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specificity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초

췌담관질환에서 담관 솔질세포검사의 유용성 - 통상도말과 $MonoPrep2^{TM}$ 액상세포검사의 전향적 비교연구 - (Utility of Bile Duct Brush Cytology in Pancreaticobiliary Diseases -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Smear and $MonoPrep2^{TM}$ Liquid Based Cytology -)

  • 이동화;김미선;조영덕;천영국;최민성;김동원;진소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5
    • /
    • 2006
  • Bile duct brush cytology has been employed as a diagnostic tool for the evaluation of pancreatic and biliary tract strictures. The specificity of this method is high however, its sensitivity is quite low. A recent study employing liquid based cytology (LBC) reported results comparable to those achieved via conventional cytology. Therefore, we have attempted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diagnostic utility of bile duct brush cytology in pancreaticobiliary diseases. A total of 46 cases with bile duct stricture were enrolled including 11 cases of benign stricture, 29 cases of bile duct carcinoma, 3 cases of gallbladder cancer, and 3 cases of pancreatic cancer. Both conventional smear and LBC using $MonoPrep2^{TM}$ system were conducted in each case. The cytological diagnosis of each case was class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benign, suspicious for malignancy, and malignancy. The diagnostic accuracy of both cytologic methods was investigated. LBC evidenced a high rate of material insufficiency (13/46), which was attributed to low cellularity. The kappa index of both cytological methods was 0.508. Cytological and tissue diagnoses were correlated in 25 cases conducted from biopsy or operatio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41.2% (7/17), 100% (8/8), 100% (7/7), and 44.4% (10/18) in conventional smear; 58.8% (10/17), 87.5% (7/8), 90.9% (10/11), and 50.0% (7/14) in LBC; and 94.1% (16/17), 87.5% (7/8), 94.1% (16/17), and 87.5% (7/8) in any one of both cytological method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ensitivity of LBC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smear and we were able to obtain higher positive predictive value upto 94.1% by simultaneously conducting both cytologic methods.

Bovine Herpesvirus Type 1 정량 검출을 위한 Real-Time PCR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Bovine Herpesvirus Type 1)

  • 이동혁;정효선;이정희;김태은;이정숙;김인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1
    • /
    • 2008
  • 소의 혈액, 세포, 조직, 기관 등은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사용한 제제의 경우 소유래 원료 물질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오염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Bovine herpesvirus type 1 (BHV-1)은 소에게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바이러스중의 하나이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하는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 등에서 BHV-1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완제품에서 BHV-1을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BHV-1 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BHV-1 real-time PCR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BHV-1에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형광염료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BHV-1 DNA 정량 검출 시험법을 최적화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역가와 비교한 결과 real-time PCR 민감도는 $2\;TCID_{50}/ml$이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시험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특이성(specificity)과 재현성(reproducibility)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real-time PCR을 생물의약품 제조공정 검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BHV-1을 오염시킨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주와 소유래 콜라겐에서 BHV-1 검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BHV-1을 감염시킨 CHO 세포에서 세포변병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지만, 세포와 세포배양 상청액에서 BHV-1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소유래 콜라겐에서도 $10\;TCID_{50}/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서 확립된 BHV-1 real-time PCR 시험법은 생물의약품 안전성 보증을 위한 세포주 검증, 생물의약품생산공정 검증, 바이러스 제거 공정 검증 등에서 감염역가 시험법과 같은 생물학적 시험법을 대신할 수 있는 신속하고, 특이성과 민감성이 우수한 시험법임을 확인하였다.

FDG-PET을 이용한 악성과 양성 연부조직 병변의 감별: 반정량적 지표간의 비교 (The Differentiation of Benign from Maligant Soft Tissue Lesions using FDG-PET: Comparison between Semi-quantitative Indices)

  • 최준영;이경한;최용;최연성;김상은;서재곤;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0-101
    • /
    • 1997
  • FDG-PET의 반정량적인 당대사지표인 pSUV, aSUV, $TBR_{51}$$TBR_{area}$는 비관혈적으로 악성과 양성 연부조직 병변을 감별하는 데 모두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FDG-PET은 연부조직 종양의 평가에서 MRI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FDG-PET은 악성 연부조직 종양환자들의 전이의 발견과 치료 후 추적관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폐암환자에서 혈청 CEA, SCC, Cyfra21-1, TPA-M 측정의 의의 (Clinical Application of Serum CEA, SCC, Cyfra21-1, and TPA in Lung Cancer)

