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ime delay System

Search Result 2,7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Using Smartphone-Based Mobile Application for Affect and Stress Assessment

  • Yang, Yong Sook;Ryu, Gi Wook;Han, Insu;Oh, Seojin;Choi, Mona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81-38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to collect data on stress and mood in daily life setting. Methods: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was developed and installed with a set of questions regarding momentary mood and stress into a smartphone of a participant. The application sets alarms at semi-random intervals in 60-minute blocks, four times a day for 7 days. After obtaining all momentary affect and stress, the questions to assess the usability of the mobile EMA application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7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The mean completion rate was 60.0% ranging from 3.5% to 100%. The mea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were 18.34 of 28 and 19.09 of 63. The mean stress was 17.92 of 40.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mobile application correctly measured their affect ($4.34{\pm}0.83$) and stress ($4.48{\pm}0.62$) of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s: Our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to assess momentary affect and stress at repeated times. We found challenges regarding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such as completion and delay of answering after alarm notification. Despite this inherent issue of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the EMA still has advantages of reducing recall bias and assessing the actual moment of interest at multiple time points that improves ecological validity.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Optimization of water intake scheduling based on linear programming)

  • 정기문;이인도;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8호
    • /
    • pp.565-5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정수장 운영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 LP)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적화 모형은 원수의 정수처리비용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설정하였으며, 취수 후 정수처리에 소요되는 지연시간과 시간별 전력단가를 고려하여 취수가능량, 예측수요량, 정수지 운영수위 등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적 취수계획을 제시하였다. 국내 H 정수장을 대상으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정수장 운영을 위해 세 가지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경제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 모형은 국내 정수장의 보다 효율적인 취수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형태로 실무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와이코인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무선랜 공유 (WiCoin : Wireless LAN Sharing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 김우성;류경호;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95-201
    • /
    • 2019
  • 본 논문은 무선랜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무선랜은 비인가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료 무선 액세스 기술로 현재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무선랜 장치들로 인해 상호 간섭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무선랜 액세스 장치가 공유되지 않아 개인이나 단체가 무분별하게 무선랜 설치를 하고 있는 것이 큰 문제이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은 이러한 상호 비협력적 시장에서 암호 화폐를 통해 효율적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인증기반의 무선랜 접속 방식에서 블록체인 암호 화폐에 기반한 접속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웹에서의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실시간 무선랜 접속을 위해 기존 작업 증명 대신 권한 증명을 구현하였다.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문자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 Analysis of Korean Public Alert Service using News Data)

  • 이현지;변윤관;장석진;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94-100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뉴스 데이터를 이용해 재난문자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2005년 5월 15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의 '재난문자'의 주제어가 포함된 뉴스를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난문자 수신 문제점은 경보음, 내용, 기준, 빈도, 속도, 수신범위, 시간, 언어 등에 대한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재난문자 미수신 문제점은 권한, 단말기, 발송기준, 통신, 기타 등에 대한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재난문자 문제점에 대한 뉴스 게재 추이를 살펴보면, 최근 2~3년간 미수신 문제점에 대한 뉴스는 줄어드는 반면에 수신 문제점에 대한 뉴스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난문자에 대한 국민의 개선 요구가 수신 부분에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내용, 빈도, 수신범위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해결 요구가 급증한 상황이다.

유한체 상에서 고속 연산을 위한 직렬 곱셈기의 병렬화 구조 (Parallelized Architecture of Serial Finite Field Multipliers for Fast Computation)

  • 조용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07
  • 유한체 상의 곱셈기는, 오류제어부호, 암호 시스템, 디지털 신호처리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유한체 상의 곱셈기를 설계하면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직렬 유한체 곱셈기에 비해 짧은 지연시간을 갖는 새로운 직렬 곱셈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곱셈기는 유한체의 곱을 표현하는 다항식을 여러 개로 분리한 다음, 이 다항식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직렬 곱셈기의 속도를 향상시켰다. 이 곱셈기는 유한체 $GF(2^m)$의 표준기저 상에서 동작하며, 기존의 직렬 곱셈기보다는 짧은 지연시간에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병렬 곱셈기보다는 적은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다. 제안한 곱셈기는 회로의 복잡도와 지연시간 사이에 적절한 절충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Evaluati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Crops Following Rice Harvest at Paddy Fiel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Song, Hui Mang;Park, Sang Hyun;Kim, 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8-133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crops such as Italian ryegrass (IRG), oat, rye, barley, and hairy vetch. Forage crops were sown on 15th October 2018 in a paddy field after harvesting rice and forage crops were harvested at two times of 25th April 2019 and 18th May 201 9. The highest dry matter (DM) yield was harvested from rye among the five species of forage crop on 18th May. DM yield of all forages was increased 14.4% on 18th May compared to 25th April. The highest yield of crude protein (CP) was obtained from hairy vetch on 25th April, whereas it was decreased (38.1%) on 18th May. Moreover,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arvested respectively from rye and hairy vetch on 25th April. Delay of harvest time considerably increased DM yiel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CP and RFV. In conclusion, rye was the best source of DM and TDN and hairy vetch was the high-quality feed. Rye harvested on 25th April is the proper forage for resolving Korea's problem of insufficient forage yield.

