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d up and go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3초

상상연습이 노인의 균형 능력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Balance Ability and Fall Efficacy in Dwelling Elderly Population: Single Subject Design)

  • 정준철;정해윤;이창대;유은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42
    • /
    • 2015
  • 목적 : 상상연습(mental practice)이 노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10월 까지 인지에 문제가 없고 낙상에 경험이 있지만 보조 도구 없이 자립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 3명에게 상상연습을 제공하였다. 개별 사례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과정 4회기, 중재 과정 5회기, 재 기초선 과정 4회,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균형 능력 및 낙상 효능감 증진을 위해 상상연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전반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lance Scale; BBS), 낙상효능감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낙상효능감척도(Fall Efficacy Scale: FES), 정적, 동적 균형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외다리기립검사(One-Leg Standing test; OLS),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 TUG)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평균값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상상연습 기법 적용 후 모든 대상자의 낙상효능감이 기초선 과정에서 측정된 수치 보다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전반적 균형 능력과 정적 동적 균형 능력 또한 증진 또는 유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노인의 낙상효능감과 균형능력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노인의 낙상 예방 활동으로 상상연습의 적용을 추천한다.

감각운동훈련이 노인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in Older Adults)

  • 정태경;박정서;최종덕;이지연;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4호
    • /
    • pp.29-3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6-week sensorimotoor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lower limb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in older adults. Methods: Twenty-fou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between 65 and 90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older ad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n=12), th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was performed bare feet. General exercise was performed in the control group (n=12). Then, both groups exercised three times a week for forty minutes over a 6-week period. Balance ability was evaluated by One leg stand (OLS) test for determining the static balance and Timed Up & Go (TUG) test for determining the dynamic balance. In addition, muscle activation of the dominant lower limb tibialis anterior and gastrocnemius medialis muscles were measured by surface EMG to evaluate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een in the one leg standing (OLS) time after exercise in both the sensorimotor training (SMT) group and general exercise (GE) group (p<0.05) and the change in the SMT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GE group (p<0.05). A significant reduction was seen in the Timed Up & Go (TUG) test time after exercise in both the SMT group and GE group (p<0.05). Also, a significant increase was seen in muscle activation of tibialis anterior muscle after exercise in the SMT group (p<0.05), but no such significant increase was seen in the GE group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nsorimotor training improves the balance in older adults and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muscular strength and gait. Sensorimotor training provided a variance of training environment and COG exercise of the body is thought to be a more effective exercise program that improves balance and gait ability in older adults.

푸셔 증후군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서 시각적 피드백기반 로봇보조 재활치료의 효과 (Effect of Robot Assisted Rehabilitation Based on Visual Feedback in Post Stroke Pusher Syndrome)

  • 김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62-5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과 로봇보조재활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에 대한 치료적인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총 10명의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보이는 환자가 모집되었다. 환자는 각각 5 명씩 로봇보조재활치료와 대조군으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로봇보조재활치료와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함께 받았으며, 대조군은 하루 2회 일반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중재 시간은 30분간 진행되었으며, 주 5회, 4주간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 변화는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SCP), Berg balance scale (BBS), falling index (FI), Timed up and go test (TUG)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주간의 중재 치료 후 로봇보조재활치료 군에서 SCP (p=0.046), BBS (p=0.046), FI (p=0.038), TUG (p=0.038)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SCP와 BBS (p=0.024), FI (p=0.039), TUG (p=0.030)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로봇보조재활치료는 일반적인 재활치료에 비하여 뇌졸중 후 푸셔 증후군을 회복하는데 더 도움이 되었으며, 푸셔 증후군의 회복은 균형과 보행기능의 향상과 관련이 있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and Task-Oriented Programs of Balance for the Elderly)

  • 김진주;신선정;안슬기;이은별;조한울;백영림;차정진;이향숙;노종수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3-46
    • /
    • 2013
  • 목적 :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이 노인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12명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을 각각 6주간 주 2회씩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 변화를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이동 능력검사(Timed Up and Go: TUG), 한 발 서기 검사(One-Legged Stance Test: OLST), 5회 반복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5-Repetition Sit-To-Stand Test: 5R-STS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결과 프로그램 전 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하지만 세 집단 간 비교에서는 버그 균형 척도, 한 발 서기 검사 중 눈 뜨고 좌, 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사후 검정결과 눈 뜨고 검사 - 좌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 간에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현실화된 과제 지향 프로그램은 노인의 균형 능력 향상에 좀 더 긍정적이었으며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좀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

