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idal estuary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8초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 퇴적특성과 물질수송플럭스 산정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Sandbar and Estimation of the Mass Transport Flux in the Nakdong Estuary)

  • 윤한삼;이인철;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1-137
    • /
    • 2004
  •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the deposition characteristics and mass transport flux estimation in the Nakdong estua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tidal current circulation which influenced to an estuary terrain change, the seawater circulation calculation by the use of 2D numerical model for the three cases of without riverflow, mean and flood riverflow quantity condition practiced and each sectional net-flux of water quantity between sandbars(so called, dung) estimated. It may be that an estuary terrain change due to the large scale construction and reclamation at the Nakdong estuary influence to the long-time deposition characteristics. by the revim for the old research, we know that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sandbars has been moved toward the east-side from the west-side estuary area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river dike, at present the strong-acted location is the Bakhap-dung of the front sea of Tadea. The seawater circulation pattern at this large scale area of tidal flat bring on a change due to the water quantity outflowing from the Nakdong river. Base on the calculated results for the section net-flux of water quantity, we see that the accumulating action very strong at the local sea around Jangjado, Bakhapdung and Tadae for the case of flood riverflow quantity condition, but at the local sea around Jinudo for the another cases. Consequently, it is emphasized that in the Nakdong estuary the main sensitive regions which influenced from the discharge of riverflow were the local sea around Jangjado, Bakhapdung, Tadae and Jinudo.

  • PDF

하구갯벌에 있어서 퇴적유기물의 기원 해석 (The Origin of Sediment Organic Matters at Tidal Flat in Estuary)

  • 신우석;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6
    • /
    • 2010
  • 하구 간석 퇴적 유기물의 기원과 계절적 변동 특성을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나나키타강 하구 갯벌의 세립토 함유율(<63 ${\mu}m$), Chl.a, TOC, C/N비 및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 ${\delta}^{15}N$)를 측정했다. 그 결과, 모래질 갯벌에서는 해양성 기원 유기물과 부착 조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진흙질 갯벌에서는 육지 기원 유기물의 영향이 컸다. 게다가 퇴적물중의 유기물량과 유기물의 기원은 계절에 따라 변동 하는 것이 분명하고, 그 요인으로서는, 모래질 갯벌에서는 부착 조류와 고조(高潮) 및 월파(越波)에 의한 퇴적이 주요인이었으며, 진흙질 갯벌에서는 육상에서의 유기물의 유출에 의한 퇴적이 특징적이었다.

부정류에 의한 감조하천의 홍수분석 (Flood Analysis by Unsteady Flow on Tidal River Estuary)

  • 김현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1-88
    • /
    • 1990
  • The flow in a river reach where is influenced by tidal motion is characterized by unsteady flow. The flood analysis in the river reach needs depending upon the theory based on the complete unsteady flow equations. In this study the unsteady flow model which is called CRIUM (Channel Routing by Implicit Unsteady Flow Model)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Mankyong and Dongjin river in order to analyze the floo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hich were calibrated and verified by the flood records to be measured in the two rivers, show that unsteady flow mode] can be u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flood hydrograph. The peak flood discharges were estimated as 4,960 and $2,870m^3$/sec in 100 year frequency at the estuary of the Mankyong and Dongjin river,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river reaches were not influenced by tidal motion when the discharge magnitude was larger than approximately $3,000m^3$/sec.

  • PDF

금강하구둑 홍수예경보시스템 개발(II) -시스템의 적용- (Real-Time Flood Forecasting System For the Keum River Estuary Dam(II) -System Application-)

  • 정하우;이남호;김현영;김성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0-66
    • /
    • 1994
  • This paper is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s for the real-time forecasting for the Keum river estuary dam such as tidal-level forecasting model, one-dimensional unsteady flood routing model, and Kalman filter models. The tidal-level forecasting model was based on semi-range and phase lag of four tidal constituents. The dynamic wave routing model was based on an implicit finite difference solution of the complete one-dimensional St. Venant equations of unsteady flow. The Kalman filter model was composed of a processing equation and adaptive filtering algorithm. The processng equations are second ordpr autoregressive model and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model. Simulated results of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field data and were reviewed.

  • PDF

목포해역 개발에 따른 항내 조석변화 (Tidal Changes in the Harbor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Coastal Zone)

  • 정명선;정대득;신승호;이중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20
    • /
    • 1997
  • Tidal changes in Mokpo harbor and its adjacent coastal waters caused by the coastal development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e Youngsan, Youngam, and Gumho Estuary Barrages had been predicted previously. Since then, the construction work for these estuary barrages had been completed and it was available to get water level variations from the continuous measurement at the Mokpo tidal st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analysis of water level variation from the observed data by the harmonic analysis and mathematical treatment. Some comparisons between the observed water level changes and the predicted by the numerical model are made, which was not supported before. The result shows that the trend of the water level changes are following well the previously predicted variations.

