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difference-of-arrival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7초

AR에 적용 가능한 마커리스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 기법 (Measurement Technique of Indoor location Based on Markerless applicable to AR)

  • 김재형;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43-25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AR에 적용 가능한 마커리스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다음과 같은 독창성을 갖는다. 첫 번째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역 패치를 생성하여 전체 이미지를 학습하지 않고 주변보다 더 유용한 지역 패치만을 학습하고 사용함으로써 더 빠른 연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두 번째는 Convolution Neural Network 구조를 사용한 딥러닝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여 오차율을 줄여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세 번째는 기존의 특징점 매칭 기법과는 다르게 좌우 이동을 포함한 실내 위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네 번째는 매 프레임마다 새롭게 실내 위치를 측정하기 때문에 이동 중 앞쪽에서 발생한 오차가 누적되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이동 거리가 길어져도 최종 도착점과 예측 실내 위치 간의 오차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에 적용 가능한 마커리스 기반의 실내 위치 측정 기법의 소요시간과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실험결과, 실제 실내 위치와 측정된 실내 위치의 차이가 평균 12.8cm, 최대 21.2cm로 측정되어서, 기존 IEEE 논문의 결과보다 우수한 실내 위치 측정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당 20프레임으로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최소동적비용 경로탐색 알고리즘 기반 선박경제운항시스템 (An Economic Ship Routing System Based on a Minimal Dynamic-cost Path Search Algorithm)

  • 주상연;조태정;차재문;양진호;권영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2호
    • /
    • pp.79-86
    • /
    • 2012
  • 선박경제운항이란 기상예측정보를 활용하여 연료소모량을 최소화하도록 선박을 운항하는 것으로서 최근 다양한 선박경제운항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성공적인 선박경제운항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최적의 지리적 경로탐색 방법이 필요한데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주로 Dijkstra 알고리즘 기반의 최소정적비용 경로탐색 알고리즘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한 접근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특히 연료소모량으로 정의되는 간선의 비용을 고정해야 하는데 선박이 그 간선을 실제 지날 때의 기상 상황에 따라 연료소모량이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하지 않은 가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Dijkstra 알고리즘을 변형한 최소동적비용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실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A^*$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탐색공간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도 제시한다. 총 10개의 테스트 노선에 대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을 기존의 단순한 최단거리 운항방법과 비교한 결과, 운항소요시간은 거의 차이가 없으면서도 연료소모량을 평균 2.36%, 최대 4.82% 개선시킬 수 있었다.

유기인계 농약 중독 환자에서 초기 적혈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Implic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 Acute Organophosphate Poisoning)

  • 김훈;한승백;김준식;이미진;박준석;권운용;어은경;오범진;이성우;서주현;노형근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2008
  • Purpose: Acute organophosphate (OP) poisoning may be monitored by measuring the acetylcholinesterase (AChE). It is important to assess severity and establish prognostic tests in the early stage of OP poiso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linical aspects of the OP poisoning, prognostic indicators of OP poisoning including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SAPS) 3, and the associated changes in AChE levels. Methods: Clinical data and initial AChE levels from thirty-seven patients with OP poisoning were prospectively reviewed from 12 teaching hospitals in South Korea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Clinical manifestations at the time of arrival such as miosis, respiratory abnormality, salivation, urinary incontinence, GCS score, AVPU scale, need for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requirements were recorded. SAPS 3 was calculated using clinical data and laboratory results. Results: The median level of AChE was 9.8 (1.3-53.6) U/gH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E level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holinergic symptoms. The median level of AChE of the patients who required intubation and those who did not were 3.5 U/gHb and it 19.7 U/gHb respectively (Mann-Whitney test; p<0.001). The AChE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0.007) in patients who needed mechanical ventilat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with AChE levels found to be 3.1 U/gHb and it was 14.8 U/gHb, respectively. Level of consciousness assessed using the AVPU scale was correlated with AChE levels (Kruskal-Wallis test; p=0.013). GCS score were correlated with AChE levels (p=0.007, Spearman's rho = 0.454). In addition, the lower the level of initial AChE, the longer the ICU stay (p=0.029, Spearman's rho=-0.380). SAPS 3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AChE (p<0.001, Spearman's rho=-0.633). Conclusion: In the acute OP poisoning, low AChE levels appear to help indicate the severity of poisoning. The initial AChE level may be a useful prognostic parameter for acute OP poisoning.