키네시오 테이핑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김순희;전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47-255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키네시오테이핑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을 결합 적용하여 단일방법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 29명을 대상으로 테이핑군(10명), 경피신경전기자극군(10명), 테이핑과 경피신경전기자극 결합한 결합군(9명)으로 나누었다. 중재기간은 4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에는 Timed Up & Go(TUG)와 Berg balance Scale(BBS)를 이용하여 균형평가를 실시하였고 보행 평가는 Functional Gait Assessment(FGA)와 10-metre walk test를 이용하였다. 삶의 질 평가는 EuroQol-5 dimension (EQ-5D)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세 군 모두에서 TUG, BBS, FGA, 10 meter walk test, EQ-5D에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다(p<.05). 세 군간 중재효과 비교에서 결합군이 나머지 두 군보다 FGA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경피신경전기자극과 테이핑 결합이 단일적용 보다 FGA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FGA를 제외하고 다른 변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더 많은 대상자 수와 중재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적 전기 자극을 적용한 전동식 보행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Gait Training Using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Combined With Simultaneou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안승헌;이윤미;양경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1호
    • /
    • pp.41-4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ait training with the use of an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for patients that had undergone subacute stroke.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nine subacute str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Korea. Outcome was measur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est, Fugl-Meyer-L/E assesment, with determination of the comfortable maximal gait speed, composite spasticity score, functional ambulatory category and Berg balance scale. All measured scores were recorded before, during, and after rehabilitation and at an eight-week follow-up. Results: Patients who received electromechanical-assisted gait training in combination with FES after subacute stroke were more likely to achieve independent walking, functional activities, balance and gait speed. Conclusion: The outcome of our gait-training program demonstrates that it may be practical to integrate FES into electromechanical gait training without any adverse effects. However,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if patient outcome after combined training is superior to outcome after the use of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treatment alone or conventional gait training alone.

  • PDF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경직에 따른 족저근막의 두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 of Plantar Fascia Thickness in Chronic Stroke Patient Based on Spasticity)

  • 김태곤;심기철;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23-572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불균형 상태의 근 긴장도와 무리한 보행훈련에 자주 노출되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경직에 따른 족저근막의 두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성 뇌졸중 환자 54명에서 Group I(MAS G0) 18명, Group II(MAS G1) 18명, Gropup III(MAS G3) 18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방법으로는 임상증상 및 이학적 검사, MAS(Modified Ashworth Scale), 초음파영상 촬영장치, ROM(Range of Motion), VAS(Visual Analogue Scale), TUG(Timed Up and Go test)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각 그룹 간 정상측과 마비측의 족저근막의 두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두꺼워졌다(p<.001). 각 그룹 간 정상측과 마비측의 족관절 배측굴곡 ROM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아졌으며(p<.001), VAS(p<.001), TUG(p<.001)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커졌다(p<.001). 본 연구는 족저근막에 대한 병리역학(pathokinesiology)적 내용을 제시함으로서 뇌졸중 환자의 보행훈련 시 고려해야 할 내용 중 하나임을 제시하였다.

경련성 감소를 위한 치료적 중재 연구 (Therapeutic Intervention to Reduce Spasticity)

  • 이중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427-436
    • /
    • 2019
  • 본 연구에는 편마비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환측 경직성 하지에 체외 충격파 치료를 적용하여 보행 중 무릎각도와 MAS, TUG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 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후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 2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조군(n=10)은 일반적인 물리치료인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을 받았으며, 실험군(n=10)은 고유 수용성 감각 신경근 촉진법(PNF) 치료 후 체외 충격파 치료(ESWT)를 손상측 하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행을 분석하기 위해 통합운동분석장치(4D-MT, Relive, Korea)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의 동적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imed up and go test를 실시하였고 경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A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무릎관절의 각도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에서 TUG는 모든 그룹이 그룹 내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룹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고유수용성 조절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rioceptive Control on the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 황병용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9-74
    • /
    • 2004
  • Hemiplegic patients usually present with difficulty maintaining balance. Balance retraining is the major component of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rp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Thirty subjects (mean age $57.0{\pm}9.8$) were recruited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proprioceptive group and a visual group. The subjects for the proprioceptive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for 4 weeks, and the visual group were treated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Balance Master. At 4 week follow-up test, Berg Balance Scale significantly improved 1.1 points (p<.01), Timed Up & Go test improved 4.2 second (p<.01), and weight distribution during sit to stand also improved 5.0% (p<.01).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roprioceptive control approach improved dynamic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It i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benefi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like as Balance Master when administrated in combination with other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compared with physical therapy alone using proprioceptive control approach to hemiplegia.

  • PDF

측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de Walking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 전선복;최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41-54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방보행 훈련이 균형(기능적 보행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및 보행(10 미터 보행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측방 보행군)과 대조군(전방 보행군)에 각각 14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두 그룹 모두 재활 물리치료를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군에는 4주 동안 1회당 20분씩 주 3회 측방보행 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도 4주 동안 1회당 20분씩 주 3회 전방보행 훈련을 실시하였다. 측방보행 후 기능적 보행평가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에서 16.86점에서 18.64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도 26.03초에서 22.43초로 감소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10미터 보행검사에 있어서도 실험군에서 21.90초에서 19.10초 감소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따라서 측방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훈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