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Residual Curren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4초

영일만의 조석잔차류 거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Residual Current in Youngil Bay)

  • 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3
    • /
    • 2001
  • 영일만의 해수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조석잔차류와 형산강 하천수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실험의 결과는 기존의 관측자료들과 잘 일치하였으며, 영일만의 북쪽 달만갑 연안으로부터 포항신항을 거쳐 장기갑 연안을 따라 외해로 빠져나가는 조석잔차류 거동을 잘 재현하였다. 영일만의 잔차류에 대한 조류의 영향은 미약하며 파랑이나 바람에 의한 영향이 크지만 영일만의 전형적인 조석잔차류의 거동에 미치는 형산강 하천수의 역할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진해 및 마산항로 주변해역의 조석·조류특성 (Tide and tidal current around the sea route of Jinhae and Masan passages)

  • 추효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1호
    • /
    • pp.45-56
    • /
    • 2021
  •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e and current around the sea route of Jinhae and Masan passages, tide measurement and 2D numerical model experiments of tidal current and residual flow were carried out. Tide is composed of 84% of semi-diurnal tide, 11% of diurnal tide and 4% of shallow water tide, respectively. Phase lags of the major components for the tide around the study area have little differences. The flows are reversing on the whole, but have rotational form around Jamdo Island, south of Masan passage in spring tide and Ungdo Island, north of Masan passage in middle and neap tide. Current flows the speed of 50 cm/s in the sea areas near small islands, 5 cm/s in Jinhae harbor, Hangam bay and near Jinhae industrial complex and 20-30 cm/s in Jinhae passage, Budo channel and Masan passage. Tide-induced topographical eddies are formed near small islands, but few eddies exist and the flow rate of less than 5 cm/s tidal residual current formed in Jinhae and Masan passages. The flows in Jinhae and Masan passage give a good condition for a passage into Jinhae and Masan harbor.

여수연안 정치망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 변동에 관한 연구 - 2 . 어장주변 해역의 해수유동 -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2 . Sea Water Circulation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 -)

  • 김동수;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3호
    • /
    • pp.142-149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set net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The current in the vicinity of set net grounds was observed by drogue and current meter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the north enterance of Yeosu bay was southerly in ebb and northwesterly in flood without the distiction of the neap tide and the spring tide. In spring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68 cm/sec in ebb and 66 cm/sec in flood. In neap tid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idal current was 37 cm/sec in ebb and 35 cm/sec in flood. And so the direction of residual current was the south ward mainly and 21 cm/sec. The direction of tidal current at set net fishing grounds was southwesterly in ebb and westerly or northwesterly in flood. Regardless of the distinction of neap and spring. The maximum velocity of the current in spring tide was 50 cm/sec in ebb and 40 cm/sec in flood and that in neap was 28 cm/sec in ebb and 25 cm/sec in flood. In spring tide the speed vector along the major axis of semidiurnal tide component was three times as large as diurnal tide. In neap tide, however, the speed vector was about 50% less then that in spring tide, and the semidiurnal tide and diurnal tide were equal in the size of current ellipse and the direction of major axis. The sea area had a southwesterly residual current. 11 cm/sec in spring tide and 7 cm/sec in neap tide. According to the result of drogue tracking, the vicinity of set net fishing ground had a southerly residual current which formed in Yeosu Bay and a weak westerly residual current toward Dolsando from Namhedo. Therefore, set net fishing ground in coastal water of Yeosu was distributed in boundary of inner water which formed from Seamjin river and offshore water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chido.

  • PDF

해안방조제가 조류 및 잔류흐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dal Currents and Residual Flow on the Sea Dike)

  • 백중철;윤영호;신문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83-96
    • /
    • 2005
  • 해안매립이 해양의 동수력학, 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동수력학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방조제 건설에 따른 조석, 바람 및 밀도변화 성분을 포함한 조류와 잔차류의 변화를 수치모의 하였다. $\sigma$-좌표로 변환된 지배방정식은 음해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수치모형은 조석의 4대 주요 구성성분인 M$_2$, S$_2$, $K_1$$O_1$의 조석표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주로 조석 및 바람에 의한 잔차류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 천수만 중앙부의 하계 조류/비조류 특성 (Tidal and Sub-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Central part of Chunsu Bay, Yellow Sea,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 정광영;노영재;김백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2호
    • /
    • pp.53-64
    • /
    • 2013
  • 이 연구는 서해 천수만에서 2010년 7월 29일부터 8월 30일까지 33일동안 관측한 ADCP 자료와 바람(기상청), 서산AB지구의 방류량(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조류의 조화분석을 통해 조류의 특성을 파악했고, 스펙트럼(spectrum)과 코히런시(coherency) 분석, 콤플렉스 코릴레이션(complex correlation)과 진행 벡터(progressive vector) 등을 통해 비조류 특성을 파악하여 바람과 담수 유입이 잔차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관측 유속의 범위는 -30~41 cm/sec였고, 표준편차는 저층에서 1.7 cm/sec, 표층에서 18.7 cm/sec로 계산되었다. 조화분석 결과 유향은 북북서-남남서 방향으로 주된 흐름을 보였다. M2의 조류타원 장축과 단축은 각각 9.4~14.8, 0.1~0.5 cm/sec의 범위를 보였고, S2의 경우 각각 4.4~7.0, 0.4~1.4 cm/sec의 범위를 보였다. 잔차류 전 수층의 대한 스펙트럼 분석 결과 3~6개의 유의한 주기가 2~8일 주기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바람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바람과 전 수층 잔차류의 코히런시 분석 결과 3~5개의 유의한 주기가 2.8일 이내의 위상차로 나타났고, 담수 유입량과 표층 잔차류의 코히런시 분석 결과 4.6일 주기가 가장 유의했으며, 위상차는 1.2일이었다. 잔차류의 진행 벡터는 전 층에서 북향했고, 표층보다 중층에서 북향하는 거리가 컸다. 잔차류의 북향은 바람의 계절적 요인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으나, 만 북부에서 남하하는 담수의 영향(밀도류)에 의해 표층 잔차류 일부가 남향하는 흐름을 보였다.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of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bay of Cheonsu in Korea