  • 이준호;김경찬;이상준;이종국;조승재;권건영;한승범;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785-795
    • /
    • 1997
  • 연구배경 : 종양 표지자는 각종 악성 종양의 진단, 진행정도, 절제 가능성, 예후추정, 치료후 추적 검사 등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민감도와 특이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아서 임상에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 Cyfra21-1이 비소세포 폐암의 진단에 CEA, SCC보다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었고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TPA-M(Tissue polypeptide antigen)이 비소세포 폐암은 진단하는데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폐암환자에서 혈청 CEA, SCC, Cyfra21-1, TPA-M의 임상적 유용성을 서로 비교해 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4월 1일 부터 19961건 8월 31일까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중 조직 생검으로 확진된 비소세포 폐암 37예와 소세포 폐암 12예를 총 49예를 폐암 환자군으로 같은 기간의 입원 환자 중 양성 양성 폐질환으로 확진된 29예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고 폐암 환자의 경우 수술, 항암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전혀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혈청을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CEA는 일본 Eiken사의 Ab bead CEA, SCC는 미국 DAINABOT사의 SCC RIA BEAD kit, Cyfra21-1은 일본 TFB사의 CA 21-1 kit, TPA-M은 일본 DAIICHI사의 TPA-M kit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전체 폐암환자와 대조군을 비교해보면 CEA가 $10.05{\pm}38.39{\mu}/L$, $1.59{\pm}0.94{\mu}/L$, SCC가 $3.04{\pm}5.79{\mu}/L$, $1.58{\pm}2.85{\mu}/L$, Cyfra21-1이 $8.27{\pm}11.96{\mu}/L$, $1.77{\pm}2.72{\mu}/L$, TPA-M이 $132.02{\pm}209.35U/L$, $45.86{\pm}75.86U/L$으로 나타났으며 Cyfra21-1과 TPA-M은 폐암환자에서 대조군보다 종양 표지자의 측정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CEA, Cyfra21-1, TPA-M, SCC의 cutoff value를 회사에서 권장하는 $2.5{\mu}/L$, $3.0{\mu}/L$, 70.0U/L, $2.0{\mu}/L$로 하였을 때 전체폐암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CEA 33.3%와 78.6%, Cyfra21-1 50.0%와 89.7%, TPA-M 52.3%와 89.7%, SCC 23.8%와 89.3%이었으며 비소세포 폐암에 대하여서는 CEA 36.1%와 78.1%, Cyfra21-1 50.1%와 89.7%, TPA-M 53.1%와 89.7%, SCC 33.8%와 89.3% 소세포 폐암의 경우에도 CEA 25.0%와 78.5%, Cyfra21-1 50.0%와 89.6%, TPA-M 50.0%와 89.6%, SCC 0%와 89.2%로 폐암환자에서 Cyfra21-1과 TPA-M이 민감도와 특이도에 있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SCC도 높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에 따라 민감도와 특이도를 얻어 가장 정확도가 높은 cutoff value를 CEA $1.25{\mu}/L$, Cyfra21-1 $1.5{\mu}/L$, TPA-M 35U/L, SCC $0.6{\mu}/L$로 하여 민감도와 특이도, 정확도 및 kappa index를 비교해 보아도 Cyfra21-1과 TPA-M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병기에 따른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종양 표지자를 3A 병기까지와 3B 병기이상으로 나누어 비교해보면 3B 병기이상에서 SCC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5) 그러나 종양크기에 따른 종양표지자의 측정치는 통제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 론 : 혈청 TPA-M과 Cyfra21-1은 폐암환자에 있어 CEA나 SCC보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으며 SCC의 경우 비소세포 폐암에 있어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며 SCC의 측정치가 병기와 유관하게 나타났으나 종양의 크기와 병기의 진행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물의약품 제조공정에서 Bovine Parvovirus 정량 검출을 위한 Real-Time PCR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Bovine Parvovirus during Manufacture of Biologics)

  • 이동혁;이정희;김찬경;김태은;배정은;김인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73-181
    • /
    • 2008
  • 소의 혈액, 세포, 조직, 기관 등은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사용한 제제의 경우 소유래 원료 물질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오염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BPV는 소에게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바이러스 중의 하나이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하는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 등에서 BPV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완제품에서 BPV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BPV 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BPV real-time PCR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BPV에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형광염료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BPV DNA 정량 검출 시험법을 최적화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역가와 비교한 결과 real-time PCR 민감도는 $1.3{\times}10^{-1}\;TCID_{50}/mL$이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시험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특이성(specificity)과 재현성 (reproducibility)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real-time PCR을 생물의약품 제조공정 검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BPV를 오염시킨 CHO 세포주와 소유래 콜라겐에서 BPV 검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BPV를 감염시킨 CHO 세포에서 세포변병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지만, 세포와 세포배양 상청액에서 BPV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소유래 콜라겐에서도 $1.3{\times}10^0\;TCID_{50}/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관류 자기공명영상과 99mTC-HMPAO 단광자방출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뇌경색의 예측 (Prediction of Infarction in Acute Cerebral Ischemic Stroke by Using Perfusion MR Imaging and $^{99m}Tc-HMPAO$ SPECT)

