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3+

검색결과 2,032건 처리시간 0.032초

Classification of Crop Lands over Northern Mongolia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Data

  • Ganbaatar, Gerelmaa;Lee, Kyu-Su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19
    • /
    • 2013
  • Although the need of crop production has increased in Mongolia, crop cultivation is very limited because of the harsh climatic and topographic conditions. Crop lands are sparsely distributed with relatively small size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urvey the exact area of crop lands. The study aimed to find an easy and effective way of accurate classification to map crop lands in Mongolia using satellite images. To classify the crop lands over the study area in northern Mongolia, four classifications were carried out by using 1) Thematic Mapper (TM) image August 23, 2) TM image of July 6, 3) combined 12 bands of TM images of July and August, and 4) both TM images of July and August by layered classification. Wheat and potato are the major crop types and they show relatively high variation in crop conditions between July and August. On the other hands, other land cover types (forest, riparian vegetation, grassland, water and bare soil) do not show such difference between July and August. The results of four classifications clearly show that the use of multi-temporal images is essential to accurately classify the crop lands. The layered classification method, in which each class is separated by a subset of TM images, shows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93.7%) of the crop lands. The classification accuracies are lower when we use only a single TM image of either July or August. Because of the different planting practice of potato and the growth condition of wheat,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potato and wheat cannot be fully separated from other cover types with TM image of either July or August. Further refinement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crop lands may enhance the crop mapping method in Mongolia.

임플란트 식립 환자의 $PostPlant^{TM}$ Calcium 투여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The efficacy evaluation of $PostPlant^{TM}$ Calcium in dental implant placement)

  • 최유성;김은경;김세원;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8-134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인 $PostPlant^{TM}$ Calcium을 임플란트 식립 환자에게 투여하고, 투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그 유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여 투여 후 골밀도의 변화 및 골유착 기간의 단축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식립 후에Post$PostPlant^{TM}$ Calcium을 투여한 실험군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5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7명의 환자에게 9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관찰하였다. 일차수술 후, 이차수술 후, 6개월 후에 $Osstell^{TM}$ Mentor, $Periotest^{(R)}$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일차수술후, 1, 3, 6개월 후에 방사선 사진 촬영을 시행하여 임플란트 주위 골밀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1. $Osstell^{TM}$ Mentor의해 측정된 ISQ 값은 측정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군, 대조군 모두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의 측정값이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식립 6개월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05); 2. $Periotest^{(R)}$ 측정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군, 대조군 모두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각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3. 골밀도 측정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험군, 대조군 모두 골밀도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각 군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임상적으로 임플란트 식립 후 환자가 $PostPlant^{TM}$ Calcium을 장기간 복용하는 것이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고, 골유착을 성공적으로 이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Association Between the XRCC3 T241M Polymorphism and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a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 Yin, Qing-Hua;Liu, Chuan;Li, Lian;Zu, Xu-Yu;Wang, Ya-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201-5205
    • /
    • 2012
  • Background: To evaluate the role of the X-ray repair cross complementing group 3 (XRCC3) T241M polymorphism in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all available studies, which included 3,191 cases and 5,090 controls. Results: Overall, a significant risk effect of the T241M polymorphism was not found under homologous contrast (MM vs TT: OR=1.293, 95% CI=0.926-1.805; TM vs TT: OR=1.148 95% CI=0.930-1.418) and recessive models (MM vs TT+TM): OR=1.170, 95% CI=0.905-1.512, but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was observed under a dominant model (MM+TM vs TT): OR=1.243, 95% CI=1.001-1.544. In stratified analy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for Asians or Caucasians. Conclusion: Our meta-analysis suggested the XRCC3 241M allele (MM+TM) might act as a head and neck cancer risk factor among all subjects, and the effect of T241M polymorphism on head and neck susceptibility should be studied with a larger, stratified population.

오가피전탕액(五加皮煎湯液)이 에탄올에 의해 유발되는 TM3 mouse Leydig 세포주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s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on ethanol-induced apoptosis in TM3 mouse Leydig cells)

  • 권순범;김희택;김호현;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1호
    • /
    • pp.57-64
    • /
    • 2003
  • 목적: 오가피가 mouse testis에서 유래된 Leydig 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TM3 세포주에서의 아폽토시스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DNA fragmentation assay, 및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MT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의 효과가 에탄올 투여부터 관찰되었다. 또한 오가피로 전처치하고 에탄올을 처치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크게 감소되었다. DAPI staining에서 오가피 투여군은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서 fragmentation이 억제되었다. RT-PCR의 분석에 의하여 caspase-3 mRNA 발현이 오가피 투여군은 알코올 투여군보다 유의성있게 억제됨을 보여주었다. 결론: TM3 Leydig 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는 전형적인 세포사멸 형태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오가피 투여군은 에탄올에 의해서 유발된 아폽토시스에서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Bisphenol과 Octylphenol이 TM3 세포에 미치는 영향: Cytochrome P450scc와 Estrogen Receptor $\alpha$ 유전자의 발현 (Effects of Bisphenol and Octylphenol on TM3 Cell :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scc and Estrogen Receptor $\alpha$ mRNA)

