색에서 호염기성으로 반응하는 정자가 가득 차 있었다. 정포선은 1차 수정관과 정포낭에 연결된 불규칙한 타원형으로 내부에는 다수의 관상선이 존재하였다. 정포낭은 정포선과 2차 수정관 사이에 위치하는 관 구조로 내강에서는 다수의 정포가 확인되었다. 2차 수정관은 정포낭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정포를 갖고 있었다. 정포는 길이 약 22 mm의 길고 투명한 관 형태로 내부에는 정자 덩어리를 갖고 있었다.

한국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계군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정연;윤문근;문창호;강창근;최광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 동해(북부, 중부, 남부), 서해, 동중국해의 해구에서 각각 채집된 살오징어의 계군을 형태 및 유전학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형태학적 차이에 따른 계군분석은 평균성숙외투장(20-22 cm)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시기를 구분하였고,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계군은 mtDNA COI 영역의 염기변이에 의한 유전자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성숙외투장을 기준으로 동해 북부는 발생시기가 하계군, 나머지 집단(동해 중부, 동해 남부, 동중국해 북부, 서해 북부)은 추계군으로 크게 2개의 계군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살오징어 mtDNA COI 영역에서 총 4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TCS 분석결과 haplotype 유전자형 네트워크가 star-like형태이며, 모든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haplotype diversity, h)이 높고(h=0.661~0.841), 반면에 염기 다양도(nucleotide diversity, ${\pi}$)가 낮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국내 서식 살오징어의 경우 최근에 급속한 집단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Pairwise Fst를 이용한 집단분석결과 비록 모든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가 낮게 나타났지만(Fst = 0.001~0.043) 평균성숙외투장 기준으로 같은 추계군으로 분류된 집단(동해 중부, 동해남부, 서해 북부)간에는 유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북부 동중국해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분포의 계절특성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l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김중진;김철호;이준수;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9-61
    • /
    • 2014
  • We conducted eight survey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n winter (February - April), summer (July), and autumn (October) 2004-2009, to investigate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T. pacificus. A total of 482 paralarvae, ranging in mantle length (ML) from 1.0 - 17.0 mm, were collected at 73 out of 181 stations. There were higher numbers of paralarvae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months than in the autumn. There wa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the paralarval mantle lengths; mantle lengths were longer in winter (April) than in summer (July). The position of oceanic fronts in the study a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stricting paralarval distribution along the inshore edge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When the TWC expanded to western Jeju Island in winter and autumn, the paralarval distribution range extended to include western Jeju Island. However, when the TWC was located southeast of Jeju Island in the summer, paralarvae were distributed along the frontal zone off southeast Jeju Island. Sites at which paralarval mantle length was <2.0 mm ML indicated that the spawning ground were likely to be within the northern ECS in winter and summer, but north of the study area in autumn.

채낚기어업에서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장기 어획변동과 생태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darodes pacificus associated with Long-term Catch Variations in Jigging Fishery)

  • 조민진;김중진;양재형;김창신;강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85-695
    • /
    • 2019
  • To assess the state of Todarodes pacificus fisheries, we examined changes in major fishing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jigging fishery data between high (HCLP, 1996-2000) and low (LCLP, 2013-2017) catch level periods. The peak catch occurred in October during the HCLP compared with December during the LCLP. The average catch per unit effort was higher during the HCLP (1.3 tons/jigging vessel) than LCLP (1.0 ton/jigging vessel). During the HCLP, fishing grounds were highly concentrat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and Yamato bank, whereas during the LCLP, the distribution of grounds extended to the South Sea, West Sea, and northern East Sea (near Russian waters) at a low density. Water temperatures in the main fishing groun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were higher at 0, 50, and 100 m depths during the LCLP than HCLP. Meanwhile, the average mantle length of catches decreased from 23.5 cm during the HCLP to 22.21 cm during the LCLP. The mantle length at 50% maturity also decreased between the two periods from 22.06 (HCLP) to 18.77 cm (LCLP). These findings will help guide future management strategies for T. pacificus.

한국 연근해산 두족류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시엽 (Optic lobe)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Optic Lobes of Cephalopods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minor) inhabiting the Korean Waters)

  • 한종민;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31-147
    • /
    • 2002
  • 살오징어와 서해낙지의 시엽은 피질부와 수질부로 크게 나눌 수 있었고, 피질부는 3층(외과립세포층, 망상층, 그리고 내과립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피질부의 두께는 오징어에서 약 $420{\sim}450{\mu}m$ (외과립층, $100{\mu}m$; 망상층, $170{\sim}200{\mu}m$ 그리고 내과립층, $150{\mu}m$) 정도였고 낙지인 경우는 약 $250{\sim}290{\mu}m$ (외과립세포층, $50{\sim}70{\mu}m$; 망상층, $100{\sim}120{\mu}m$; 내과립세포층, $100{\mu}m$) 정도로 관찰되어 오징어가 낙지에 비해 $170{\mu}m$ 정도 더 두터웠다. 살오징어의 외과립세포층에서는 3종류의 신경세포(A형, B형 그리고 C형)와 이들을 감싸거나 인접되어 있는 신경교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서해낙지에서는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가 관찰되었다. 망상층에는 전연접자루와 신경말단들이 서로 연접되어 다양한 형태의 연접체를 형성하였는데, 살오징어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소포, 과립소포, 그리고 투명소포 등이 혼재되어 있거나 한 종류만을 포함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반면, 서해낙지에서는 투명소포만을 소지한 경우와 과립소포만을 소지한 경우, 그리고 투명소포와 과립소포들이 혼합된 경우 등 3종류의 연접체가 주로 관찰되었다. 내과립세포층은 구조적으로 두 종에서 거의 비슷한 형태이며 2종류의 신경세포(A형과 B형)와 1종류의 신경교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살오징어의 수질부에서는 크기가 $7{\times}5{\mu}m$ 정도인 세포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울타리세포층을 형성하였으나 서해낙지에서는 이들이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