  • Ho Cheol Choe;Sun Joo Lee;Jae Hyoung Kim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2
  • 목적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관류 MR영상으로 측정한 상대적 뇌혈용적과 단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상대적 뇌혈류량이 나중에 발생할 뇌경색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일측성 중대뇌동맥 폐색 환자에서 증상 발생 6시간 이내에 관류 MR영상과 99mTc-HMPAO 단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모두 시행한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맥 폐색에 의한 허혈 부위와 반대측 정상 부위에서 각 관류 변수를 측정하여 그 비(허혈 부위 관류변수 값 / 정상 부위 관류 변수 값)를 구한 후, 나중에 경색으로 이행할 부위와 그렇지 않을 부위를 판별할 수 있는 관류변수 비의 절단값을 계산하였다. 결과 : 경색으로 이행한 부위와 그렇지 않은 부위에서 상대적 뇌혈용적 비의 평균값은 각각 $0.58{\pm}0.27{\;}and{\;}0.99{\pm}0.17$ (p<0.001)이었고, 상대적 뇌혈류량 비의 평균 값은 $0.41{\pm}0.22{\;}and{\;}0.71{\pm}0.14$ (p<0.001)이었다. 경색으로 이행할 부위와 그렇지 않을 부위를 판별하는 절단값은 상대적 뇌혈용적 비가 0.80, 상대적 뇌혈류량 비가 0.56이었다. 각 절단값의 민감도, 특이도, 능률은 뇌혈용적 비가 80.6, 87.5, 82.7%이었고 상대적 뇌혈류량 비가 72.2, 75.0, 73.0%이었다. (두 관류변수 사이에서 p>0.05). 결론 :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상대적 뇌혈용적과 상대적 뇌혈류량의 측정은 뇌경색의 발생을 예측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물의약품 제조공정에서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정량 검출을 위한 Real-Time RT-PCR (Real-Time RT-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during Manufacture of Biologics)

  • 조항미;이동혁;김현미;김인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4-42
    • /
    • 2008
  • 소의 혈액, 세포, 조직, 기관 등 소 유래 물질을 원료로 사용한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의 경우 소 유래원료 물질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오염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BVDV는 동물세포주, 우혈청 등에 가장 흔하게 오염되는 바이러스이다. 소 유래물질을 원료로 하는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 등에서 BVDV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완제품에서 BVDV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BVDV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BVDV real-time RT-PCR시험법을 확립하였다. BVDV에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형광염료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BVDV RNA 정량 검출 시험법을 최적화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역가와 비교한 결과 real-time RT-PCR 민감도는 $1TCID_{50}/mL$이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시험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특이성 (specificity)과 재현성(reproducibility)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real-time RT-PCR을 생물의약품 제조공정 검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BVDV를 오염시킨 CHO 세포주와 소 유래콜라겐에서 BVDV검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BVDV를 감염시킨 CHO 세포와 세포배양 상청액에서 BVDV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소 유래 콜라겐에서도 $10TCID_{50}/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Clinical Significance of Detecting Lymphatic and Blood Vessel Invasion in Stage II Colon Cancer Using Markers D2-40 and CD34 in Combination

  • Lai, Jin-Huo;Zhou, Yong-Jian;Bin, Du;Qiangchen, Qiangchen;Wang, Shao-Y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363-1367
    • /
    • 201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in colon cancer lymphatic vessel invasion (LVI) with D2-40 antibody labeling and regular HE staining, blood vessel invasion (BVI) with CD34 antibody labeling and HE staining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using D2-40-LVI/CD34-BVI in combination for predicting stage II colon cancer prognosis and guiding adjuvant chemotherapy.Anti-D2-40 and anti-CD34 antibodies were applied to tissue samples of 220 cases of stage II colon cancer to label lymphatic vessels and small blood vessels, respectively. LVI and BVI were assessed and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associations with colon cancer prognosis. Regular HE staining proved unable to differentiate lymphatic vessels from blood vessels, while D2-40 selectively labeled lymphatic endothelial cell cytosol and CD34 was widely expressed in large and small blood vessels of tumors as well as normal tissues. Compared to regular HE staining, D2-40-labeling for LVI and CD34-labeling for BVI significantly increased positive rate (22.3% vs 10.0% for LVI, and 19.1% vs 9.1% for BVI).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NM stage, pathology tissue type, post-surgery adjuvant chemotherapy, D2-40-LVI, and CD34-BVI were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whole group colon cancer prognosis, while HE staining-BVI, HE staining-LVI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hen CD34-BVI/D2-40-LVI were used in combination for detection, the risk of death for patients with two or one positive results was 5.003 times that in the LVI(-)&BVI(-) group (95% CI 2.365 - 9.679). D2-40 antibody LVI labeling and CD34 antibody BVI labeling have higher specificity and accuracy than regular HE staining and can be used as molecular biological indicators for prognosis prediction and guidance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stage II colon cancer.