  • PDF

독실라민 중독시 발생할 수 있는 발작의 특성과 위험인자 (The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Seizure After Doxylamine Intoxication)

  • 송범수;이기만;김선욱;유제성;정태녕;박유석;정성필;구홍두;박인철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8-96
    • /
    • 2010
  • Purpose: Doxylamine is antihistamine drug that is used as a hypnotic. It is also used for suicidal attempts because it can be easily purchased at the pharmacy without a prescription.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the complications after doxylamine intoxication such as a rhabdomyolysis, but only a few articles have reported on seizure. We reviewed the cases of doxylamine intoxication with seizure that were treat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were over 15 years old and who were intoxicated by doxylamine at 3 emergency medical centers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0. We reviewed the patients' age, gender, the dose of doxylamine ingested, if gastrointestinal decontamination was done, the time from intoxication to hospital arrival, the seizure history, treatment of seizure, the electroencephalography (EEG) results, the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results and the blood test results. Results: There were 168 patients who were intoxicated by doxylamine during the study period. Twelve patients had a seizure episod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who developed seizure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were the dose and the serum levels of sodium and creatinine. The only clin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the amount of doxylamine. The amount of doxylamine ingested (>29 mg/kg) predicted the development of seizure with a sensitivity of 75% and a specificity of 92% on the ROC curve. One patient among the seizure patients expi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Conclusion: In case of doxylamine intoxicated patients,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izure and ingested amount, so close observation needs to be done for the patients who ingest too much because doxylamine can cause death.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for doxylamine intoxicated patients with a seizure episode.

  • PDF

외상성 복부 장기 손상 및 골반 손상에 의한 혈복강으로 동맥 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예후 인자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ho Performed Angiographic Embolization for the Bleeding from Injury of the Intraabdominal Organ and Pelvic Area)

  • 이진호;장지영;심홍진;이재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66-171
    • /
    • 2012
  • Purpose: In patients with traumatic hemoperitoneum or pelvic bone fracture who underwent angiography and embolization, we want to find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mortality. Methods: Patients(333 patients) who visited our hospital with traumatic injury from March 2008 to April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ly 37 patients with traumatic hemoperitoneum or pelvic bone fracture underwent angiography and embolization.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and Glasgow coma scale (GCS), Revised trauma score (RTS), Injury severity score (ISS), initial laboratory finding and time interval, the amount of transfusion from the arrival at the ER to the start of embolization, and the vital signs before and after procedure were checked. Sta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hi square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In univariate analysis, the amount of transfusion, the base deficit before procedur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the GCS, the RTS and the I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SS and the base deficit ha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rognosis. Of the 37 patients who underwent angiography and embolization, 31 patients needed not additional procedure (Group A) while the other 6 patients needed an additional procedure (Group B). After procedu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blood pressure was observed in Group A than in Group B. As to the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was observed in Group B, but an increase was observed in Group A. Conclusion: In traumatic hemoperitoneum or pelvic bone fracture patients who underwent angiography and embolization, GCS, ISS, RTS, transfusion amount before the procedure, initial base deficit and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factors related to mortality. When patients who underwent angiography and embolization only were compared with patients who underwent re-embolization or additional procedure after the first embolization, an in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embolization was a prognostic factor for successful control of bleeding.

일본 Nagaoka 육상 대수층에서 시간차 $CO_2$ 물리검층으로부터 $CO_2$ 포화도의 추정 (Estimation of $CO_2$ saturation from time-lapse $CO_2$ well logging in an onshore aquifer, Nagaoka, Japan)

  • 설 자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19-29
    • /
    • 2006
  • 일본 최초의 파일럿 규모의 $CO_2$ 지중저장 프로젝트가 Niikgata 현 Nagaoka 시 근처 육상 염수 대수층에서 착수되었고 시간차 물리검층이, 주입된 $CO_2$의 도착과 저류층내의 $CO_2$ 포화도를 평가하기 위해 관측정들에서 실시되었다. $CO_2$는 20-40톤/일 의 속도로 1,110m 심도에 위치한 얇은 투수층에 주입되었다. 2003년 7월에서 2005년 1월까지 주입된 $CO_2$의 총량은 10,400 톤이다. 파일럿 규모의 시험은 3 개의 관측정들에서 시간차 물리검층을 수행함으로써 다공성 사암 저류층 내에서의 $CO_2$ 유동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관측정 OB-2 에서 fiberglass 케이싱을 넣기 전과 넣은 후의 중성자 검층의 비교는 대상층 내에서 좋은 일치를 보였고 저류층 내에서 셰일 부피의 농도가 높을수록 두 물리검층 결과들 사이의 차이도 커졌다. 확인가능한 $CO_2$ 는 전자유도검층, 음파검층, 중성자검층에 의해 발견되었다. 음파검층으로부터 P 파 속도의 감소가 Nagaoka 현장에서 채취한 코아 시료에 대한 실험실 측정과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세 개의 관측정 중 두 개에서 $CO_2$ 가 확인된 후, 음파 검층의 P파 속도와 추정된 $CO_2$ 포화도의 변화 추이를 성공적으로 맞출 수 있었다. 음파 속도의 시간변화 부합 결과는 sweep 효율성이 약 40%였음을 제시한다. 전기비저항에 대한 $CO_2$ 의 작은 영향으로 인하여 저류층이 부분적으로 포화되었을 때 전자유도검층에서는 작은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CO_2$ 부존층에서 $CO_2$의 포화도는 $CO_2$ 주입의 일시 중지 시에도 반응함을 발견하였다.

