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Series Database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Constructing an Internet of things wetland monitoring device and a real-time wetland monitoring system

  • Chaewon Kang;Kyungik Gil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4권4호
    • /
    • pp.155-162
    • /
    • 2023
  • Global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have various demerits, such as water pollution, flood damage, and deterioration of water circulation. Thus, attention is drawn to Nature-based Solution (NbS) that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ways that imitate nature. Among the NbS, urban wetlands are facilities that perform functions, such as removing pollutants from a city, improving water circulation, and providing ecological habitats, by strengthening original natural wetland pillars. Frequent monitoring and maintenance are essential for urban wetlands to maintain their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to wetland monitor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 real-time wetland monitoring device and interface.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humidity, soil humidity, PM1, PM2.5, and PM10 were measured, and the measurements were taken at 10-minute intervals for three days in both indoor and wetland. Sensors suitable for conditions that needed to be measured and an Arduino MEGA 2560 were connected to enable sensing, and communication modules were connected to transmit data to real-time databases. The transmitted data were displayed on a developed web page. The data measured to verify the monitoring device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the output and upward or downward trend were similar. Moreover, findings from a related patent search indicated that there are a minimal number of instances whe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as been applied in wetland contexts. Henc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further researc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CT to address this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time-series data analysis research using automation,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in urban wetland maintenance.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증례 연구 분석을 통한 이명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고찰 - 한약치료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innitus Treatment in Korean Medicine by Analyzing Case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 Focused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 유희조;김경준;김연섭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86-98
    • /
    • 202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Tinnitus to identify the trend and the effectiveness. Methods : The domestic journal databases(OASIS, NDSL, KISS, KTKP) were used to search for case studies related to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of tinnitus. There was no restriction on the time of publication. A total of 14 papers were selected. Results : Out of 127 articles searched, 14 papers were selected. All of those were case-study or case-series studies. Features of the papers,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tudied, herbal medicines, acupuncture, other treatments, evaluation method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various medical treatment methods for tinnitus are effectively used in Korean medicine. We hope that this study would give helpful information for tinnitus treatment.

점진적 프로젝션을 이용한 고차원 글러스터링 기법 (High-Dimensional Clustering Technique using Incremental Projection)

  • 이혜명;박영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4호
    • /
    • pp.568-576
    • /
    • 2001
  • 대부분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들은 고차원 공간에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고차원 데이타는 상당한 양의 잡음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알고리즘의 추가적인 효과성 문제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고차원 데이타의 구조와 특성을 지원하는 적합한 클러스터링 기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변환 프로젝션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CLIP을 제안한다. CLIP은 고차원 클러스터링의 효율성 및 효과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클러스터 형성에 밀접하게 연관된 부분 공간에서 클러스터를 탐사하는 기법이다. 알고리즘의 주요 사상은 각1차원적 부분공간에서의 클러스터링에 기본을 두고 있지만. 점진적인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고차원 클러스터를 탐사한 뿐만 아니라 연산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CLIP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합성 데이타를 이용한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효율성 및 효과성을 증명한다

  • PDF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in the Saudi Economy: A Cointegration and VECM Approach

  • SALLAM, Mohamed 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21-30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stimulating economic growth in the Saudi economy. Even though the economic literature shows how the manufacturing sector stimulates economic growth, it does not clearly show the rol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n economic growth. The study employed annual time-series data spanning the 1980-2018 period from the databases of the Saudi Arabian Monetary Authority. Moreover, the cointegration and VECM approach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short- and long-run relationship causality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 a two-way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economic growth.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a un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exists, running from the manufacturing sector to the services sector.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determinants of the growth of the Saudi manufacturing sector must be investigated. Moreover, the most productive Saudi manufacturing industries must be identified, and the productivity of other sectors must be increased in a way that contributes to economic plans and policies. Thus, adopting economic policies that stimulate invest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ntributes to increasing non-oil exports to diversify sources of income to achieve vision 2030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Short-term treatment effects produced by rapid maxillary expansion evalu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 Giudice, Antonino Lo;Spinuzza, Paola;Rustico, Lorenzo;Messina, Gabriele;Nucera, Riccard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14-323
    • /
    • 2020
  • Objective: To identify the available evidence on the effects of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with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provide meta-analytic data from studies assessing the outcomes using computed tomography. Methods: Eleve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and prospective case series were selected. Two authors screened all titles and abstracts and assessed full texts of the remaining articles. Seventeen case series were included in the quantitative synthesis. Seven outcomes were investigated: nasal cavity width, maxillary basal bone width, alveolar buccal crest width, alveolar palatal crest width, inter-molar crown width, inter-molar root apex width, and buccopalatal molar inclination. The outcomes were investigated at two-time points: post-expansion (2-6 weeks) and post-retention (4-8 months). Mean difference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used to summarize and combine the data. Results: All the investigated outcom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ost-expansion (maxillary basal bone width, +2.46 mm; nasal cavity width, +1.95 mm; alveolar buccal crest width, +3.90 mm; alveolar palatal crest width, +3.09 mm; intermolar crown width, +5.69 mm; inter-molar root apex width, +2.85 mm; and dental tipping, +3.75°) and post-retention (maxillary basal bone width, +2.21 mm; nasal cavity width, +1.55 mm; alveolar buccal crest width, +3.57 mm; alveolar palatal crest width, +3.32 mm; inter-molar crown width, +5.43 mm; inter-molar root apex width, +4.75 mm; and dental tipping, 2.22°) compared to pre-expansion. Conclusions: After RME, skeletal expansion of the nasomaxillary complex was greater in most caudal structures. Maxillary basal bone showed 10% post-retention relapse. During retention period, uprighting of maxillary molars occurred.