Association of Metastasis with Clinicopathological Data in Mexican Patients with Osteosarcoma, Giant Cell Tumor of Bone and Chondrosarcoma

  • Estrada-Villaseor, E;Escamilla-Uribe, R;De la Garza-Montano, P;Dominguez-Rubio, R;Martinez-Lopez, V;Avila-Luna, A;Alfaro-Rodriguez, A;Ruvalcaba-Paredes, EK;Garciadiego-Cazares, D;Bandala, C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689-7694
    • /
    • 2015
  • Background: Bone tumors are neoplasias with a high overall mortality;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survival is their high capacity to develop metast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finding lung metastases at diagnosis of osteosarcoma (OS), chondrosarcoma (CS) and giant cell tumor of bone (GCTb) is quite common. In this study, we inquire the relationship of metastases caused by these tumors with differ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in order to guide medical personnel in the diagnosis and opportune treatment of metastases or micro metastases.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data of 384 patients with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OS, GCTb and CS that attended the N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e (INR) during 2006 to 2014.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 the three tumor types, the presence of metastases at diagnosis was variable (p=0.0001). Frequency of metastases was 36.7%, 31.7% and 13.2% for OS, CS and GCTb respectively. The average ag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relation to metastases, even so, patients with OS and GCTb and metastases, were older while patients with CS and metastases were younger, in comparison to patients without metastases. Males had a higher frequency of metastases (68.2%, p = 0.09) in contrast to CS and GCTb, in which the metastases was more frequent in women with 51.9% (p = 0.44) and 57.9% (p = 0.56) respectively. Broadly, metastasis was associated with primary tumors located in the femur (44.4%), followed by the tibia (15.6%); metastases was more frequent when primary tumor of GCTb and OS were in the same bones, but were located in the hip (26.3%) for CS.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metastases in OS, GCTb and CS is high in our population and is determined by different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 kind of tumor.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valuate metastases subsequent to diagnosis and associations with survival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urrent methods of detection.

Semaphoring mAb: a New Guide in RIT in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Human Skin Carcinoma

  • Liu, Yuan;Ma, Jing-Yue;Luo, Su-Ju;Sun, Chen-Wei;Shao, Li-Li;Liu, Quan-Z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41-945
    • /
    • 2015
  • Semaphoring is a transmembrane receptor which participates in many cytokine-mediated signal pathway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angiogenesis,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carcinom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ccess the effect of mono-antibody (mAb) guided radioimmunotherapy (RIT) on skin carcinoma and investigate the potential mechanisms. Semaphoring mAb was acquired from mice (Balb/c), purified with rProtein A column; purity, concentration and activity were tested with SDS-PAGE and indirect ELISA; specificity and expression on the cutanuem carcinoma line and tissue were tested by Western blotting; morphology change was assessed by microscopy. MTT assay and colony inhibition test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influence on the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Western blotting was also carried out for expression of apoptosis-associated (caspase-3, Bax, Bcl-2) and proliferation-related (PI3K, p-Akt, Akt, p-ERK1/2, ERK1/2) proteins and analyse the change in signal pathways (PI3K/Akt and MEK/ERK). The purity of purified semaphorin mAb was 96.5% and the titer is about $1{\times}10^6$. Western blotting showed semaphoring mAb to have specifically binding stripes with semaphoring b1b2 protein, B16F10, and A431 cells at 39KDa, 100KDa and 130KDa, respectively. Positive expression was detected both in cutanuem carcinoma line and tissue and it mostly located in cell membranes. MMT assay revealed dose-relate and time-relate inhibitory effect of semaphorin mAb on A431 and B16F10. Colony inhibition tests also showed dose-relate inhibitory effects. Western blotting demonstrated the expression of apoptosis and proliferation-related protein and changes in signal pathway.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semaphorin is highly expressed on the tumor cell-surfaces and RIT with semaphorin mAb has effect in i nhibiting proliferation and accelerating apoptosis of tumo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