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flats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8초

모래질 갯벌의 지반공학적 특성 및 인공갯벌의 안정성 (Geotechnical Properties of Sandy Tidal Flat and Stability of Artificial Tidal Flat)

  • 권오순;장인성;이광수;염기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7-137
    • /
    • 2003
  • 연안역 개발로 인해 갯벌의 면적이 급감하고 있는 현실에서 대체 갯벌의 조성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갯벌 조성을 위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갯벌지반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갯벌지반의 지반공학적인 특성을 비교$.$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인공갯벌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란 및 불교란시료를 이용한 각종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전단강도와 조류와 파랑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단응력을 비교하여 갯벌에 퇴적된 토사의 안정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건조체적밀도를 적용한 혼합토사 수치모델의 개발과 수치적 안정성 평가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for Mixed Soil Problems Using Dry Bulk Density and Investigation of Its Numerical Stability)

  • 조용환;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10-121
    • /
    • 2021
  • 산업화에 의해 소실된 갯벌의 중요성이 근래에 주목을 받으며 인공 갯벌의 조성 및 자연 갯벌의 유지 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갯벌을 조성하는 실트, 진흙, 모래 등과 같은 저질에 의한 거동특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 갯벌과 같이 혼합토사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가 현지조사와 수리실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수치모델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갯벌을 구성하는 저질의 동적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혼합토사 모델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혼합토사에 대한 표사이동 수치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재현 및 이동에 따른 수치적 안정성이 우선 검토되어야 하므로 혼합토사를 구성하는 모래와 진흙의 체적관계를 토사의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시상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혼합토사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하기 위해 진흙이 물을 함유하는 함수비를 도입하여 진흙의 건조체적밀도를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제안된 혼합토사의 수치해석 모델을 혼합토사의 사면 붕괴에 적용하여 사면 붕괴에 따른 진흙과 모래의 이동계산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성자료의 한국 금강 하구부근 조간대 지형 연구에 대한 응용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on Geomorphological Study of the Tidal Flats near Kum River Estuary)

  • 안충현;이용국;유흥룡;오재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2
    • /
    • 1989
  • LANDSAT 위성의 Thematic Mapper 자료는 해안지형 등의 연구에 그 효율성이 매우 높아 본 연구에서는 위성자료의 기하학적 보정, 영상중첩 기법 등을 통하여 금강하구 부근의 조 간대 지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9개의 TM및 MSS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자 료처리에는 VAX 11/780 컴퓨터시스템이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금강하구 일대 조간대의 조위에 따른 기본분포도와 지형단면도가 작성되어 금강하구에서 부터 멀어질수록 조간대 경사단면의 형 태가 다르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또한, 조위가 비슷한 자료의 중첩에 의한 비교 분석결과 단기 적인 조간대 지형의 변화가 파악되었다. 아울러 금강으로부터의 부유물질의 이동 확산형탱와 표 충수온의 분포가 연구되어 조시에 따른 부유퇴적물의 이동 형태와 표층수온의 분포양상이 파악되 었다.

충남 연안의 경관생태적 지역발전 전략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and the Strategies of Regional Development on South Chung-Chong Coastal Environment)

  • 강대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6
    • /
    • 2017
  • This article is written in the viewpoint of landscape ecological geography.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will make new characters of region in the development strategies program. This study is to describ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relating with it's environment based on the coast. Although landforms constitute prominent landscape features as tidal flats and rock cliff do, it is nonetheless the features such as beaches, sanddunes, and coastal plains that have various ramifications for human communities. Tidal flats, beaches and coastal sanddunes are special in that their formation is attributable to the combined action of tidal flows, waves and winds.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sand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Human impact are involved.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expansion of liberal trade appears in regions variously. Individual regions need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Regions are not value-neutral abstract conception, but must be informal commercialized characters of region. The coast of South Chung-chong Province has experienced rapid and dramatic changes. In industrial times, the middle of west coast Korea turned into a major reclamation at larger scale. Reclaimed land was based on location of industry and mechanized agriculture. The west coast highway and bridges between island and l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est coast transportation.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d, trend and value are changing. Environment and ecology emphasize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idal flats and sanddunes. The west coast region now receives attention as eco-tour and sustainable course.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FEMOS)을 이용한 아산만 조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Tidal Currents of Asan Bay Using Three-Dimensional Flow Modeling System(FEMOS))

  • 정태성;김성곤;강시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60
    • /
    • 2002
  • 3차원 흐름 모델링시스템 FEMOS를 개발하고, 아산만 조류분포를 모의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조간대 모의를 할 수 있으며, 수치해석방법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격자형성이 자유스러우며, 복잡한 해안선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넓은 조간대와 큰 조차, 얕은 수심을 가진 아산만의 조류분포 모의에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모의결과는 장기간의 중층에서 유속변화, 층별 유속의 시간변화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아산항 건설 전·후 조류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산정한 바닥마찰응력 분포 변화를 수심변화 관측결과와 비교한 결과, 마찰음력이 증가하는 곳에서는 침식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감소하는 곳에서는 퇴적으로 수심이 얕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본 모델링시스템은 그 적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복잡한 해안선과 지형을 가진 연안해역의 해수유동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ext-generation sequencing reveals the diversity of benthic diatoms in tidal flats

