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e-bar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일체식교대 강교량의 거더-교대 연결부 상세의 거동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tructural Details of Girder-Abutment Joint in Integral Abutment Steel Bridge)

  • 김상효;윤지현;최우진;김준환;안진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61-7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체식교대 강교량 거더-교대 연결부의 강체거동 및 균열저항성능의 향상을 위한 구조상세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연결부의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거더-교대 연결부의 강체거동 및 균열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단연결재 및 tie bar를 적용한 연결부를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연결부 실험체와 기존 시공경험에 의해 설계된 연결부 실험체의 하중재하실험을 통하여 연결부의 성능 및 거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하중재하실험 결과, 모든 강 거더-교대 연결부 실험체들은 목표 설계하중 및 항복하중 이하에서 충분한 강성 및 균열저항 성능을 보여 강 거더-교대 연결부로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실험체의 초기 강성, 균열의 진전형상 측면, 하중-변형률 측면에서 전단연결재와 tie bar가 적용된 강 거더-교대 연결부가 기존에 적용되어 왔던 강 거더-교대 연결부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직접 비탄성 설계 (Direct Inelastic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Strut-and-Tie Model)

  • 엄태성;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45-356
    • /
    • 2008
  • 선행 연구에서는 할선강성에 대한 선형해석을 수행함으로써 편리하게 비탄성 설계를 할 수 있는 직접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직접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을 개선하여, 반복계산 없이 할선강성에 대한 한번의 선형해석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탄성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간략화된 직접 비탄성 스트럿-타이 모델 (simplified direct inelastic strut-and-tie model, 이하 S-DISTM)을 개발하였다. S-DISTM은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콘크리트 압축 스트럿과 철근 인장 타이로 모델링한다. 스트럿과 타이 요소는 설계자의 설계 전략에 따라 탄성강성 또는 할선강성의 선형 재료 모델을 사용한다. 스트럿과 타이 요소의 파괴 기준을 정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압축파괴 및 철근 인장파단 등을 고려하였다. S-DISTM을 사용하여 깊은보, 연결보, 전단벽 등 다양한 전단지배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탄성 설계를 수행하였고, 비탄성 설계로 결정된 철근양, 변형 능력 등을 기존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Deformation-based Strut-and-Tie Model for flexural members subject to transverse loading

  • Hong, Sung-Gul;Lee, Soo-Gon;Hong, Seongwon;Kang, Thomas H.K.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8권6호
    • /
    • pp.1213-1234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a deformation-based strut-and-tie model for the flexural members at post-yield state. Boundary deformation conditions by flexural post-yield response are chosen in terms of the flexural bar strains as the main factor influenced on the shear strength. The main purpose of the proposed model is to predict the shear capacities of the flexural members associated with the given flexural deformation conditions. To verify the proposed strut-and-tie model, the estimated shear strengths depending on the flexural deformation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xperimental data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values obtained by the proposed model.

FRP Bar로 보강된 콘크리트 깊은보의 전단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hear Strength of Concrete Deep Beam Reinforced FRP Bars)

  • 조장세;김민숙;이영학;김희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3-31
    • /
    • 2011
  • 본 연구는 섬유 보강 폴리머(Fiber Reinforced Polymers, 이하 FRP) bar로 보강된 콘크리트 깊은보의 전단강도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단경간비, 보강비, 유효깊이, 주근의 종류를 변수로 총 15개의 시험체에 대한 전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단 실험을 토대로 FRP bar로 보강된 콘크리트 깊은보의 균열 및 처짐에 대한 거동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ACI 318-08의 스트럿-타이 모델(이하 STM)을 이용한 전단강도와 아치작용을 고려한 기존 제안식에 의한 전단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FRP bar로 보강한 경우가 Steel bar로 보강한 경우보다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강도 산정에 있어 ACI 318-08 STM을 이용한 방법이 경험식에 의한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정확했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에서 반복횡력에 대한 헤드형 횡보강근의 구속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onfinement Effect of Headed Cross Tie in RC Column Subjected to Cycling Horizontal Load)

