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es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1초

벵갈만의 조석 (Modelling of Tides in the Bay of Bengal)

  • 최병호;고진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0-297
    • /
    • 1994
  • 연근해에서의 위성고도계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기존에 알려진 Schwiderski의 모형보다 더 정확한 조석모형으로 위성고도계자료에서의 조석성분에 대한 보정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벵갈만은 방글라데시 연안북측에서 발생하는 폭풍해온과 조석의 영향을 현저히 받는 해양특성으로 인해 해양학적 측면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초기단계로 벵갈만 전체에 대해 1/4$^{\circ}$ 격자체계의 조석모형을 수립하여 반일주조 (M$_2$, S$_2$, $N_2$, $K_2$)와 일주조 (K$_1$, $O_1$, P$_1$)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이 이루어졌다. 계산결과들은 기존의 Schwiderski의 조석도 및 관측자료들과의 비교ㆍ검토가 이루어졌다.

  • PDF

Community-level facilitation by macroalgal foundation species peaks at an intermediate level of environmental stress

  • Scrosati, Ricardo A.
    • ALGAE
    • /
    • 제32권1호
    • /
    • pp.41-46
    • /
    • 2017
  • In rocky intertidal habitats, abiotic stress due to desiccation and thermal extremes increases with elevation because of tides. A study in Atlantic Canada showed that, at low elevations where conditions are benign due to the brief low tides, fucoid algal canopies (Ascophyllum nodosum and Fucus spp.) do not affect the structure of benthic communities. However, at middle and high elevations, where low tides last longer, fucoid canopies limit abiotic extremes and increase the richness (number of invertebrate and algal species, except fucoids) of benthic communities. Using the data from that study, this paper compares the intensity of facilitation and its importance (relative to all other sources of variation in richness) between middle and high elevations, which represent intermediate and high stress, respectively. Facilitation intensity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 increase in benthic richness between quadrats with low and high canopy cover, while the importance of facilitation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variation in richness explained by canopy cover. Data for 689 quadrats spanning 350 km of coastline were used. Both the intensity and importance of facilitation were greater at middle elevations than at high elevations. As canopies do not affect benthic communities at low elev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ilitation-stress relationship at the community level is unimodal for this marine system. Such a pattern was found for some terrestrial systems dominated by canopy-forming plants. Thus, it might be ubiquitous in nature and, as further studies refine it, it might help to predict community-level facilitation depending on environmental stress.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Water Qualify and Phytoplankton Red Tide in Deukryang Bay of Korea)

  • 이진환;이은호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71-278
    • /
    • 1999
  • 본 연구는 1998년 7월부터 9월까지 득량만 19개 정점 표층에서 수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및 적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조사기간 중 월별 평균 수온은 24.0~28.6$^{\circ}C$, 염분은 25.0~28.6$\textperthousand$로 월별 및 정점간 변이가 컸다. 본 해역의 Chlorophyll-$\alpha$의 농도는 7월과 8월에 평균 11.59mg/m$^3$, 7.52mg/m$^3$를 나타내어 일차생산이 높았으며, 9월의 수질은 부영양화 단계에 있었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식물플랑크톤군집은 돌말류가 89종류, 와편모조류가 19종류, 규질편모조류가 3종류 등 총 111분류군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최저 1.3$\times$$10^4$cells/ι(9월, 정점 17)에서 최고 3.8$\times$$10^{6}$cells/ι(7월, 정점 10)까지 변화하였다. 7월에는 거의 전 해역에서 황갈색의 적조가 발생되었고, 평균 현존량 1.8$\times$$10^{6}$cells/ι을 보였으며 이때 적조원인종은 Prorocentrum minimum, Chaetoceros curvisetus, Ceratium furca, Thalassiosira sp. 등이었으며, 만의 상부에서는 p. minimum, 만의 중앙부와 만 입구에서는 ch. curvisetus, 녹동항 주변에서는 c. furca와 Thalassiosira sp.에 의해 적조가 각각 발생되었다. 본 해역에서 질소와 같은 영양염류의 분포는 만의 상부와 녹동항 주변에서 높았고, 적조발생시 수온 23.8~29.7$^{\circ}C$ 그리고 염분 23.1~27.0$\textperthousand$였다.

