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 2

검색결과 459,352건 처리시간 0.403초

TTCP-DCPA-β-TCP-PHA계 골 시멘트 (Bone Cements in TTCP, DCPA, β-TCP and PHA System)

  • 김형준;최성철;석준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7-6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Tetracalcium Phosphate(TTCP), Dicalcium Phosphate Anhydrate(DCPA)계 골 시멘트에 $\beta$-tricalcium Phosphate (TCP)와 Precipitated Hydroxy Apatite(PHA)를 첨가하였을 때, 골시멘트의 초기 응결시간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 및 in vitro test후의 표면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골 시멘트에 사용된 TTCP와 $\beta$-TCP는 약 3-5$mu extrm{m}$으로 합성후 분쇄하였으며, DCPA는 0.9$\mu\textrm{m}$, 그리고 PHA는 4$\mu\textrm{m}$의 평균 입경을 가졌다. 각각의 조성으로 배합된 시멘트는 Vicat건에 의한 초기응결시간 측정과 압축강도 시험을 행하였고, 의사체액내에 침적 후 침전 생성물을 x-선 회절 분석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 관찰 하였다. 초기 응결시간은 $\beta$-TCP나 PHA의 존재 유무와 함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좌우되지 않았으나, 분말 : 액상의 비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PHA가 함유되는 경우 PHA의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응결에 요구되는 액상의 양은 PHA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2배 이상 되었다. $\beta$-TCP PHA의 첨가로 인해 압축강도는 낮아졌고, 이는 수화 생성물인 HAP의 생성 정도가 낮았기 때문이었다. 이는 x-선 회절 분석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TTCP-DCPA계 골 시멘트에 $\beta$-TCP나 PHA의 첨가는 기계적 물성과 생체 반응성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olletotrichum species에 의한 콩나물 부패 (Soybean Sprout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 김용기;류재기;류재당;이상엽;이승돈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5-178
    • /
    • 2002
  • 1997년 수원 근교 콩나물공장에서 재배하는 콩나물에서 2종의 Colletotrichum에 의한 부패증상이 발생되었다. 한 종은 검은 계란모양의 분생자층을 형성하였으며, 그위에 검은 바늘모양의 강모(65~110$\times$3.5~6.6 $\mu\textrm{m}$)를 다수형성하였다. 포자는 초생달모양으로 격막이 없고 투명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22.5$\times$3.5~4.0 $\mu\textrm{m}$이었다. 다른 한가지 병원균의 포자는 곧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14.0~17.5$\times$3.5~4.5 $\mu\textrm{m}$ 이었고 부착기의 크기는 6.3~8.5$\times$4.5~5.0 $\mu\textrm{m}$ 이었다. 이들 병원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성에 의거, Colletotrichum tmncatum과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 두 가지 병원균은 병원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C. tuncatum은 콩나물의 부위에 관계없이 진한 갈색 병반을 형성하였고, 병원성도 높았으며 병 진전도 빨랐다. 반면에 C. gioeosporioides는 자엽에 연한 갈색의 반점을 일으켰으며, 병원성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C. tuncatum과 C. gloeosporioides 에 의한 부패병을 콩나물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가염량이 다른 난황의 냉동저장 중 물성 및 마요네즈 제조적성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Salted Egg Yolks as Affected by Salt Content During Frozen Storage and Their Effects)

