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n

검색결과 2,461건 처리시간 0.041초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 Fabricated by Indium-Tin-Organic sol with ITO Nanoparticle at Low Temperture

  • Hong, Sung-Jei;Chang, Sang-Gweon;Han, Jeong-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34-1338
    • /
    • 2006
  • In this work,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 was fabricated by indium-tin-organic sol including ITO nanoparticle. ITO nanoparticle showed ultrafine size about 5 nm and (222) preferred crystal structure. Also, ITO sol-gel thin film showed good optical transmittance over 83% and electrical resistance less than $7\;{\times}\;10^3\;{\Omega}$.

  • PDF

집적도를 높인 평면형 가스감지소자 어레이 제작기술 (New Fabrication method of Planar Micro Gas Sesnor Array)

  • 정완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I
    • /
    • pp.727-730
    • /
    • 2003
  • Thin tin oxide film with nano-size particle was prepared on silicon substrate by hydrothermal synthetic method and successive sol-gel spin coating method. The fabrication method of tin oxide film with ultrafine nano-size crystalline structure was tried to be applied to fabrication of micro gas sensor array on silicon substrate. The tin oxide film on silicon substrate was well patterned by chemical etching upto 5${\mu}{\textrm}{m}$width and showed very uniform flatness. The tin oxide film preparation method and patterning method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newly proposed 2-dimensional micro sensor fabrication.

  • PDF

납-주석합금 도금층의 조성 및 조직특성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Lead-Tin alloy electrodeposits)

  • 예길촌;지창훈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1-160
    • /
    • 2001
  • The composition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lead-tin alloy electrodeposited in a gluconate bath were invesitigated according to electrolysis conditions. The tin content of the lead-tin alloy electrodeposits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and EDTA addition, while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sodium gluconate concentration. The preferred orientation of the alloy deposits changed from the (220) plane through (200) to (200) + (111) planes with increasing cathode overpotential.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films was closely related to both the preferred orientation and the alloy composition.

  • PDF

The Growth Kinetics of Tin Oxide Films from Tetramethyltin

  • 이상운;윤천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9호
    • /
    • pp.1031-1034
    • /
    • 1999
  • Tin oxide films have been grown employing the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under reduced pressure conditions using tetramethyltin as the precursor and oxygen as the oxidant. An activation energy derived for the deposition reaction under representative deposition conditions has a value of 89±3 kJ mol-1, suggesting a typical kinetic control. Deposition rates of tin oxide films exhibit a near first order dependence on tetramethyltin partial pressure and a zeroth order dependence on oxygen partial pressure.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growth kinetics of tin oxide films from tetramethyltin by the cold-wall 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콩고민주공화국 무완자-콩골로 지역 주석광화대의 지질 및 광화작용 (Geology and Mineralization of Mwanza and Kongolo in DR Congo Tin belt)

  • 양석준;박성원;고상모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6호
    • /
    • pp.709-719
    • /
    • 2012
  •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에 발달하는 주석광화대 중에서 카탕가 주에 위치하는 무완자와 콩골로 지역을 대상으로 광상탐사를 실시하였다. 카탕가 주에 발달하는 대부분의 광상은 주로 화강암류와 연관되며, 북동-남서 방향의 중기원생대의 키바란대 내에 위치한다. 키바란대에 위치하는 변성퇴적암류는 다양한 화성암에 의해 관입을 받았으며, 그중 tin granite(970 Ma)와 연관되어 주석, 니오비움, 탄탈륨 등의 광상이 발달한다. 무완자와 콩골로 지역 광상은 주로 tin granite와 관련된 페그마타이트, 석영맥 또는 그라이젠 부분에 석석, 콜탄, 금 등이 발달하며, 상기 광석을 대상으로 소규모 채광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식생 등의 영향으로 광화대 확인을 위한 노두가 거의 노출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서는, 채굴중인 충적층 및 하천퇴적물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향후 상기 시료에 대한 화학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 광화대 지역을 선정하여 정밀탐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나노 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주석 산화물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odic Tin Oxides with Nano-Porous Structure)

  • 이재욱;박수진;신헌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27
    • /
    • 2011
  • A nano-porous structure of tin oxide was prepared using an anodic oxidation process and the sample's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application as an anode in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icroscopic images of the as-anodized sample indicated that it has a nano-porous structure with an average pore size of several tens of nanometers and a pore wall size of about 10 nanometers; the structural/compositional analyses proved that it is amorphous stannous oxide (SnO). The powder form of the as-anodized specimen was satisfactorily lithiated and delithiated as the anode in a lithium battery. Furthermore, it showed high initial reversible capacity and superior rate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previous fabrication attempts. Its excellent electrode performance is probably due to the effective alleviation of strain arising from a cycling-induced large volume change and the short diffusion length of lithium through the nano-structured sample. To further enhance the rate performance, the attempt was made to create porous tin oxide film on copper substrate by anodizing the electrodeposited tin. Nevertheless, the full anodization of tin film on a copper substrate led to the mechanical disintegration of the anodic tin oxide, due most likely to the vigorous gas evolution and the surface oxidation of copper substrate. The adhesion of anodic tin oxide to the substrate, together with the initial reversibility and cycling stability,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for its application to high-power electrode materials in lithium batteries.