북한 핵실험 모니터링 : 1, 2차 비교 (Monitoring North Korea Nuclear Tests: Comparison of 1st and 2nd Tests)

  • 지헌철;박정호;김근영;제일영;신동훈;신진수;조창수;이희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43-248
    • /
    • 2010
  • 북한지역에서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두 번의 발파가 관측되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측소와 한중 공동관측소는 북한과 주변국간의 경계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핵실험 장소로부터 200 km에서 550 km 거리에 있는 광대역 지진 관측소의 자료를 사용하여 북한의 2차례 핵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관측소별 1차 실험과 2차 실험의 초동 Pn 도착 시간차를 비교함으로서 상대적인 위치이동을 계산할 수 있다. Pn 속도를 8 km/s로 가정하고, 실험 장소와 관측소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2차 장소는 1차 장소로부터 서북서 방향으로 2 km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 파로부터 계산된 2차 실험의 실체파 규모는 평균적으로 4.5이나, 관측소별로는 최대 5.2에서 최소 4.1로 아주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비해 Lg 파로부터 계산한 2차 실험의 규모는 평균적으로 4.6이며, 관측소별로 최대 4.7에서 최소 4.3사이로 P 파에 의한 규모에 비해 관측소간의 차이가 작다. 1, 2차 실험의 이동 윈도우 주파수 스펙트럼은 매우 비슷한 패턴을 보여 주며 두 실험의 초동 P 파의 모서리 주파수는 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2차 실험의 깊이가 1차 때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2차 실험의 폭발력은 관측소별 1차와 2차의 지반속도비로부터 계산한 결과 1차에 비하여 8배 큰 것으로 추정된다.

홍수 규모별 대청호에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특성 변화 (Variation of Inflow Density Currents with Different Flood Magnitude in Daecheong Reservoir)

  • 윤성완;정세웅;최정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219-1230
    • /
    • 2008
  • 여름철 홍수시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수는 저수지 표층수에 비해 낮은 수온과 높은 부유고형물질(SS) 농도를 가지므로 주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밀도차로 인해 형성된 밀도류의 저수지 내 진행과정은 수질과 수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하천수 밀도류의 거동분석은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현장조사의 최적화, SS와 영양염류 등 오염물질의 이송 확산 해석에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를 통해 검증된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홍수규모에서 대청호로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거동 특성인 침강점 수심($d_p$)과 거리($X_p$), 분리점 수심($d_s$), 중층류 관입두께($h_i$), 댐축 도달시간($t_a$), 감소율(${\beta}$)을 분석함으로써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모의조건은 평수년이었던 2004년 6월 13일부터 7월 3일 동안 발생한 홍수사상의 수문곡선을 기준으로 유입 유량의 규모를 10개의 등급으로 나누었으며, 초기 성층조건은 탁수가 유입되기 전의 발달된 성층구조를 적용하였다. 유입수와 저수지 성층구조의 특성치는 밀도 Froude 수(Fri)로 나타내었으며, 10개의 $Fr_i$ 조건별로 $d_p,\;X_p,\;d_s,\;h_i,\;t_a$, SS의 ${\beta}$값 등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d_p,\;X_p,\;d_s,\;h_i$는 대체로 $Fr_i$ 값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중층류의 진행속도도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저수지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상태를 가정하는 Hebbert 식은 저수지 수위변화와 지형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치모델 보다 $d_p$값을 과대 산정하였다. 유입 SS 농도의 감소율(${\beta}$)은 $Fr_i$가 클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Fr_i$>9.0에서는 난류혼합효과 때문에 다시 증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저수지운영 실무자들이 홍수규모별로 탁수의 초기 거동특성을 간단히 예측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