  • 김재욱;차가성;홍기주;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9-393
    • /
    • 1991
  • 상업적인 가염난황의 식염 첨가량에 따른 냉동저장 중 물성 및 마요네즈 제조적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난황(refractive index 43)에 7%, 10%, 13%의 식염을 첨가하여 이들을 $-15^{\circ}C$$-25^{\circ}C$에서 6개월간 냉동저장하면서 난황 자체 및 이들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물성변화를 측정하였다.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가염난황의 점도는 점차 증가하며 식염함량이 높을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 저장시 점도 증가가 심하였으며, 난황의 유화력은 점차 감소하였다. 7%, 가염난황의 경우, $-25^{\circ}C$에서 4개월 이상 저장시 유화력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가염난황의 냉동저장시 미생물 수는 감소하였으며, 가염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난황의 냉동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점도는 높아졌으며, 식염함량이 높을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 저장한 난황으로 제조한 마요네즈의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요네즈의 입경은 마요네즈 제조에 사용된 가염난황의 식염함량이 높고, 냉동저장 기간이 오랜 것일수록, $-15^{\circ}C$ 보다는 $-25^{\circ}C$에서 저장한 것일수록 작아졌으며, 마요네즈 제조 직후 약간의 미생물이 발견되었으나 $30^{\circ}C$에서 1개월 보존 후 심사에서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 PDF

광주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입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ed in Gwangju)

  • 양용식;서정미;김종필;오무술;정재근;김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2-59
    • /
    • 2006
  • 2005년 광주에서 유통 중인 108건의 수입농산물 검사에서 잔류농약 검출건수는 33건으로 30.6%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수입농산물은 없었다. 잔류허용기준은 건강에 대한 안전보장을 법적으로 강제하는 수단이지 그 자체가 건강에 위험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번에 검사한 수입농산물 중 31번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허용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1일 섭취허용량이 껍질 채로 먹었을 경우의 양으로 계산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먹을 경우 이번 수입농산물은 잔류농약 측면에서는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나나, 오렌지 등은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수입과일이므로 수입하는 과정에서 허용기준을 초과한 수입농산물이 유통되지 않도록 수입농산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정부당국의 지속적인 감시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염농도(食鹽濃度)에 따른 간장덧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에 대하여 -휘발성(揮發性) 유기산(有機酸)을 중심(中心)으로- (Changes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the Korean Soysauce Fermentation by Salt Concentration -Laying Stress on the Volatile Organic Acid-)

  • 양희천;김병용;이태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0
    • /
    • 1982
  • 식염농도(食鹽濃度)를 달리하여 재래식(在來式) 메주와 개량식(改良式) 메주를 이용한 간장덧 숙성과정(熟成過程)중 색도(色度), pH, 총질소량(總窒素量), 환원당량(還元糖量) 및 휘발성(揮發性) 유기산량(有機酸量)의 소장(消長) 관계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색도(色度)와 pH는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더 낮았다. (2) 총질소량(總窒素量)을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높았으며,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 수록 많았다. (3) 환원당량(還元糖量)은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이 재래식(在來式) 간장덧보다 많았으며, 4주째에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4) 총휘발산량(總揮發酸量)은 고농도식염(高農度食鹽)구에서는 초기에 점차 감소하다가 4주 이후부터 증가하였고 저농도식염(低濃度食鹽)구에서는 처음보다 월등히 많아졌으며,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의 경우 휘발산(揮發酸) 중 acetic acid가 가장 많았다. (5) 재래식(在來式) 간장덧에서는 개량식(改良式) 간장덧에서 보다 butyric acid가 18배, propionic acid가 19배 많이 검출되었으며 식염농도(食鹽濃度)가 낮을 수록 두 유기산(有機酸)의 생성이 많았다.

  • PDF

콩나물의 유통과정중(流通過程中) Chlorophyll, Amino산(酸) 및 Vitamin C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in Chlorophyll,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during Circulation Periods)