  • 서수연;함주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횡보강근의 형태 특히 크로스타이의 유무 및 단부 정착형태에 따른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계획된 실험변수인 크로스타이의 유무, 크로스타이의 단부 정착형태(헤드형 또는 갈고리형), 그리고 기둥 축응력의 크기에 따라 총 5개의 기둥 실험체를 제작한 뒤 일정 축력하에 횡방향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한 후, 크로스타이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구조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으로부터, 크로스타이가 없이 띠철근만으로 횡보강된 기둥은, 낮은 횡력에서 균열과 함께 띠철근이 휨변형한 뒤 코아 콘크리트가 탈락되는 파괴양상을 보인 반면에 크로스타이가 있는 기둥은 균열이 발생한 이후에도 띠철근이 휨변형과 주근좌굴을 억제하고 코아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구속하여 내력 및 연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방향 대변형시, 갈고리형 크로스타이는 $90^{\circ}$ 갈고리 부분이 펴지면서 코아 콘크리트가 탈락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헤드형 크로스타이는 대변형 시에도 헤드가 매우 효과적으로 띠철근과 주근을 구속하여 높은 내력과 연성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속상세가 SD400 및 SD500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겹침이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Confinement Details for Lap Splice of H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in Grade SD400 and SD500)

  • 김승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62-71
    • /
    • 2015
  • KCI 2012와 ACI318-11에서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산정식을 제시하고 있지만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이용한 겹침이음상세에 대한 규정은 없다. 또한, 정착길이 산정에 있어서 횡보강근 효과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400MPa과 500MPa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가지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하여 겹침이음구간에 대한 구속상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겹침이음실험을 실시하였다. 겹침이음 구간내 적용되는 구속상세는 스터럽과 Tie-down 철근이다. 실험결과, 스터럽만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에서 겹침이음강도 증가에 큰 영향이 없어 취성적인 파괴를 나타낸 반면에, 스터럽과 Tie-down 철근으로 보강된 실험체들은 공칭휨강도 이상의 실험휨강도와 휨거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터럽과 Tie-down 철근 상세는 400MPa과 500MPa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겹침이음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구 스플라이스 슬리브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onggu Splice-Sleeve System)

  • 곽철승;이용재;이동우;김병균;이리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8-51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having chosen the connection method, filled by High-strength mortar, in conncetion of PC member, is to study the mechanical behaviour and practical usage of the method. The paper estimates the connection ability of Reinforced-bar, that is, Sleeve considering the effect of Reinforced-bar's dimeter. Sleeve's length and diameter i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mortar-filled connection, therefore the behaviour of Splice-Sleeve exists in concrete practic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 of the concrete in Splice-Sleeve. Also, to estimate structural behaviour in a practical wall panel, the upper and bottom wall panels are produced and the behaviour of Splice-Sleeve is discussed. And then Vertical Tie Bar being designed by using Precast method, this paper presents the various application and the practicable method using Splice-Sleeve.

  • PDF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비접촉 겹침 이음의 이음 강도 산정 (Splice Strengths of Noncontact Lap Splices Using Strut-and-Tie Model)

  • 홍성걸;천성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99-20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 겹침 이음에 대한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시하여 유효 겹침 이음 길이(effective lap length, $l_p$)와 이음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부착응력이 작용하여 이음 강도에 기여하는 유효 겹침 이음 길이는 전체 겹침 이음 길이보다 짧으며, 이음된 철근에 직각방향으로 배근된 횡보강량비$({\Phi})$와 (이음된 철근간 거리)/(겹침 이음 길이) 비$({\alpha})$의 영향을 받는다. 이음된 철근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 겹침 이음 길이에서 유효 겹침 이음 길이는 짧아지게 되어 이음 내력은 작아진다. (이음된 철근간 거리)/(겹침 이음 길이) 비$({\alpha})$가 유효 겹침 이음 길이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횡보강량비$({\Phi})$가 낮을수록 커지게 된다. 이것은 횡보강량비가 낮을수록 이음된 철근 사이에 존재하는 스트럿의 기울기가 커지므로, 이음된 철근 사이 거리가 유효 겹침 이음 길이 결정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비접촉 겹침 이음에 대한 제안된 스트럿-타이 모델은 실제 힘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어, 다양한 재료 및 기하학적 조건에 적합한 철근 상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문헌의 실험에서 나타난 거동 특성과 횡보강량이 이음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안된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25개 실험체에 대한 이음 강도를 변동계수 11.1% 범위 내에서 적절히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