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e

검색결과 1,632건 처리시간 0.031초

확산모형에 의한 하구에서의 오염물질이동 예측(수공) (Prediction of Pollutant Transport by Dispersion Model on Estuary)

  • 박영욱;박상현;천만복;이봉훈;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71-377
    • /
    • 2000
  • Environmental impact on a land reclamation project, Hwaong tidal barrier was studied using the dispersion and advection model to predict the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from freshwater reservior.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y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during a tidal cycle appeared to be extinguished at atmost all points after two tidal cycle. Peak concentration near the sluice gate is found out to be higher during the spring tide than neap tide. Equi-concentration contour line appeared to distributed a longer according to line of sea dike in spring tide than neap tide. The reasons is because influence by currents of northwest direction is a stronger, compared to spring tide and neap tide in the flood tide.

  • PDF

Monitoring Activities of Permanent GPS Stations at Tide Gauge in South Korea

  • Won, Ji-Hye;Park, Kwan-Dong;Kim, Sang-H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525-528
    • /
    • 2006
  • South Korea has about 80 permanent GPS stations, being used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DGPS, RTK, survey and geodesy. Some of them are installed in or near the coastal area for the purpose of maritime navigation. But, until recently, none of them are used for tide gauge benchmark monitoring. In order to monitor the absolute sea level changes,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land uplift or subsidence occurring at tide gauge sites. It is a common practice to use GPS stations installed at tide gauges to determine absolute sea level. This collaborative efforts coordinated by IGS are called TIGA Pilot Project. Many countries including U.S., Canada, European Union nations, Australia and Japan are participating in TIGA, but South Korea is not a member yet. Recently, we established continuously operating GPS stations at tide gauges located in Incheon and Jeju to monitor the movement of tide gauges sites. This paper will introduce goals and progress of the efforts.

  • PDF

Estimation of potential area for red tide occurrence in the Korean coasts by Marine GIS

  • Yoon, Hong-Joo;Whang, Wha-Je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76-878
    • /
    • 2003
  • It was studied on the choice of potential area for red tide occurrence from oceanographic factors. Oceanographic factors of favorabl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red tide formation included warm water temperature, low salinity, high suspended solid, low phosphorus, low nitrogen. It was founded the potential areas for red tide occurrence in August 2000 by GIS conception: Yeosu~Dolsan coast, Gamak bay, Namhae coast, Marado coast, Goheung coast, Deukryang bay, respectively.

  • PDF

천리안 해색위성 GOCI를 이용한 대한민국 남해안 적조 모니터링 (Monitoring Red Tide in South Sea of Korea (SSK) Using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 손영백;강윤향;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1-548
    • /
    • 2012
  • 남해안에서 발생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를 적조인 경우와 아닌 경우(satellite high chlorophyll water)로 부터 분류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Son et al.(2011)의 spectral classification 방법을 세계 최초 해색위성인 GOCI 파장에 맞도록 개선했다. C. polykrikoides 적조인 경우와 아닌 경우는 네 가지 단계를 거쳐서 분리했다. 첫 번째 단계는 적조 발생 가능지역으로 555nm와 680nm (fluorescence peak)에서 피크를 보이는 지역을 선택했다. 두 번째 단계는 적조 발생 가능 지역 중에서 용존유기물/부유물질 함량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구분했다. 세 번째와 네 번째 단계는 blue-to-green 밴드비를 이용하여 적조 발생 지역과 아닌 지역을 구분했다. 네 가지 단계를 적용한 결과 적조의 스펙트럼은 증가된 식물성 플랑크톤과 용존유기물(부유물질)의 흡광 때문에 짧은 파장에서는 낮은 기울기를 보이고, 증가된 부유물질 때문에 긴 파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증가된 기울기를 나타냈다. GOCI를 위해 개선된 spectral classification 방법은 C. polykrikoides 적조인 경우와 적조가 아닌 경우에 대해서 높은 user accuracy를 보이고,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적조 탐지 가능성을 보이고 클로로필 농도를 이용한 방법이나 기존의 다른 적조 탐지 방법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남해안 C. polykrikoides 적조는 2012년 7월 말에서 8월 초까지 나로도와 통영 부근 해상에서 탐지 되었고, 2012년 8월 중순에는 완도에서 거제도까지 남해안 전체에 걸쳐 발생했다.