  • An, Sung Min;Choi, Dong Han;Lee, Howon;Lee, Jung Ho;Noh, Jae Hoon
    • ALGAE
    • /
    • 제33권2호
    • /
    • pp.167-180
    • /
    • 2018
  • Benthic diatoms are ubiquitous in tidal flats and play major roles in maintaining coastal ecosystems.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diatom diversity have not been well-studied, mainly because of difficulties in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and the lack of appropriate genetic tool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used the gene encoding the ribulose bisphosphate carboxylase large-subunit (rbcL) as a molecular marker, and sequenced these genes with the aid of the MiSeq platform. In this manner, we explored the genetic diversity of benthic diatoms in tidal flats of Guenso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benthic diatoms were evident. The diatom communities were dominated by Nitzschia, Navicula, and Amphora; their relative distributions were affected by the sand proportion, grain size, and air exposure time. Our results suggest that meta-barcoding of the rbcL gene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can be used to explore the diversity of benthic diatoms.

인공갯벌 조성에 관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Analyzing an Economic Feasibility for Restoration/Cre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s)

  • 남광현;오위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93-6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conomic feasibility of creating artificial tidal flats using cost-benefit analyses. We assumed that the cos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esigning, construction and monitoring, and the benefi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isheries production, habitation, prevention of disasters, water purification, aesthetic value and existence value. First, for analyzing economic feasibility, the scenario suggests that a design can be made in a year,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in three years and monitoring must be made for 20 years. Assuming the discount rate of 7.5%, economic feasibility analyses showed that B/C was 2.26 and IRR was 14.50. This study indicated there is economic validity of implementing creation of artificial tidal flat. In addition, we carried out a sensitivity analysis at the change of discount rate and restoration rate.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economic validity is low when discount rate is over 15%, and changes in restoration rate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on the economic validity.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 평가 (Evaluation on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in the Tidal Flat)

  • 유선재;김종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9-415
    • /
    • 1999
  • 우리나라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물리, 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른 충남 서천군 춘장대 갯벌, 전북 옥구군 어은리 갯벌 그리고 전북 계화도 갯벌을 채취하였다. 실험은 갯벌의 물리화학적 성분분석을 행하고, 갯벌을 채운 반응기를 이용해 유기물, 영양염류 및 중금속의 정화능력을 평가해 보았다. 1. 3개 갯벌의 입도분석 결과 어은리 갯벌이 니질의 함량이 $98.8\%$로 가장 높고, 춘장대 갯벌은 모래성분이 $97.84\%$로 가장 높았다. 유기물함량 (IL, COD, POC)는 니질 함량이 높은 어은리 갯벌에서 다른 두 갯벌 보다 2$\~$8배 이상 높았다. 2. 갯벌의 유기물 정화능력을 COD로 계산한 결과, 어은리 갯벌 0.75kg/ha/12hr, 계화도 갯벌 0.60kg/ha/12hr 그리고 춘장대갯벌 0.55 kg/ha/12hr 이었고, 3개 갯벌의 1일 평균 COD 정화능력은 1.27kg/ha/day이었다. 앞의 결과를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소멸될 면적 (20000ha)에서 제거될 수 있는 유기물량으로 환산하면 25.4 ton/day로 계산되었다. 3. 갯벌의 영양염류 정화능력은 인산 인의 경우, 계화도에서 0.21 kg/ha/12hr, 어은리에서 0.39kg/ha/12hr, 그리고 춘장대에서 0.22kg/ha/12hr였고, 질산질소는 계화도에서 0.53kg/ha/12hr, 어은리에서 0.74kg/ha/12hr 그리고 춘장대에서 0.43kg/ha/12hr 이었다. 4. 갯벌의 중금속 정화능력은 Cu의 경우, 계화도 갯벌 88.9g/ha/12hr, 어은리 갯벌 89.1 g/ha/12hr 그리고 춘장대 갯벌 55.3g/ha/12hr이고 Pb은 계화도 갯벌 11.0g/ha/12hr, 어은리 갯벌 18.0g/ha/12hr 그리고 춘장대 갯벌 13.1g/ha/12hr그리고 Cd은 계화도 갯벌 1.7 g/ha/12 hr, 어은리 갯벌 2.6 g/ha/12 hr 그리고 2.1 g/ha/12 hr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갯벌의 정화능력은 니질의 함량이 많은 어은리 갯벌이 모래로 이루어진 춘장대 갯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화능력을 나타내어, 갯벌의 물리, 화학적 성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석지 개흙속의 온도변화와 간극수내의 영양염농도 분포특성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Sedi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Interstitial Water at the Tidal Flats)

  • 박종화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1-51
    • /
    • 1998
  •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s of temperature in the sedi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interstitial water were particular interests on the ecological research of tidal flats. It was the aim of this paper to grasp inhabiting environment of t

  • PDF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Evaluation of Health of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using Biomarker Gene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6
    • /
    • 2018
  •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