전이금속 이온에 대한 주석 인산염의 선택적 흡착에 관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lective Adsorption of Tin Phosphate on the Transition metal ions)

  • 안범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22-1228
    • /
    • 2020
  • Tin bis(monohydrogen orthophosphate) monohydrate 물질의 흡착 성질에 관하여 KCl 수용액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금속이온 농도와 pH를 변화시키면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화학평형에 바탕을 두고 data를 분석하였다. 금속이온들의 흡착 data는 Langmuir 흡착식에 넣어 Langmuir 수치들을 얻는 데 사용되었다. Tin phosphate는 산성에서 이온교환 화합물로 작용하였으며, 2가의 전이금속이온에 대해 Cu+2 > Co+2 > Ni+2의 순서로 선택적 흡착성질을 나타내었다. 약한 산성 이온 교환체에서와 같이 금속이온의 교환은 tin phosphate의 선택성을 결정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흡착의 정도는 온도와 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Lnngmuir 수치들은 흡착과정 동안의 엔트로피, 엔탈피, 자유에너지 변화량같은 열역학적 함수들을 계산하는데 이용되었다.

옥살레이트 침전법에 의한 폐솔더 박리액에서 주석 및 구리의 회수 (Recovery of Tin and Copper from Waste Solder Stripper by Oxalate Precipitation)

  • 류승형;안재우;안효진;김태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3호
    • /
    • pp.37-43
    • /
    • 2014
  • 폐솔더 박리액으로부터 옥살산 침전법을 이용하여 주석 및 구리의 분리 침전을 통해 각각 금속염으로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옥살산의 첨가에 따라 주석의 침전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당량비(옥살산/주석)의 1.0-1.5배를 첨가할 경우 주석이 99.5%의 이상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 구리는 2.0% 정도 침전되었고 철, 납등은 침전되지 않아 주석만 선택적으로 침전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반응온도 증가에 따라 주석의 침전율은 증가하여 $60^{\circ}C$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다가 온도가 더 증가하면 오히려 감소 경향을 보였다.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SnO_2$의 산화물을 얻을 수 있었다. 주석이 제거된 폐솔더 박리액에 옥살산을 첨가하여 구리를 납, 철 등의 금속이 선택적으로 약 91% 이상 침전되어 회수가 가능하였다.

염산용액에서 사이클론형 전해방식에 의한 주석의 전해채취 (Electrowinning of Tin from Acidic Chloride Effluents by Cyclone type Electrolytic Cell)

  • 조연철;강명식;소홍일;이주은;안재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3호
    • /
    • pp.61-68
    • /
    • 2017
  • 염산 용액에서 주석을 금속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사이클론 전해채취 방식을 사용하였다. 주석의 전해채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유속, 전류밀도, 전해액 중 주석 농도, 염산 농도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속이 증가하고, 주석과 염산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주석의 회수율과 전류효율이 증가하였고,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수율은 증가하였으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유속 18 L/min., $3A/dm^2$, 2.5 g/L Sn, 5 wt.% HCl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주석을 회수할 수 있다.

폐주석산화물로부터 환원공정 및 전해정련을 통한 치과용 고순도 주석 회수 (Recovery of Tin with High Purity for Dental Materials from Waste Tin oxide by Reduction and Electro Refining)

  • 정현철;김상열;이민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7권6호
    • /
    • pp.38-43
    • /
    • 2018
  • 유리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요업로 전극봉인 폐주석 산화물로부터 가스환원공정과 전해정련을 통하여 고순도 주석을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메탄가스 환원공정을 통해 99% 순도의 조주석을 회수하고, 불순물을 미량 제어하였다. 주석의 전해정련시 전류밀도가 $60A/dm^2$이고 전해액의 황산농도가 0.75 mol일 때 99.979%의 고순도 주석이 96.8% 회수되었다. 그리고 전극봉에 포함된 Pb, Sb 등의 독성 불순물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