울돌목 수로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Udolmok Waterway, Korea)

  • 유정규;정정호;남은정;명철수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201-211
    • /
    • 2006
  • 울돌목 수로에서 요각류 35개 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55개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연안종은 계절적인 종천이를 보였으며, 난류 외양성 종은 전 조사 시기에서 출현하였다. 분류군 수는 창조 시 저조에서 고조로 갈수록 증가하며 낙조 시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은 연중 외해수 영향에 따른 외양종의 유입으로 동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4\sim2,717indiv.m^{-3}$의 범위를 나타내며 2003년 8월에 가장 높고 2004년 2월에 가장 낮았다. 조석주기에 따른 현존량 변화에서 11월과 2월에 시간적 변이성이 크고 불규칙적인데 반해 8월과 4월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변화 추세를 나타냈다. 8월과 4월에는 창조 및 낙조에서 조류가 가장 강한 시간에는 낮은 출현 개체수가 나타났으며, 조류가 약해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여 고조 및 저조에서 개체수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Paracalanus indicus, Cirripedia nauplii, Acartia hongi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우점종은 창조보다 낙조에서 평균 개체수가 대략 2배 정도 높았다. 그러나 창조 및 낙조 내에서도 개체수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조석주기에 따른 수온, 염분, 그리고 엽록소 a등 환경변화가 작았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에서는 강한 조류와 지형적인 조류 속도 차에 의해 형성된 와류 등이 개체군 확산, 이동 그리고 손실에 영향을 미쳐 시간적으로 복잡하고 불규칙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보인다.

서해암 방조제 공사 기간중 유실토량 측정시험 (A Study of sea Dike meterials loss due to Scouring and Consolidation Settlement During the Periond of Construction on Construction on the West Cost of Korea)

  • 안재숙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03-2519
    • /
    • 1972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cause and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ea dike materials loss which is occured during the period of construction works for the tideland reclamation projec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Major subjects to studies were to establish the typ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idal flow and the movement of dike materials, the tidal-flow and the erosion, the dike materials and the ratio of material movement(losses),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ratio of materials movement (losses). Based on the above subjects, the studies were made for the purpose of obtain the following informations; (1) Collecting and evaluaing the data of dike material losses due to foundation settlement, from designed existing dikes on the west coast. (2) By the field investigation at A-San Sea Dike, Pyong Taek Project, the Comparison would be made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ide velocity and the movement of dike foundation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and the period of construction so that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ke materials of foundation situation and settlements. With regard to the dike construction works, it is so difficult to calculate the exact quantity of material losses due to the foundation settlements.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settlement losses of the dike materials are: (1) Topographical variation (2) Swepting the sectional area of dike by the tide velocity. (3) Dumping riprap to the outerside of dike during the period of construction works. (4) Sectional area losses by the cause of occurence of the new tide channels. (5) material losses by the heavy storms. (6) Consolidation settlement by the foundation weakness. (7) Material losses by the earth materials by tide flow. Most hi호 material losses were occured by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due to the foundation weakness, the maximum tide velocities due to decrease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gaps and erosion of foundation due to the range of tide, Inner and outerside of dike, or dike material loses due to the tide flow. Final conclusion would be obtained by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t the stage of final clusure of the dike. (It is scheduled to close on the end of 1972) However, intermediate conclusion can be introduced as follows: (1) The estimation of material(losses) during the period of construction works for the existing sea-dikes up to date were only empirical. The material losses at the general closure for design was estimated at 10% of the riprap, 20% of the earth materials, and 20% of the riprap, 40% of the earth materials at the final closure of the dike. The final closure estimated double quantity to the general closure, but it is still doubt. (2) The ratio of consolidation settlements was found smaller than the calculated quantity. It can be foreseen that settlement speeds is higher thom the calculated speeds. (3) The movement of dike foundation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were not so depends on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foundation. (4) When the tide velocities was estimated 100 at the normal tide, it was estimated 125 at the high tide and 55 at the low tide. The tide velocities at the low tide shows apparently lower than the high tide and the higher velocities at the deep water depth.