  • PDF

錦江 鹽河口에서의 潮流와 浮游堆積物 이동 (Tidal Current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Keum Estuary,West Coast of Korea)

  • 오임상;나태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7-162
    • /
    • 1995
  • 큰 潮差 지역인 금강 鹽河口의 潮流과 江水流入에 의한 순환과 이에 따른 부유물질의 이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세 정점에서 潮流 및 浮游퇴적물질 농도를 관측하였다. 이 염하구의 가장 외해쪽 관측점에서는 漲潮流 와 落潮流의 수직 구조는 거의 대칭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 남측 수로에서는 漲 潮流가 全水層을 통해서 우세하나 북측 수로에서는 상층과 저층에서는 落潮流가 우세하고 중층에서는 漲潮流가 우세하였다. 남측 수로에서의 최대유속은 漲潮流 시에 중층에서 174 cm/s이었으며, 북측 수로의 최대 유속도 漲潮流시 중층에서 148 cm/s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표층과 저층에서는 최대유속 110.6 cm/s의 강한 유속이 落潮時에, 92.1 cm/s이 漲潮시에 각각 기록되었다. Hansen and Rattray 의 scheme에 의하면 금강 鹽河口는 Type 3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 鹽河口의 수층은 漲潮流에 의해서 成層化하고 高潮後의 落潮流는 수층간의 밀도차를 줄여 서 亂流化한다. 이곳의 저층 흐름은 일반적으로 난류성이다. 한 조석 週期당 부유 물질의 이동량은 潮差와 하천유량에 달려있다고 생각된다. 관측기간중 최대의 부 유물질 이동은 하천유량이 최소였던 1991년 5월중 남측 수로에서의 측정치에서 초당 20.61톤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이동은 최소 潮差 기간인 1992년 7월에 북측 수로에서 초당 0.65톤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해역의 강한 해저전단속도는 창조류 기간 동안에 해저퇴적물을 침식시키며, 상대적으로 긴 落潮 기간은 이들 부유퇴적 물을 외해쪽으로 운반시키고 있다. 정상적인 강수 유입 조건하에서는 대부분의 부유물질이 남측 수로를 통해서 운반되나 강수의 유입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오히 려 북측 수로를 통한 부유물질의 이동이 더 크다.

  • PDF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Convergence and Bottom Friction at the Major Waterways in Han River Estuary using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 윤병일;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83-392
    • /
    • 2011
  • 경기만 해역에 위치한 한강하구역은 연안개발 압력이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하구 순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였다. 한강하구의 해양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 지역의 가장 큰 외력 조건인 조석의 전파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석 관측 자료와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한강하구의 주요 수로별 조석 전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수로의 조석 전파 특성은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각 수로에서의 조석 전파 특성은 수로 형태의 지형학적 수렴정도와 마찰에 의해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적인 수로에서 수렴 항과 마찰 항의 균형 정도를 비교하는 해석 해를 분석한 결과는 각 물리적 인자의 영향 정도가 주요 수로 별로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으며, 염하수로에서 수렴 항 대비 마찰 항의 비율이 석모수로 보다 약 4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염하수로에서 최대 진폭이 나타나는 위치는 석모수로에 비하여 하류에서 나타났으며, 정점 간의 단위 거리당 진폭 감소 비율과 위상의 증가율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에서 크게 나타났다.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하여 한강하구 주요 수로를 분류하면 모든 수로에서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지만, 상대적으로 염하수로는 마찰의 영향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크게 나타난다.

영암-금호방조제 방류에 의한 해역 특성 (Characteristics of a Sea Area due to the Discharge through Yongam-Kumho Sea Dike)

  • 김강민;김상훈;유하상;정대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8
    • /
    • 2004
  • 목포항 인접해역은 영산강 하구둑과 영암-금호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반폐쇄성을 띠고 있어 영산강 하구둑과 영암-금호 방조제 방류에 의한 영향은 조류속 변화와 퇴적특성 변화와 같은 환경적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암-금호방조제, 영산강 하구둑 방류현황을 수집ㆍ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존의 수치모형실험에서 간과되어 온 방류와 관련된 각종 실험계수를 재조정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인근 해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즉, 영암-금호방조제에서 방류량에 따른 조류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퇴적특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조류 순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for dry-wet Treatment Effect in a Tidal Hydrodynamic Simulation)

  • 서승원;김정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07
    • /
    • 2003
  • 서해연안에 발달된 조간대의 효과가 수치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조석수동역학 모형인 ADCIRC에 침수-노출을 적용하여 금강하구와 전북해역에서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북해역에서 관측조류와 비교한 결과 RMS오차 분석으로 대조 시 1cm/sec 정도로 최대 조류속 대비 3% 이내에서 매우 잘 일치하고 있으나, 침수-노출 처리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하구에 대한 조량 평가는 조간대의 침수-노출 영향이 대체로 5%내외에서 국한되지만 인근 특정 단면에서는 20%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조석 잔차류 비교 평가에서 조간대 고려 유무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조석수동역학 해석결과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간대의 침수-노출 고려 유무는 연구목적에 따라 달리 취해야 되겠지만, 장기간의 확산모의와 결합되는 경우 등에는 조간대의 노출을 고려하지 않아도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Landsat 위성 영상을 활용한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 연안 하구사주 갯터짐 환경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Estuary Sand Bar Related with Tidal Inlet in Namdaecheon Stream using Landsat Imagery)

  • 장지원;엄진아;정대교;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481-493
    • /
    • 2017
  • 강원도 양양에 위치한 남대천은 하구로 육상 환경과 해양 환경의 점이지대이다. 하구는 다양한 연안환경을 형성해 지구 생태계 중 생태적 가치가 높은 환경으로 남대천에 출연하는 종 중 일부 고유종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희소하게 출현되어 보호가 필요하며, 모천 회귀어류인 연어는 우리나라에서 70% 이상이 남대천으로 회귀한다. 남대천과 같은 하구에서는 사주가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하구 사주의 변화는 생태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지형 변화의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대천 하구 사주에서 일어나는 지형 변화인 '갯터짐'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과 그 위치 변화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남대천 하구 사주의 지형 분석을 위해 미국 지질 조사국(USGS)에서 제공하는 Landsat 위성영상으로 1984년부터 약 40년간의 하구 사주의 면적과 갯터짐의 위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평균 해류 벡터, 강수량 그리고 조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위치와 형태가 계속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절이나 연대별 특징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안류의 방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강수량과 조위를 하구 사주의 면적과 비교한 결과 강수량과 조위가 증가할수록 사주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