  • PDF

1994년 7-8월 가막만의 조석 및 해류 (Tides and Currents of Kamag Bay in July-August 1994)

  • 이재철;추효상;이규형;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4-634
    • /
    • 1995
  • 가막만의 해수유동 변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4년 7월 21일부터 8월 8일까지 가막만 남쪽 입구의 송도 부근, 북쪽 입구의 여수, 그리고 만 중앙부의 평사 부근의 3개 지점에 유속계를 계류하였고, 송도 선착장과 여수항 부근의 2개 지점에 조위계를 설치하여 10분 간격으로 연속관측하였다. 가막만의 양쪽 수로에 도달하는 조석파의 위상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기를 남쪽과 북쪽의 입구에 설치하였으며 이들 입구를 통해서 유입, 유출되는 조류가 만 내부의 해수순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내만의 평사 부근에 유속계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최대조차는 여수와 송도에서 각각 357, 352cm 였다. M2, S2, Kl, O1 분조의 진폭은 여수에서는 각각 95.5, 48.8, 20.5, 14.0cm 였고 송도에서는 각각 93.6, 47.2, 21.3, 13.1cm 로서 조석의 형태수는 공통적으로 0.25 미만으로 반일주조가 지배적이었다. 양쪽 입구를 통해서 들어오는 주요분조의 위상차는 거의 없었다. 천해조 성분은 양쪽 모두 전체 진폭의 $4\%$ 이하로서 마찰효과 및 비선형효과는 매우 작았다. 조류의 최대유속은 송도부근에서 약 100m/sec, 내만의 평사에서 약 40cm/sec 였으며 M2분조의 유속은 각각 47.2, 14.8cm/sec 였다. 송도부근에서 조류성분은 주로 북서-남동 방향이고 반시계 방향의 회전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류 성분은 남서 방향으로 17cm/sec 였다. 반면에 내만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조류성분이 지배적이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항류는 남동방향이고 0.9cm/sec 로 매우 약하지만 시간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가막만의 동부 내만과 송도 부근에서는 남쪽방향으로의 항류성분이 존재하는데 그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관측을 통한 해수순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고대 선박의 항해속도 연구 - $\ll$고려도경$\gg$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iling Speed of Ancient Ships - especially on the average speed and the effect of the wind, the tide, and the man-power at the oar -)

  • 윤일영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7호
    • /
    • pp.155-231
    • /
    • 2009
  • Xu-Jing(徐競) an official of the Song(宋), a medieval Kingdom of China, wrote a book titled $\ll$Koryo Tu Jing(高麗圖經)$\gg$ which explains his travel to the Koryo as a member of diplomatic mission in 1123. $\ll$Koryo Tu Jing$\gg$ is the record of his personal experience in Koryo with many explanatory illustrations and especially contains 5 months' voyage record of his diplomatic fleet. His fleet set sail at a port located in the Ding Hai Xian(定海縣), Ming Zhou(明州) via a few islands of Koryo [Hyup Kye San(俠界山) , the Kun San Do(群山島) , the Ja Yon Do(紫燕島) , the Keup Su Mun(急水門) in Kang Hwa Gun(江華郡) and the Hap Gul(蛤窟) ] and finally arrived the Port Ye Song Hang(禮成港) . According to the Xu-Jing's record his fleet sailed the sea with the help of the favorable seaward winds and tides as the usual way of ancient sailing. The Xu- Jing's Fleet sailed the sea between the Mei Cen(梅岑), Ming Zhou(明州) of China and the Hyup Kye San(俠界山) of Koryo from about 5:00 a.m., May 24th(of the lunar calendar) to about 5:00 p.m., June 2nd. At this section, the average speed of the seaward winds was 19.45km/h and the average speed of the fleet which sailed only by the power of the winds was 6.29km/h. This means that 32.3% of the favorable seaward winds' speed was equal to the speed of the ancient fleet which sailed only by the power of the favorable seaward winds. The fleet sailed the sea between the Ja Yon Do(紫燕島) and the Keup Su Mun(急水門) from about 9:00 a.m., June 10th to about 1:00 p.m., the same day. At this section the fleet sailed by the power of tides in addition to the favorable seaward winds without oaring. The average speed of the wind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former section and the average speed of the tides was 1.937km/h. And at this section the average speed of the fleet increased by 0.41km/h than that of the former section. This means that 21.1% of the speed of the tides was equal to the increased speed of the ancient fleet by virtue of the tides. The fleet sailed the sea between Keup Su Mun(急水門) and the Hap Gul(蛤窟) from about 1:00 p.m., June 10th to about 3:00 p.m., the same day. At this section, there were no seaward winds and the fleet sailed only by the powers of tides and oaring. And at this section, the tide increased the average speed of the fleet by 0.3114km/h and the fleet could sail at the speed of 4.3km/h. So we can conclude that the average speed of ancient fleet without any influences of the seaward winds and tides was 3.98 km/h. We can make use of the various sailing speeds of ancient fleets when judging their maritime activities. If we make use of the various sailing speeds of the ancient fleets as calculated in this article, we will be able to get various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the certain ancient fleet's maritime maneuver. For example, we can infer the sailing routs of a certain fleet and the time when the fleet passed a certain spot by making use of the various sailing speeds of the ancient fleet. In this article I did not take account of the shapes of ships that consist of the ancient fleets and the sizes of the various ships and fleets. It was because that such factors would not change the foresaid conclusions seriously.