DNA 시퀀스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실용적인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 기법 (A Practical Approximate Sub-Sequence Search Method for DNA Sequence Databases)

  • 원정임;홍상균;윤지희;박상현;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2호
    • /
    • pp.119-132
    • /
    • 2007
  •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은 분자 생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연산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DNA 시퀀스 데이타베이스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효율성과 정확도를 보장하는 실용적인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이진 트라이를 인덱스 구조로 채택하여 DNA 시퀀스로부터 추출한 일정 길이의 윈도우 서브 시퀀스를 인덱싱 대상으로 한다.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기법에 근거하여 이진 트라이를 루트로부터 너비 우선(breadth-first)방식으로 운행하며, 경로 상에 존재하는 모든 유사 서브 시퀀스를 검색해 낸다. 그러나 질의 길이가 윈도우의 크기보다 큰 일반적인 경우에는 질의를 일정 길이의 서브 시퀀스로 분해하여 각 서브 시퀀스에 대하여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을 수행한 후, 후처리 과정에 의하여 정확도에 손상 없이 이들 결과를 결합하는 분할 질의 처리 방식을 채택한다.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인덱스 기법은 접미어 트리에 비하여 약 40%의 작은 저장 공간을 가지고도 약 4-17배의 검색 성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분할 질의 처리 방식에 의한 유사 서브 시퀀스 검색 알고리즘은 질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동작하여 Suffix와 Smith-Waterman 알고리즘에 비하여 각각 수배에서 수십배의 검색 성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Selection of Tree History Management System Items for Analyzing the Causes of Landscape Tree Defects in an Apartment Complex

  • Park, Sang 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62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It is difficult to conclusively determine the exact cause of tree defects since multiple causes are involved such as climate change, plantation, tree quality and planting time, construction, planting base, drainage, sunshine conditions, maintenance, and microclimate. The data related to landscaping construction defects are scattered or fragmented by companies and years, but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def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ost of the earlier studies associated with tree defects in apartment complexes suggested defect rates after examining tree defects in the completed construction site and proposed fragmentary and subjective conclusions about the causes of defects observed in trees with high defect rates. It is proposed to continue to conduct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systematic databases to identify the exact causes of tree defects and measures to improve, and the need to accumulate systematic data in the construction process where many defects ari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defects of trees planted in apartment complexes. Methods: Main factors related to tree defects were subdivid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a defect investigation at the completion site, and tree history management items were selected and subdivided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Results: The criteria for the preparation of subdivided items were obtained, and the tree history management checklist was written for the site under actual construction and a systematic database was established. Items that are categorized based to the causes of defects include the location of nurseries, date, tree quality, site conditions, planting techniques, microclimates, and mainten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ree history management items based on the tree defects that can be identified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applied them to the selected study site, which differentiates this study from earli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time series analysis on tree defects that occur over time by continuously monitoring and collecting data after construction.

