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nea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1초

足部白癬茵의 韓方治療劑 開發을 위한 硏究 (Experimental Study on Antifungal effects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Aconiti Radix, Hibisci Syriaci Cortex and those mixture, Phellodendri Cortex, Sophorae Radix, Torilis Fructus on various species of the dermatophytes)

  • 최규동;권영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7-279
    • /
    • 2000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Aconiti Radix, Hibisci Syriaci Cortex and those mixture. Phellodendri Cortex, Sophorae Radix, Torilis Fructuson on various species of the dermatophytes on Microsporium gypseum, Trichophytone rubrum and Epidermophytone floccosum were determined after 4 weeks of incubation at $25^{\circ}C$ in Sabouraud dextrose broth.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es : 1. Antifungal effects of Phellodendri $Cortex\;{\cdot}Hibisci$ Syriaci Cortex and mixture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Aconiti Radix, Hibisci Syriaci Cortex on T rubrum which is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inea pedis wer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others. 2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erbal medicines such as Phellodendri $Cortex\;{\cdot}Hibisci$ Syriaci Cortex and mixture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Aconiti Radix, Hibisci Syriaci Cortexse can be used to treat tinea pedis and to improve untoward effects associat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antifugual agents.

  • PDF

A Randomized Active Controll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Safety and Efficacy of a Topical Unani Formulation Marham Kharish Jadeed in the Management of Qūbā (Tinea Corporis)

  • Aaliya, Aaliya;Nawab, Mohammad;Kazmi, M.H.;Ayyub, Sana
    • 셀메드
    • /
    • 제10권3호
    • /
    • pp.22.1-22.7
    • /
    • 2020
  • Introduction: Qūbā (Tinea Corporis) is a very common disease widely prevalent worldwide. 20 - 25 % individuals suffer for this stubborn disease. Unani System of Medicine offers its treatment. There are many pharmacopoeial formulations indicated for various types of dermatophytic infections. In this study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he topical Unani formulation Marham Kharish Jadeed (a compound drug in the dosage form of an ointment) was assessed and compared with a standard conventional medicine. Materials and methods: A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on 60 participants of qūbā randomiz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n=30 in each group). The participants were clinically diagnosed and confirmed by microscopy of skin scrapings. The efficacy of the Unani formulation was assessed in terms of TSS score and elimination of fungal elements from the skin lesion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and discus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Unani formulation had comparatively better efficacy clinically than conventional medicine Terbinafine hydrochloride 1% cream in terms of reduction of itching, erythema, scaling, peripheral raised margins of the lesion comparing to baseline. In this study, 27 participants in test group and 18 participants in control group were completely cured (≥75% reduction in TSS Score with Mycological Cure) after 4 weeks of treatment. The efficacy of the Unani formulation was found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individual drugs of the formulations having analgesic (Musakkin), blood purifier (Muṣaffi-i-Dam), demulcent (Mulaṭṭif), antifungal (Qātil-i-fafūndῑ), detergent (Jālῑ), refrigerant (Mubarrid) and antiseptic (Dāfi'-i-'Ufūnat) propertie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efficacy of Unani formul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ani formulation was found effective and safe in the management of qūbā. No local and systemic adverse effect was reported during the study.

전풍(?風)의 임상적(臨床的) 및 균학적(菌學的) 연구(硏究) (A Clinical and Mycological Investigation on Tinea versicolor)

  • 김홍식;서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9-207
    • /
    • 1981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establish more accurately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desease as seen in Korea, and to investigate susceptibility factors and to study the ecology of P. orbiculare in this condition. All of 50 new patients with Tinea versicolor attending the Ewha University Hospital, during a period of 6 months were studied personally. 1. Clinical feature: The sex ratio of the whole series was 32 males to 18 females. Twenty of 50 patients (40%) were between the age of 20 to 29 years. The duration of disease was more than 4 months in 37 of 50 patients (74%). The cases of first onset in June, July and August were 33 of 50 patients (66%). Whereas, the developed in December, January and February were only 3 of 50 patients (6%). Seasonal fluctuation was remarkable in 16 of 25 patients (66.7%) who had the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The course of disease was rapid in 33 of 50 patients (66%) and slow in 9 of 50 patients (18%). Thirty-three of 50 patients (66%) had not any subjective symptoms. Thirteen patients (26%) had mild itching sensation and 4 patients (8%) had severe itching. The frequency of the first affected were neck (27.4%), axilla (19.2%) anterior chest (15.0%) and groin (11.0%). 7) Hyperpigmented lesions were observed in 35 of 50 patients (70%) and hypopigmented lesions were observed in 11 of 50 patients (22%). Skin lesions were noticed mainly in the anterior chest, neck, back and axilla, and more severe in the anterior chest, back and abdomen than other areas. Tinea versicolor was particularly prevalent in those persons who had occupations of mental work and who perspired every day or every 2 or 3 days. A positive family history of Tinea versicolor was obtained in 7 of 50 patients (14%). Fourteen of 50 patients (28%) had association with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2. Mycological features: Typical appearance of M. furfur was observed in all scrapings from 25 lesions and only 3 scrapings from 20 clinically skin of the patients. P. orbiculare was seen on direct examination of scrapings from 24 of 25 skin lesions, from 19 of 20. clinically normal skin of patients and from 18 of 29 control normal skin. The quantity of P. orbiculare was greater in skin lesions and clinically normal skin area than in control normal skin surfaces.