  • PDF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 특성을 이용한 경기만 한강하구 구역별 조석체계 분류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Tidal Regime using Characteristics of Astronomical Tides,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in the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 윤병일;우승범;김종욱;송진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49-158
    • /
    • 2015
  • 경기만 한강하구에서 주요 수로의 조석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의 분포를 파악하고, 조석 형태수의 특징에 따라 구역별 조석체계 (tidal regime)를 분류하였다. 주요 수로에서 보이는 조석 전파 특성은 외해는 천문조로 대표되는 5대분조 (e.g., $M_2$, $S_2$, $N_2$, $K_1$$O_1$)가 지배적이지만, 상류로 진입할수록 천해 분조 (e.g., $M_4$)와 장주기 분조 (e.g., $MS_f$)의 뚜렷한 증가가 보인다. 반일주조 성분이 우세한 경기만 및 한강하구에서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를 이용하여 제시된 조석 형태수 (tidal form number)의 특성에 따라 크게 3구역으로 분류하였다. 1구역은 천문조가 우세한 지역으로 외해에서 인천항 전면까지 (염하수로), 외해에서 석모수로의 북쪽 입구로 제시된다. 2구역은 염하수로 남쪽 입구에서 북쪽 입구까지와 강화 북수로 지역으로 단주기 천해 분조 (e.g., $M_4$$MS_4$)가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3구역은 신곡 수중보 이후부터 한강 상류지역으로 장주기 복합조 (e.g., $MS_f$)가 제일 우세한 지역이다. 일반적인 하구와 마찬가지로 한강하구의 조석 비선형성은 지형적 특성에 기인한 천해 분조가 증가를 하며, 1/4일주기 (fourth-diurnal) 및 장주기 (long-term period) 분조의 확연한 분포 차이를 보인다. 특히, 수중보의 영향은 구조물의 상류와 하류지점의 조석체계에 지대한 변화를 일으킨다.

부산 연안지역에서의 태풍 매미 저해특성 분석 (Disaster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usan Coastal Areas by Typhoon Mae-mi)

  • 서규우;김가야;이인록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1-116
    • /
    • 2004
  • We surveyed the coastal structure damages due to the typhoon 'Mae-mi' which heavily struck Korean peninsula in September 12, 2003. The survey revealed the typhoon induced high tides and strong winds were the main causes especially in Busan areas. Though some experimental real time coastal monitoring stations captured the typhoon movements at the critical time, more systematic and complete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to save human lives and properties from huge typhoon disasters.

  • PDF

서한만의 조석산정 (Tidal Computations for Seohan Bay)

  • 이종찬;최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1-129
    • /
    • 1992
  • 황해의 북칠해역에 위치한 서한만의 조석현상을 재현시키기 위한 이차원 수치모형을 수립하였다. 모형은 구면격자체계에서 위도 1분, 경도 4/3분의 해상도로써 구성하였다. 첫단계로 4개 주분조에 대한 조석분포를 산정하였으며, 계산결과는 기존의 연안관측치와 비교하였다. M$_2$, S$_2$, $K_1$, $O_1$ 분조에 대한 조석도와 조석잔차류, 조석 에너지 플럭스를 제시하였다.

  • PDF

진동만에서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환경관리기법 (A method of environmental management using an ecological numerical model in Jindong Bay)

  • 김동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5-358
    • /
    • 2003
  • Jindong bay at the northwestern part of Jinhae bay suffers from the occurrence of red tides in summer every year. In order to study the management methods of coastal environments, an ecological numerical model has been developed. The model experiments was forecasted that the load of nutrients from the land and field concentration will be cut down per 10% each. When we cut down 57.2% nitrogen load in the inner bay and 38.4% phosphorous load in the outer bay of bottom layer of the nutrients load from land and field concentration, the seawater quality standard levels up first grade. When we cut down 86.5% nutrients in the inner bay and 93.0% nutrients in the outer bay,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decreases below 3.2 $\mu\textrm{g}$/(equation omitted)(an individual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 10,000cel1/ml), i.e. the red tides do not occ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