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copherol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벼의 유전형질과 재배환경 요인이 기능성물질 함량 변이에 미치는 영향 비교 (Effects of genotyp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ontent variations of the bioactive constituents in rice seeds)

  • 박수윤;박현민;정정원;진소라;이상구;김은하;오선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29-438
    • /
    • 2022
  • 작물의 성분은 품종이 가지는 유전적 특성이나 재배 지역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자연 변이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벼 종자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을 분석하고 그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변수로 두고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인디카 및 자포니카, 통일 계통을 포함한 벼 품종 23개를 선정하고 국내의 2개 지역(전주, 천안)에서 2년간 재배하였다(2015, 2016년). 벼 종자 368점을 대상으로 16종의 기능성 물질(α, β, γ, δ-tocopherol, γ-tocotrienol, phytosteol 4종, policosanol 7종)에 대한 함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다변량분석(주성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여 4개의 환경 조건 별(2015년 전주, 2015년 천안, 2016년 전주, 2016년 천안)로 자연 변이를 비교한 결과, 분석한 벼 종자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 변화는 환경적 요인(재배 지역, 재배 연도) 보다는 유전적 요인(인디카 vs 통일 vs 자포니카)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았다. 특히, 환경적 영향을 뛰어넘는 대표적인 유전적 특성으로는 벼 종자에서 α-, β-tocopherol과 γ-, δ-tocopherol의 함량이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lpha$-, ${\gamma}$-, $\delta$-Tocopherol의 첨가가 동결 저장중 Hamburger Patty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pha$-, ${\gamma}$-, $\delta$-Tocopherol on Fatty Acids Composition of Hamburger Patties during Frozen Storage)

  • 박구부;성필남;송또준;김진성;박태선;이정일;김진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lpha$-, ${\gamma}$-, $\delta$-Tocopherols on oxidative stability of lipid in hamburger patties during frozen storage. Hamburger patty s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tocopherol by fat basis: control, treat 1 (control+0.02% $\alpha$-tocopherol), treat 2 (control+ 0.02% ${\gamma}$-tocopherol were cooked at 85$^{\circ}C$ for 3 minutes and the stored at -1$0^{\circ}C$ or 3$0^{\circ}C$). The fatty acids composition of the hamburger samples were analyz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1, 20, 40, 60 and 80 day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tty acids composition among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in early storage time; however,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decreased in control group and slightly decreased or almost not changed in treatment groups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No difference in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 : unsaturated fatty acid (SFA : USFA) and saturated fatty acid : monounsaturated fatty acid : unsaturated fatty acid (SFA : MUFA : PUFA)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t early storage time. However, SFA : USFA and SFA : MUFA : PUFA was decreased in control and slightly decreased or not changed in all treatment groups as the storage period passed.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지방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Characteristics of Perilla Seed Lipids)

  • 최은옥;황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57
    • /
    • 2011
  • Color,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contents of perilla seed lipids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were studied. Perilla seeds were germinated at $30^{\circ}C$ in the dark for 12, 36, or 48 h, after which total lipids were extracted by the Folch method using chloroform and methanol (2:1, v/v). Seed germin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yellowness and greenness in perilla seed lipi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mposition of the lipids including major neutral lipids (>90%). Conten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erilla seed lipid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germination. Linolenic acid (>63%)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Seed germination tended to decrease the relative content of linolenic acid and increase the contents of oleic and stearic acids. Contents of antioxidants, especially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increased in response to seed germination. As the germination period was extended, the antioxidant content increased. Therefore, increases in useful components,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alpha}$-tocopherol, and polyphenols contents by seed germin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illa seed utilization in food industry.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 King, Robert;Lee, Hyung-Ok;Min, David B.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26-532
    • /
    • 2009
  • Quenching mechanisms and kinetic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were studied. Lard at 0.03, 0.07, 0.11, and 0.3 M in methylene chloride containing $4.4{\times}10^{-6}\;M$ chlorophyll and 0, 0.1, 0.3, and 0.6 mM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were stored under light for 4 hr, respectively. Oxidation was determined by headspace oxygen and peroxide value. Tocopherols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p<0.05). Steady state kinetic study showed that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prevented the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ard by quenching singlet oxygen. Singlet oxygen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headspace oxygen depletion were 1.86, 2.39, 2.47, and $2.11{\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ocopherol by peroxide value were 1.42, 1.11, 0.97, and $0.42{\times}10^7/M/sec$, respectively. The quenching rates of tocopherol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asurements of oxidation.

토코페롤 및 카로틴이 정제 잣 지방질의 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ocopherols and Carotene on the Oxidation of Purified Pinenut Oil in the Model System)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66
    • /
    • 1995
  • The oxidation of purified pinenut oil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 of tocopherols and β-carotene were studied. α-tocopherol revealed an antioxidant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lower than 0.05%, however, it showed a prooxidant activity when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0.0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γ-tocopherol was not affected by the concentraitons in the range of 0.01∼0.10% in pinenut oil. γ -Tocopherol resulted in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at of α-tocopherol. β -carotene seemed to be a prooxidant when 0.01% of β-carotene was added. The fatty acids composition of purified pinenut oil have been changed during autoxidation. The concentration of linoleic acid decreased readly while oleic acid seemed to increase. And the concentration of saturated fatty acid has'nt been changed much during autoxidation.