  • PDF

족부백선 치료액 오인 점안 후 발생한 안구화학손상 2례 (Ocular chemical burns following accidental instillation of tinea pedis treatment solution: A report of two cases)

  • 김정호;정한솔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38
    • /
    • 2022
  • Many commonly used household chemicals and medical eye drops look alike, resulting in a worldwide increase in incidences of accidents caused by confusion between similar-looking agents.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two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llowing inadvertent instillation of tinea pedis treatment solution instead of eye drops. Both patients developed corneal chemical burns following the accidental application. Notably, the visual acuity and symptoms eventually recovered for both patients after hospitalization. However, complete recovery occurred only after several weeks. Both patients were relatively old and had been prescribed eye drops after previous ophthalmic surgery. Since the eye is a sensory organ that receives visual information, ocular injuries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functioning of the patient. Incidences of accidental misidentification of eye drops are steadily increasing in South Korea; unfortunately, regulatory policies are unavailable to avoid such hazards. Therefore, physicians should be mindful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misidentification of everyday household products and must spend time educating patients when prescribing eye drops. Policy regulations are warranted for products with containers that resemble eye drop bottles. Such items need to be clearly labeled with additional warnings to prevent misidentification and accidental ocular instillation.

鵝掌風에 關한 文獻的 考察 (A literatual studies on the ajangpung(鵝掌風).)

  • 장기영;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1-161
    • /
    • 1998
  • In the literatual studies on the ajangpung(鵝掌風),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jangpung(鵝掌風) is called 'Jangsimpung(掌心風)', is concerned with 'Tinea Manus(手癬)' in western medicine. The pathogenic factors of Ajangpung were stomach-heat & blood dryness, wind-cold-wetness evil, or contact infection etc. The treatments of Ajangpung were used external treatments for dispelling wind-evil & cooling blood, dispelling wetness-evil & parasiticidal therapy. In the frequency of prescription, the most numerous prescription was Yibansan(二礬散) and the next were Yungigo(潤肌膏), Gupungjihwanghwan(祛風地黃丸) etc.

  • PDF

대구지방 소아 및 토양에서 분리한 Microsporum gypseum의 교배형에 대한 연구 (Study on Mating Type of Microsporum gypseum Isolated from Children Patients and Soils in Taegu Area)

  • 노병의;방용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9-114
    • /
    • 1996
  • Microsporum gypseum complex의 교배형 및 감염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에 거주하는 소아에서 분리한 M.gypseum 17주와 환자주변의 초등학교 운동장, 화단 및 어린이 놀이터의 토양에서 분리한 60주를 표준균주 A.gypsea 및 A.incurvata와 교배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아에서 분리된 M.gypseum 17주의 성별 완전형의 분포는 남아에서 A.incurvata가 14주 이었고, A.gypsea는 3주이었다. 여아에서는A.incurvata만 4주 분리되었다. 병형별 분리빈도는 Tinea facial가 A.gypsea 2주, A.incurvata 10주로 다른 부위보다 많이 분리되었다. 교배형의 분포는 환자에서 분리한 17주중 A.gypsea는 3주중 "+"형 2주, "-"형이 1주이었고, A.incuwata는 "+"형이 6주, "-"형이 8주이었다. 토양에서 분리한 60주의 교배형의 분포는 A.gypsea는 31주중 "+"형 16주, "-"형이 15주이었고, A.incurvata는 "+"형이 15주, "-"형이 14주이었고 특히 소아에서 많이 분리된 A.incurvata가 어린이 놀이터에서 많이 분리된 것을 보면 소아의 M.gypsen 감염은 놀이터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된 A.incurvata가 어린이 놀이터에서 많이 분리된 것을 보면 소아의 M.gypsen 감염은 놀이터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ityrosporum 균속의 항진균제에 대한 연구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Antifungal Drugs on Pityrosporum Species)