  • 김순동;장봉희;김혜숙;하귀현;강경순;김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7-62
    • /
    • 1982
  • 콩나물의 유통과정(流通過程)동안 $20^{\circ}C$의 암소(暗所)와 명소(明所)(109 lux)에서의 chlorophyll, 역리(逆離) amino 산(酸) 및 vitamin C의 함량변화(含量變化), 상태변화(狀態變化)를 측정조사(測定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통(流通)동안의 길이, 함량(重量) 및 변색정도(變色程度)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암소하(暗所下)에서는 7$\sim$24 시간(時間) 경과(經過)되는 동안에 약 1cm 가까이 신장(伸長)되었으나 명소(明所)에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명소(明所), 암소(暗所) 다같이 콩나물 중량(重量)은 감소(減少)되었으며, 명소(明所)에서의 감소율(減少率)이 높았다. 암소하(暗所下)에서는 변색(變色)되지 않았으나 명소(明所)에서는 7$\sim$24시간(時間)에 변화(變色)되었다. (2) 콩나물의 자엽(子葉)은 광(光)의 노출(露出)에 의하여 빠르게 녹변(綠變)되었으며 녹변(綠變)은 porphyrin과 같은 전구체(前驅體)뿐만 아니라 amino산(酸)의 손실(損失)은 초래(招來)하였다. 그러나 배축(胚軸)에서는 amino산(酸)의 손실(損失)이 없었다. (3) 명소(明所)에서 손실(損失)되는 amino산(酸)은 cystine, aspartic acid, seine, histidine, glycine 등(等)이었다. (4) 유통기간(流通期間)동안 암소(暗所)에서는 vitamin C의 손실(損失)이 없었으나 광(光)에 노출(露出)은 자엽(子葉)은 7일간(時間), 배축(胚軸)은 5시간(時間)만에 22$\sim$27%의 손실(損失)을 초래(招來)하였다.

  • PDF

마늘의 품질안정성에 대한 저장조건의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Stability of Garlic Bulbs)

  • 권중호;정형욱;이정은;박난영;이기동;김정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42
    • /
    • 1999
  • 마늘의 저장조건을 저온(3$\pm$1$^{\circ}C$, 80$\pm$5% RH, LT), 움(9$\pm$6$^{\circ}C$, 80$\pm$5% RH, PT) 및 상온(14$\pm$11$^{\circ}C$, 67$\pm$5% RH, AT)으로 구분하여 9개월간 물리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발아율은 저온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높게 나타나 이상의 조건에서는 발아억제 방안이 요구되었다. 마늘의 부패율은 저장 7개월 째인 이듬해 3월까지는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저장조건에 상관없이 급격히 부패되었다. 마늘의 중량은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저장 온ㆍ습도의 변화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히 외부발아와 더불어 줄어드는 경향이 심하였다. 저온저장에서 수분함량은 이듬해 5월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움식 및 상온저장에서는 이듬해 1월부터 상당히 감소되었다. 전당의 함량은 완만하게 감소되는 편이었으나 환원당 함량은 이듬해 3월부터 외부발아 현상과 비례하여 급격히 증가되었다. 마늘의 vitamin C 함량은 저장 중 큰 변화가 없었으나 이듬해 봄부터 발아현상과 더불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마늘의 저장은 이듬 3월경이 물리화학적 변화가 가장 왕성한 한계 시점이라고 생각되며,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저장조건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 PDF

한국 재래산양의 태아 및 신생아의 폐 발달에 관하여 (Development on the lungs of fetuses and neonates in Korean native goats)