  • Moon Seup Shin;Tet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2-63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his study is to find tide and tidal current variation by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of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bay of Cheonsu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observed data o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of summer(July) in the bay of Cheonsu in Korea, water circulation in the bay of Cheonsu is investigated with use of a robust diagnostic numerical model, including calculated co-range and co-tidal charts of M2 tide are similar to the observed ones. The residual flow Pattern at the surface layer during summer formed clockwise circulation in the front coastal the dike of the Sosam A zone(Ganwor island) and Taeju island. The residual flow pattern at the 15m layer during formed clockwise circulation in the front Taeju island. The residual flow Pattern at the surface layer formed anti-clockwise circulation in the upper Sangmok and Naepasu island.

  • PDF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around the Geomoondo Marine Afforestation)

  • 정종암;신춘수;김종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32
    • /
    • 2012
  • 거문도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및 수치실험을 통하여 바다숲 조성해역의 조석류에 의한 해수 흐름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에 사용된 수치모형은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사용하여 연직방향으로 총 5개 층을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의 검증은 조위 및 조류 각 2개 정점의 조화분석을 통한 조화상수 비교를 통하여 수치실험결과와 관측결과가 잘 일치하고 조시별 유동장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치실험결과,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수흐름패턴은 대상해역 바깥쪽의 주류에 비해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밖노루섬으로 인해 흐름이 약해지고, 잔차류는 주로 북서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나 크기는 미약하게 나타나 포자나 유배 등이 만내에 체류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바다숲 조성시설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소조기시 한강하구 석모수로에서 단면 잔차류와 성층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 of Cross-sectional Residual Current and Stratification during Spring and Neap Tidal Cycle at Seokmo Channel, Han River Estuary Located at South Korea)

  • 최낙용;윤병일;김종욱;송진일;임은표;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49-158
    • /
    • 2012
  • 본 연구는 강화도 서측에 위치한 조력 발전 유력 후보지인 석모수로의 북단과 남단의 2개 정선에서 13시간 연속으로 단면 유속과 염분 관측을 대,소조기시 각각 수행하여 단면 내 잔차류의 변화와 성층간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석모수로의 염분 분포는 대,소조기에 따라 서로 다른 염분 구조 형태를 보이며, 염분의 침입 범위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잔차류 성분은 13시간 유속 성분에서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M_2$분조와 $M_4$분조를 제거하여 구하였고, 석모수로 북단과 남단에서 표층의 잔차류 성분은 모두 남쪽 방향의 잔차류 성분을 보인다. 그러나 두 정선의 단면 저층에서는 표층과 저층간의 2층 흐름 구조를 만드는 북쪽 방향의 잔차류가 관측되는데 그 위치는 대,소조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시,공간적으로 다른 결과를 보인다. 북쪽 방향의 잔차류와 성층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Richardson number와 Simpson-hunter index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석모수로의 단면 잔차류 패턴은 Richardson number가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커지고 Simpson-hunter index가 4 이상 나타나는 지역, 즉 성층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에서 2층 흐름 구조를 보인다.

새만금지구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Seamangeum coastal area)

  • Sin Mun-Seop;Yu Cheol-Ung;Kim Ik-Jung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7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pp.73-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dimentation patterns variation in Saemangeum coastal sea region. Water circulations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from the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and tidal residual current. Three dimensional movements of injected particles due In currents, turbulence and sinking velocity are tracked by the Euler-lagrange method. Calculated sedimentation patterns of riverine material are highly similar to the observed ones.

  • PDF

Simulation of Tidal Fields around a Huge Floating Marina using a Multi-level Method

  • BOO SUNG YOUN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4-119
    • /
    • 2004
  • Floating marina has been interests as an alternative to the facilities for recreational boats because of its cost effectivenes and less environmental conflicts. For tile present research, a square floating marina with a length of 400m and draft of 5m was used. This marina can be extended to 800m by putting anotjer one together. Tidal field around tile marina was simulated using a multi-level finite difference method. Tidal motion was assumed sinusoidal in a closed rectangular bay. Velocities and residual current were investigated for two cases of single marina and two marinas installed in tile bay. It was found that the horizontal velocity fields from the water surface to the structure bottom around tile marina were affected. In the marina basin, magnitude of velocity was reduced considerably but overall quality of water circulation was preserved even after two marina were instal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