단일 색인을 사용한 임의 계수의 이동평균 변환 지원 시계열 서브시퀀스 매칭 (A Single Index Approach for Time-Series Subsequence Matching that Supports Moving Average Transform of Arbitrary Order)

  • 문양세;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42-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단일 색인을 사용하는 임의 계수의 이동평균 변환 지원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단일 색인을 사용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은 색인 저장 공간 및 색인 관리의 오버헤드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동평균 변환은 시계열 데이타 내의 노이즈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계열 데이타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임의 계수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색인을 생성해야 하고, 이에 따라 색인 저장 공간의 오버헤드와 색인 관리의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이동평균 변환의 정의를 확장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poly-order moving average transform) 개념을 제시한다.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이란, 각 윈도우를 하나의 이동평균 계수에 대해서 이동평균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계수에 대해서 이동평균 변환하여 윈도우의 집합을 구성하는 변환으로서, 이동평균 변환의 정의를 여러 계수로 구성된 집합에 대해서 확장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 개념을 사용한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의 이론적 근거인 정확성을 정리로서 제시하고 증명한다. 또한, 다계수 이동평균 변환을 기존 서브시퀀스 매칭 연구인 Faloutsos 둥의 방법 및 DualMatch에 각각 적용하여, 두 가지 이동평균 변환 지원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두 가지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순차 스캔보다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주식 데이타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순차 스캔에 비해서 평균 22.4배${\~}$33.8배까지 성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계수에 대해 모두 색인을 생성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성능 저하는 매우 적은 반면 필요한 색인 공간은 크게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일곱 개의 계수를 사용한 경우, 성능 저하는 평균 $9\%{\~}42\%$에 불과한 반면 색인 공간은 약 1/7.0로 크게 줄인다). 이와 같이 성능 측면과 색인 공간 및 관리 측면에서의 우수성에 덧붙여, 제안한 방법은 이동평균 변환 이외의 다른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으로 일반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은 이동평균 변환을 포함하는 많은 다른 종류의 변환을 지원하는 서브시퀀스 매칭에 폭넓게 적용되는 우수한 연구결과라 사료된다.

스트림 데이타 예측을 위한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점진적 회귀분석 (Incremental Regression based on a Sliding Window for Stream Data Prediction)

  • 김성현;김룡;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6호
    • /
    • pp.483-492
    • /
    • 2007
  • 최근 센서 네트워크의 발달로 실세계의 많은 데이타가 시간 속성을 갖고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있다. 기존의 시계열 데이타 예측 기법은 모델 갱신 없이 예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스트림 데이타는 매우 빠르게 수집이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타의 특성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계열 예측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와 점진적인 회귀분석을 이용한 스트림 데이타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스트림 데이타를 다중 회귀 모델에 입력하기 위해 차원 분열을 통해 여러 개의 속성으로 분열(Fractal)하고, 변화되는 데이타의 분포를 반영하기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회귀 모델을 갱신한다. 또한 고정 크기 큐를 이용하여 최근의 데이타로만 모델을 유지한다. 이전 데이타의 유지 없이 최소 정보를 갖는 행렬을 통해 모델을 갱신하므로 낮은 공간 복잡도를 갖고 점진적으로 모델을 갱신함으로써 에러율의 증가를 방지한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RME(Relative 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 다른 기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서브시퀀스 매칭을 위한 윈도우 구성의 일반화 (Generalization of Window Construction for Subsequence Matching in Time-Series Databases)

  • 문양세;한욱신;황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3호
    • /
    • pp.357-3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서브시퀀스 매칭에서 윈도우 구성의 일반화 개념을 제안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서브시퀀스 매칭 방법인 GeneralMatch를 제안한다. 기존 연구인 Faloutsos 등의 방법 (간단히 FRM이라 한다)은 점 여과 효과의 결여로 인해 많은 착오해답을 발생시켰다. 본 저자들의 DualMatch는 점 여과 효과를 발휘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나, 주어진 최소 질의 시퀀스 길이에 대해 최대 윈도우 크기가 작은(FRM의 1/2) 문제가 있었다. GeneralMatch는 DualMatch를 더욱 개선한 방법으로서, 두 방법의 장점을 모두 취한다. 즉, FRM과 같이 큰 윈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DualMatch와 같이 점 여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GeneralMatch는 데이터 시퀀스를 J-슬라이딩 윈도우(일반화된 슬라이딩 윈도우)로 나누고, 질의 시퀀스를 J-디스조인트 윈도우(일반화된 디스조인트 윈도우)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GerneralMatch의 정확성, 즉 GeneralMatch가 착오기각이 발생하지 않음을 증명한다. 또한, 주어진 최소 질의 시퀀스 길이에 대해 GeneralMatch가 바르게 동작하기 위한 최대 윈도우 크기가 있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페이지 액세스 횟수를 최소로 하는 J 값의 결정 방법을 제안하다. 실제 주식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 GeneralMatch는 낮은 선택률 범위($10^{-6}~10^{-4}$)에서 DualMatch에 비해 평균 114%, FRM에 비해 998%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높은 선택률 범위($10^{-6}~10^{-4}$)에서도 DualMatch에 비해 평균 46%, FRM에 비해 평균 65% 성능을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