  • PDF

황해 부유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멀티 위성센서 활용 (Application of Multi-satellite Sensors to Estimate the Green-tide Area)

  • 김근용;신지선;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2호
    • /
    • pp.339-349
    • /
    • 2018
  • 황해 녹조 대발생은 2008년 이후 매년 여름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으며, 인공위성 분석을 통해 녹조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위성영상 선택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녹조 면적 산출에 적합한 위성영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이용한 위성영상은 Landsat ETM+, MODIS, GOCI로 영상의 공간해상도는 각각 30, 250, 500 m 이다. NDV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녹조 픽셀을 분류하였고, 임계값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Linear Spectral Unmixing(LSU) 기법을 이용하여 한 픽셀 내에 녹조가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였고, 녹조 비율의 차이가 면적 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NDVI 알고리즘을 이용한 녹조 면적 산출 결과, 공간해상도가 낮을수록 녹조 면적이 과대추정되는 경향을 보였고, 최대 1.5배 차이를 보였다. 또한, LSU 분석 결과에서 픽셀 내의 녹조 비율이 0.1(10%) 미만인 픽셀이 대부분이었고, 0.5(50%) 이상 녹조 비중을 차지하는 픽셀은 세 타입의 영상 모두에서 약 2% 수준으로 극히 적었다. 즉, NDVI 분석 결과에서 녹조로 분류된 픽셀의 경우 한 픽셀의 공간을 녹조가 100% 채우고 있지 않더라도 모두 동일 면적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실제보다 과대추정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현상은 공간해상도 차이에 의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항 조석표상 조석 차이에 관한 연구 - 영국과 한국 조화상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ide Differences in the Tide Tables of Major Ports in Kore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UK and Korean Harmony Constants -)

  • 전재호;문성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27-833
    • /
    • 2019
  • 선박이 항구를 안전하게 입·출항 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많지만, 특히, 선박의 좌초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구의 조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조화상수를 찾고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타 수로국의 조석표상 조화상수 분석 및 정확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 군산, 여수, 부산, 울산 및 속초, 총 6곳의 항구를 대상으로, 실측정보를 기준으로 영국조석표와 한국의 조석표를 비교하였으며, 조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찾기 위하여 조화상수를 사용하여 조고, 조시, 조석형태수를 계산한 후 영국과 한국의 정보를 비교하였다. 실측정보와 조석표의 차이 분석 결과 대상 항구 모두 실제 조고와 조시가 차이가 있었으며, 그 원인은 영국과 한국의 조화상수, 조석 기준값, 조석 형태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영국 조석표에 우리나라 표준항을 추가해야 하며, 조석표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준이 되는 조화상수가 지속적으로 최신정보로 업데이트 되어야 하고, 영국 조석표 보다는 각 국가에서 제작하는 조석표가 더 정확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적조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A Study on Red Tid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허민;모수종;임재홍;김기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89-492
    • /
    • 2006
  • 적조는 90년대 초반에 산발적으로 일어났으나 지구의 기상 온난화로 현재 전 해역을 거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적조 예측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항공관측, 적조부이개발, 적조경보장치 등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신속, 광범위하게 적조를 조기에 예측하고 경보발생을 위한 시스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적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조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현 하는데 있다. 각 노드는 GPS, 수온센서, 산소센서, 탁도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측정된 값을 Ad-hoc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적조를 예측하고 경보하게 된다. 그리고 이전에 발생한 적조 범위와 적조 생물, 환경요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적조 예측을 위해 비교분석자료로 활용된다. 메인 화면은 수백개의 노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지도에 노드의 위치와 측정된 값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위해 더욱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적조예측 및 경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적조자료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OUTBREAK OF HARMFUL ALGAL BLOOMS RELATED WITH TEMPERATURE DISTRIBUTION DERIVED FROM IN-SITU AND REMOTE SENSING EXPERIMENTS IN THE KOREAN WATERS

  • Han, In-Seong;Seong, Ki-Tack;Suh, Young-S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360-363
    • /
    • 2006
  • The red tide related with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has been frequently occurred around the South Sea of Korea and caused the economic loss in the coastal breeding grounds. The outbreak scale was usually change by physic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t each years. Relatively large-scale red tide occurred in 1995, 1997, 1999, 2001, 2002 and 2003 through spatial scale, duration and maximum density. Compared the scale of red tide with physical condition around the South Sea, the lower coastal temperature on August around the South Sea corresponded with the large scale red tide. By serial oceanographic investigations on August in the South Sea and estimated wide area temperature information by satellite, SSTA around the South Sea and wide area was negative when the outbreak of red tide was large scale. From the results of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rface and 30m layers, the occurrence of enormous red tide has a tendency when the temperature gradient around the seasonal thermocline was weakened. Larger Kuroshio volume transport in the upstream was also corresponded with the large scale red t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