  • 서득록;이국천;이순선;김종섭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7
    • /
    • 1997
  •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ungs in fetuses of 60, 90 and 120 days of gestation and neonates of Korean native goats was investigated by light,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troscop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Gross findings ; In the 60-days-old fetus, the lung was developed and differentiated into six lobes. 2. Light microscopic findings : The gland-like bronchioles were formed in loose mesenchyme at 60 days of gestation and the bronchial wall contained smooth muscles. The loose mesenchyme had been replaced by compact parenchymal tissue at 90 days of gestation and the cartilage plates appeared in bronchial wall which contained blood vessels, submucosal glands and smooth muscles. The lung parenchyma consisted of a fine network of alveoli at 120 days of gestation and the bronchial wall contained well-developed blood vessels, submucosal glands, cartilage plates and smooth muscles. In neonates, the lung tissue was similar to the mature lung tissue and the bronchial wall contained well developed cartilage plates.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tubules were composed of cuboidal or columnar at 60 days of gestation and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large airways were often ciliated : some were covered with stubby microvilli.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canals were cuboidal at 90 days of gestation and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bronchioles were ciliated cells or nonciliated(clara) cells, The clara cells contained row microvilli. The alvealor development of this stage was rapidly progressed ; the subdivision of canals by alveolar crests and assosiated wall attenuation resulted alveoli at 120 days of gestation and the respiratory bronchioles were lined by ciliated or nonciliated epithelial cells. In neonates,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alveolar walls were mainly covered with pneumocyte type I ; Some were covered with pneu-mocyte type II. 4.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tubules were adhered with tight junction at apical borders of the adjacent cells at 60 days of gestation, which contained few organells and glycogen.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canals were composed mostly of cuboidal cell at 90 days of gestation and the epithelial cells lining of the bronchioles were ciliated of nonciliated cell, which contained few organelles and abundant glycogen. The epithelial cells lining the alveolar walls were composed of pneumocyte type I and a few pneumocyte type II at 120 days of gestation. The epithelial cells lining of the bronchioles were ciliated or nonciliated cells. In neonates, pneumocyte type I was observed as flat and thin cytoplasmic extension in shape. Otherwise, pneumocyte type II was observed as cuboidal type with apical microvilli and contained osmiophillic lamellar inclusion bodies. Putting these various experiment results together, the lung development was slowly progressed at early stage, which was rapidly progressed in the late stage of gestation.

  • PDF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on Verbal Intera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28-43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가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2명이 예비교사가 선정되었고, 각 예비교사마다 3차시의 과학 수업을 하였으며, 연구자가 매 차시 과학 수업을 녹화 녹음하였다. 녹음된 자료 중 1차시와 3차시의 자료만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전사하였다.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빈도의 증가는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수업 준비도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거나 열린 사고를 유발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학생들에게 닫힌 사고를 유발하는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 역시 예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 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효과는 있었으나, 예비교사 개인의 특성 특히,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준비도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EPOXY RESIN의 정확도와 인상재와의 친화성에 관한 연구 (DIMENSIONAL ACCURACY OF EPOXY RESINS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IMPRESSION MATERIALS)

  • 장수경;장익태;임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83-394
    • /
    • 1999
  • The indirect technique for making cast restoration requires that dies be as accurate and durable as possible. Currently, stone is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for die. However,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the weakness in its strength and low abrasion resistance. Recently, epoxy resin die systems have become avail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wo commercially available resin die systems and evaluate some characteristics for their clinical perform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dimensional accuracy of epoxy resins and their wettability with impression materials. In this study, the first experiment was about dimensional accuracy of different die materials. The master model was made of stainless steel. 10 models were made of two epoxy resins (Die-epoxy, Tri-epoxy) and a die stone (Fujirock) each. Occlusal diameter (Dimension I), occluso-gingival height (Dimension II), and interabutment distance (Dimension III) were measured in each model. Next, the contact angles of die materials with impression materials were observed. The blocks were made of polyether, hydrophilic additional silicone, polysulfide impression materials. By drop-ping the same amount (0.05ml) of Tri-epoxy, Die-epoxy, and die stone on the blocks, 10 samples of each die material were made. After setting of materials, the contact angl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ansion of stone die and the shrinkage of resin dies in occlusal diameter were observed, and stone and Tri-epoxy were expanded and Die-epoxy was shrinked in occluso-gingival height. There was little change among materials in interabutment distance (p<0.05). 2. In comparison with the master model Tri-epoxy had the least variation in measurement of the three die systems examined. Die-epoxy was next, and die stone showed the greatest variation. 3. The compatibility of die stone for polyether, hydrophilic additional silicone, polysulfide decreased in order, wherease epoxy materials had the decreased compatibility for polyether and polysulnde, hydrophilic additional silicone in order. I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polyether and polysulfide (p<0.05). 4. The contact angles of Tri-epoxy, Die-epoxy, die stone were getting bigger in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