  • 정병천;노병의;방용준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4
    • /
    • 1997
  • Pityrosporum spp.은 1952년 Vanbreuseghem가 전풍환자에서 분리한 Pityrosporum spp.를 round form, elongated form 및 oval form으로 구분하고 이중 round form를 Pityrosporum (P.) orbiculare라 하고 oval form를 P. ovale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현재 Pityrosporum 균속에는 P. orbiculare, P. ovale, P. pachydermatis가 있고, 이 중 P. orbiculare와 P. ovale는 호지방성으로 배양시 일반적인 진균배지에 올리브 기름을 첨가하여 37$^{\circ}C$에 배양하면 효모양의 집락을 형성하며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가 첨가된 배지와 전풍환자에서는 균사를 볼 수 있다. Pityrosporum spp.도 Candida spp. 처럼 효모기 (yeast phase)는 비병원성이고 균사기 (mycelial phase)에는 병원성이 있으며 균의 분리는 전풍환자에서 뿐만 아니라 건강한 성인에서도 90%이상 배양되는 인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상재균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양 조건 때문에 Pityrosporum균속의 항진균제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ketoconazole, itraconazole, selenium sulfide, sodium thiosulfate의 MIC 검사를 한 결과 ketoconazole은 0.05~0.8$\mu\textrm{g}$ ml$^{-1}$로 itraconazole, solenium sulfite 및 sodium thiosulfate보다 ketoconazole이 MIC가 가장 낮게 나타난다. P. orbiculare의 대한 각 약제의 MIC를 비교해 보면 4종의 약제 전부에서 ketoconazole이 낮았으며, 건강인에서 분리한 균주가 전풍환자에서 분리한 균주보다 MIC$_{50}$, MIC$_{90}$에서 모두 낮았다. P. ovale에 대한 경구용 및 국소용 항진균제의 MIC$_{50}$, MIC$_{90}$에서도 P. orbiculare보다 현저히 낮은 MIC를 보였다.

  • PDF

농촌지역 주민들의 피부 질환에 대한 치료 행태 (The Patterns of Medical Utilization on Dermatoses among Rural Inhabitants)

  • 김창윤;주리;사공준;정종학;곽태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103-113
    • /
    • 1999
  • 이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경상북도 소재 일개 군지역에서 피부질환으로 피부과 전문의의 검진을 받은 환자 847명 중 설문조사가 가능하였던 7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 환자별 성별연령별 분포를 조사하고 치료 경험 여부와, 처음 치료를 시작한 곳과 민간 요법이나 개인적인 치료법 사용여부 및 치료 경험이 있을 경우 그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이 피부 질환의 진료 및 치료에 있어 어떤 경로를 밟고 그 일반적인 치료 행태의 경향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760명의 조사대상자는 남자가 283명으로 37.2%였고 여자가 477명으로 67.3%였다. 총 대상환자 중 20대 환자가 3.3%로 가장 적었고 60대 환자가 21.3%로 가장 많았다. 2. 대상 환자들에게 빈도가 높은 15개 질환은 족부 백선이 34.9%로 가장 많았고 노인성 소양증, 접촉성 피부염, 주부습진, 지루성 피부염, 화폐상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체부 백선, 조갑 백선, 심상성 여드름, 전염성 농가진, 박탈성 각질용해층, 만성 두드러기 및 전염성 연속중의 순이었다. 3. 환자들이 피부질환을 위해 최초로 치료받은 곳은 약국이 39.6%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과 전문의가 아닌 개인의원, 피부과 의원 및 종합병원 피부과의 순이었다. 4. 대상환자 760명 중 121명(15.9%)이 민간 요법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환부를 식초에 담그거나 도포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민간 요법을 시행한 후 환자 본인이 느끼는 자각증상은 변화가 없었다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호전되었다, 악화되었다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농촌지역의 경우 다수의 피부과 환자들이 약국에서 일차진료를 받고 있는 현실이며 피부질환에 대한 인식이 낮음으로 인해 의학적 근거가 없는 다양한 민간요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환자들이 잘못된 치료 행태로 인해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입지 않게 올바른 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될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도장 부서 남성 근로자들의 피부 질환 (Skin diseases of male workers in painting workplace)

  • 박재범;이경종;장재연;정호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4호
    • /
    • pp.830-839
    • /
    • 1997
  • 직업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작업 공정의 하나인 도장작업자들의 피부 질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 조선업체 도장 부서의 남자 근로자 379명을 폭로군으로, 같은 회사 비도장부서에서 근무하고 유기용제를 취급한 경력이 없는 근로자 151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부과적 진찰 결과 도장부서 근로자들이 이환되어 있는 가장 흔한 피부질환은 족부 백선으로 폭로군의 유병률은 48.0%였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이환될 비차비가 3.18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접촉성 피부염과 한포진의 유병률도 각각 11.9%, 11.9%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질병에 이환될 비차비가 4.95, 6.6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도 비특이적 습진, 자극성 피부염, 모낭염, 두드러기 등과 같은 피부 질환이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접촉 피부염 소견을 보이는 폭로군 중 71.1%가 피부 증상이 휴일이나 휴가시에 호전된다고 응답하였고, 68.9%가 옷이나 보호구에 가려지지 않는 노출부위에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고 응답하여 접촉 피부염이 작업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근로자들의 보호구 착용률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지만 보호구 착용과 피부질환과는 연관성이 없어서 보호구 착용이 피부질환의 예방에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의 유병률을 수행직무별로 스프레이군, 터치업군, 혼합군, 전처리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피부 질환의 위험도는 수행직무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도장 부서 근무 년수에 따른 비교에서도 근무 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이지 않았는데 근무 기간에 길어질수록 피부 저항이 증가되며, 피부반응이 둔해지며, 숙련된 작업으로 접촉물질에 대한 노출이 감소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조선업체 도장부서 근로자들에게서 접촉 피부염, 한포진, 족부 백선 등 작업과 연관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도장 부서 근로자들의 피부 병변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