  • PDF

Comparative Stability of vit E isomers Extracted from Unsaponifiable Fractions of Rice Bran Oil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Oxygen Conditions

  • Lee, Young-Sang;Park, Soon-Ry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35-439
    • /
    • 2008
  • Due to the fact that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ha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unsaponifiable fractions in rice bran is increasing. These nutraceutical compounds, however, are fairly unstable and readily break down when exposed to oxygen or lighting conditions. To compare the relative sensitivity of vit E isomers to heat and oxygen,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extracted from crude rice bran oil were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 oxygen (nitrogen-balanced), and bathing solvent conditions and resultant concentration changes in ${\alpha}$- and ${\gamma}$-tocopherols (T) and tocotrienols (T3) were evaluated. Each isomer exhibited different heat stability. Among them, ${\alpha}$-T3 degraded more rapidly compared to other vit E isomers while ${\alpha}$-T was the most stable isomer. Oxygen level also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each isomer's stability where severe reductions of ${\gamma}$-T (by 20%) and ${\gamma}$-T3 (by 29%) were observed under 2% oxygen conditions, while under 0% oxygen conditions no degradation could be observed even after exposure to $95^{\circ}C$ for 4 hours. When various blending solvents were mixed with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organic solvents such as isooctane and hexane were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gamma}$- T3 compared to edible oils, among which com oil was more efficient than soybean and rice bran oils.

GC 및 HPLC 비교분석에 기초한 차조기 종실내 tocotrienol 부재의 평가 (Absence of Tocotrienol Form of Vitamin E i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Seeds Confirmed by Comparative Analysis Using HPLC and GC)

  • 이영상;김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15-120
    • /
    • 2008
  • 비타민 vitamin E 구성 성분으로 항산화, 항암, 고지혈증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tocotrienol이 국내산 차조기에서 보고된 바, 존재 여부 확인을 위하여 국내수집 6종, 일본수집 8종 등 총 14종의 차조기 유전자원과 들깨 종실을 대상으로 HPLC 및 GC, GC/MS 비교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순상의 HPLC 이용시 차조기에서 4종의 tocopherol 및 ${\beta}-tocotrienol$, ${\gamma}-tocotrienol$과 매우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발견되었다. 2. 그러나 동일 시료를 GC로 재분석한 결과 13개 차조기 유전자원에서 모두 4종의 tocotrienol과 일치하는 물질은 발견되지 않았다. 3. GC 이용시 ${\delta}-tocotrienol$${\gamma}-tocotrienol$과 유사한 머무름 시간의 peak가 검출되었으나 GC/MS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tocotrienol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이상의 HPLC 및 GC 비교분석결과에 기초할 때, 차조기에는 tocotrienol류의 vitamin E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GC를 이용한 vitamin E isomer 분석이 HPLC 이용시 발생가능한 유사 머무름시간대 물질을 tocotrienol로 판단하는 오류 방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견과류의 지방산, 트리아실글리세롤, 토코페롤 및 파이토스테롤의 조성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 of Triacylglycerol Specie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from the Selected Nuts)

  • 성민혜;류현경;이선모;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6-383
    • /
    • 2010
  • 견과류 중 sunflower seed, cashew nut, walnut, pistachio, pumpkin seed, ginkgo, hazel nut, pecan을 원료로 하여 지방산 조성 분석 및 sn-2 position 분석, triacylglycerol species의 분석, tocopherol,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hazel nut에서 약 39.60 wt%로 가장 높았으며, walnut 35.25 wt%, pistachio 30.22 wt% 등의 순이었다. GC에 의한 sn-2 위치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oleic acid의 함량이 많은 견과류는 cashew nut, pistachio, hazel nut, pecan 이였으며, 특히 ginkgo의 경우 특이적으로 oleic acid의 이성체인 vaccenic acid가 10.72 wt%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linoleic acid 등이 높은 견과류는 sunflower seed, walnut, pumpkin seed 이었다. 견과류들의 TAG species의 PN값은 40∼52 사이에 존재하였다. Tocopherol의 함량은 ginkgo, sunflower seed, pumpkin seed 등에서 각각 48.57, 38.35, 31.43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phytosterol의 경우 88.60∼947.20 mg/100 g 사이에 함량을 나타내었다.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s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장성호;이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5-17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볶음조건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포도씨를 100, 150, $200^{\circ}C$에서 1시간 볶은 후, hexane으로 추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포도씨유를 $50^{\circ}C$에서 40일 동안 저장하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동안에 볶음처리를 하지 않은 포도씨유에서 볶음처리한 포도씨유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산가 또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포도씨유의 갈색도는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짙은 갈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E의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볶음온도가 높을수록 비타민 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E 이성체의 감소량도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볶음온도에 따른 포도씨유의 산화안정성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산 땅콩의 일반 품종과 고올레산 품종에 대한 지용성 영양성분과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nstituents and oxidative properties between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grown in Korea)

  • 임호정;김미소;김다솜;김회성;배석복;김재겸;신의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가열 산화에 따른 일반 및 고올레산 땅콩 유지의 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땅콩 유지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80^{\circ}C$에서 25일간 가열 산화시켜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식물스테롤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 및 고올레산 유지의 주요 지방산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산으로 이들의 비율(O/L)은 일반 품종 2.75, 고올레인산 품종 5.23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가열산화에 의해 리놀레산이 파괴되어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 품종이 고올레산에 비해 리놀레산의 감소량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안정성을 나타내는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측정한 결과 두 가지 유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일반 품종은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올레산 품종은 상대적으로 다소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가열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반품종에서 감소되는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고올레산 품종의 경우 높은 올레인산 비율과 낮은 리놀레산의 비율로 인해 일반 품종보다 우수한 산화안정성을 보였으며, 지방산 조성뿐 만 아니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의 함량 변화 역시 고올레산 품종에서 더 높은 잔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