키밸류 저장소 성능 제어를 위한 삭제 키 분리 LSM-Tree (A Tombstone Filtered LSM-Tree for Stable Performance of KVS)

  • 이은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22
    • /
    • 2022
  • 최근 웹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데이터의 형태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 뿐 아니라 해당 데이터를 표현하는 속성 및 메타데이터 등도 개수 및 형태가 데이터 별로 상이하다.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키밸류 스토어(Key-Value Store)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LSM-Tree(Log Structured Merge Tree)는 다양한 상용 키밸류 스토어의 핵심 자료구조이다. LSM-Tree 는 모든 쓰기 및 삭제 연산을 로그 방식으로 기록함으로써 소량의 쓰기에 높은 성능을 제공하도록 최적화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유효성 만료 데이터의 대용량 삭제 연산이 LSM-Tree에 특수 키밸류 데이터로 삽입됨에 따라 사용자 요청의 지연시간 및 처리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기존 LSM-Tree의 장점을 모두 유지하면서도 삭제된 키를 주요 트리 구조에서 분리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Filtered LSM-Tree (FLSM-Tree)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상용 키밸류 저장소인 LevelDB에 구현되었으며 성능 평가에서 읽기 성능이 최대 47% 향상됨을 보인다.

A Study on Methods for Efficient Enterprise Software Patch Management

  • Kang, Ch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179-18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절차적인 소프트웨어 패치 절차를 제안하였다. 매년 조직에서는 수만 개의 알려진 취약점이 존재하고 패치 작업에 수만 시간과 수백만 달러 이상을 소비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패치된 취약점에 대한 익스플로잇이 나타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 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에서 일관되지 않는 방법으로 패치를 관리함에 따라 보안 문제 발생, 시스템 불안정, 패치로 인한 정보 유출 및 작업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패치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살펴보고 패치 관리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과 패치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단계를 정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기능의 수정, 보안 취약점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조직 내의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버전으로 갱신하고 패치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패치 관리 정책을 효율적이고 절차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것이다.

NS-2를 이용한 MANET의 주소 자동설정 기법의 성능분석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an Address Auto-configuration Method Applying to Mobile Ad hoc Network Using NS-2)

  • 김선화;고빈;이규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
    • /
    • 2010
  • MANET(Mobile Ad-hoc NETwork)은 실제 구현이나 동작과정에 많은 변수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적용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MANET에서는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해 다른 MANET과 중첩되거나 병합될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다른 전달 방식을 가진 노드와의 통신을 위하여 새로운 경로 및 주소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과정은 새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오버헤드이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여 네트워크의 전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성능분석과 검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on-demand방식의 주소 자동설정 기법의 제안과, 제안한 기법의 타당성과 성능 검증을 위한 모델링 및 성능분석 내용을 제시하였다. NS-2에 의한 시뮬레이션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제안한 방법이 오버헤드를 줄이고 또한 시간적으로 분산되는 결과를 보였다.

Wi-SUN에서 비동기 RIT 모드 MAC의 전력소모 분석 (Power Consumption Analysis of Asynchronous RIT mode MAC in Wi-SUN)

  • 김동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3-28
    • /
    • 2023
  • 무선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통신시스템에서는 비동기 저전력 MAC이 IEEE 802.15.4e에 의해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RIT(Receiver Initiated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비동기 방식 MAC은 체크인터벌(RIT period)에 따라 지연시간과 전력소모가 크게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다. 체크인터벌 마다 수면에서 깨어나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수신단 전력 소모는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송신단에서는 과도한 웨이크업 시퀀스(wakeup sequence)로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체크 인터벌을 짧게하여 과도한 웨이크업 시퀀스를 줄이면 너무 빈번한 웨이크업으로 수신단 전력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RIT 비동기식 MAC 기법에서 트래픽 부하와 체크인터벌의 운용에 따른 전력소모 성능을 분석하여 Wi-SUN 구축시 적용코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