  • 이호준;김묘경;강희규;김동훈;한성원;고덕성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15-220
    • /
    • 2000
  • 대부분의 내분비교란물질들은 에스트로겐이나 항에스트로겐적인 활성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나 생태계에 있어서 생식기능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estrogen (E$_2$)과 bisphenol (BP) 그리고 octylphenol (OP)이 생쥐 Leydig cell line인 TM3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M3 세포는 11 ~13일령의 BALB/c nu/+ 생쥐로부터 유래한 정소내 세포인 Leydig cell로 DMEM에 FBS (10%)가 첨가된 배양액에 E$_2$, BP와 OP를 농도별 (1 pM, 1 nM, 1 $\mu$M, 1 mM)로 처리하고 48시간동안 체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전체 세포수와 생존율을 혈구세포판과 trypan blue 염색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스테로이드호르몬 합성에 관여하는 cytochrome P450scc (CYPscc)와 estrogen receptor $\alpha$ (ER $\alpha$) 유전자의 발현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TM3 세포의 생존율에 있어서는 1 $\mu$M 이하에서는 차이 가 없었으며 1 mM 첨가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함을 보였다. 세포수에 있어서는 OP 처리군에서만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CYPscc 유전자의 발현은 E$_2$ 군을 제외하고 BP (1 nM, 1 $\mu$M) 첨가군에서 약간 감소가, OP (1 nM, 1 $\mu$M) 첨가군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나ER $\alpha$ 유전자의 발현은 처리군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농도의 BP와 OP는 CYPscc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테로이드합성 과정을 억제시켜 정소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며, 정자형성 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lectro-Cleen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실선 설치 및 선상시험 (Installation and Shipboard Tests of the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Electro-Cleen)

  • 김은찬;조진석;박용석;이종욱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6
    • /
    • 2009
  •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IMO에서는 2004년 2월 선박 평형수와 침전물 관리 국제협약을 제정하였다. 이 협약을 위해, 각국은 협약 비준과 법제화를 준비하고 협약의 성능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Electro-$Cleen^{TM}$ 처리장치는 2006년 3월 IMO 기본승인을 받았고, 2008년 10월 최종승인을 받았다. 형식승인은 한국 정부로부터 2008년 12월에 발급되었다. 본 논문은 Electro-$Cleen^{TM}$ 처리장치의 기본 원리, 구성 요소, 실선 설치 및 선상 시험 내용을 검토하였다. 선상 시험은 8300 GT M/V Yokohama와 27,000 DWT M/V Greenwing으로 수행하였다. 이들 선상 시험을 통해 Electro-$Cleen^{TM}$ 처리장치가 IMO 기준을 만족시키며 신조선 및 현존선에 설치하기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축.수산식품 중 미생물 분석을 위한 건조필름법 평가 (Evaluation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Meat, Dairy and Fishery Products)

  • 조미희;배은경;하상도;박영서;목철균;홍관표;김상필;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4-300
    • /
    • 2005
  • 식품의 안전성 평가에 사용되는 주요 지표 미생물들의 검출 시험법 중에서 전통적인 미생물 시험법과 신속 검출법인 건조 필름법에 의한 미생물 시험법 간의 유효성 관계를 국내 특정 축 수산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축 수산식품 중 어묵, 게맛살, 아이스크림, 우유, 햄 시료에 대하여 두 가지 미생물 시험법을 각각 실시하였다. 일반 세균수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법과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고,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분석에는 most probable number(MPN)법과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 및 $Petrifilm^{TM}$ E. coli/coliform count plate법을 각각 비교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의 분석에는 potato dextrose agar법과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에는 coagulase 시험법과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법을 비교하였다. 5가지 축 수산식품에 대한 두 방법들간 상관계수는 일반세균이 $0.990{\sim}0.999$, 대장균군이 0.979-0.987, 대장균이 0.978-0.984, 효모와 곰팡이가 0.975-0.999, 황색포도상구균이 0.999로 두 방법간 상관성이 매우 높았으며, 평균 미생물 수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건조필름법이 기존의 전통적인 시험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

조기분만 및 만기분만 산모 모유의 젖당, 단백질, 총지질 함량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udy of the Lactose, Total Nitrogen, Total Lipid Content of Preform and Term Human Breast Milk)

  • 안홍석;배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84-594
    • /
    • 2003
  • The lactose, total nitrogen and total lipid contents of human breast milk were determined longitudinally after protein and term deliveries. Milk samples were obtained from day 2 to 5, on weeks 1, 2, 4, and 6 after preform (PM : n = 24) and term (TM : n = 22) deliveries. The lactose contents of PM and TM increased from 5.28 g/dl and 5.93 g/dl at days 2 to 5, to 7.95 g/dl,7.87 g/dl at 6 weeks, respectively. The total nitrogen contents of PM and TM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irst 6 weeks after birth (from 374 to 220 mg/dl versus 382 to 220 mg/dl respectively). However the total lipid contents of the PM and TM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lipid contents between the PM and TM were 2.15 versus 3.27 g/dl at 2 weeks, and 3.26 versus 2.52 g/dl at 6 weeks, respectively. The energy intakes of preform infants was 134.8 ㎉/kg/d during the 6 weeks of lactation, which satisfied with energy requirements (85-130 ㎉/kg/d) of the preform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 584-594, 2003)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에 대해 FGMM과 PMM을 적용한 TM 산란 해 (Solution of TM Scattering Applying FGMM and PMM for Resistive Strip Grating Between a Grounded Double Dielectric Layer)

  • 윤의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77-8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접지된 2중 유전체층 사이의 저항띠 격자구조에 의한 TM(tranverse magnetic) 전자파 산란문제를 전자파 수치해석방법으로 알려진 FGMM(fourier galerkin moment method)과 PMM(point matching method)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경계조건들은 미지의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이용하였으며, 저항띠의 해석을 위해 저항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저항율이 작으면 저항띠에 유도되는 전류밀도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반사전력도 증가하였다. 또한, 유전체층의 두께와 비유전율의 값이 증가하면 전반적으로 반사전력은 증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안된 구조에 대해 FGMM과 PMM의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한 수치결과들은 매우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