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id fine-needle aspira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4초

흉선 유암종의 세침 천자 세포학적 소견 - 1 예 보고-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ymic Carcinoid Tumor - A case report -)

  • 공구;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2-147
    • /
    • 1991
  • Diagnosis of a thymic carcinoid was made on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in a 36-year old woman who had an anterior mediastinal mass on chest X-ray and CT scan. The aspiration smears showed numerous anastomosing ribbons and cords of small round tumor cells. The tumor cells had slightly eccentric nuclei and some granular cytoplasm. The small and uniform nuclei of the tumor cells had finely granular chromatin and thin nuclear membrane. The cytologic diagnosis of a carcinoid was confirmed on histopathologic,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microscopic examination of surgical specimen.

  • PDF

갑상선의 저분화 "도암종"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 1례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oorly Differentiated "Insular Carcinoma" of the Thyroid - A Case Report -)

  • 이승숙;하창원;조경자;장자준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0
    • /
    • 1994
  • 저자들은 접할 기회가 흔치 않은 갑상선의 저분화암종인 일명 "도암종"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1예를 경험하고 조직학적으로 확인하였기에 문헌검색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흡인 도말된 세포들은 비교적 깨끗한 도말배경에 중등도 이상의 높은 세포밀도를 보였으며, 세포들은 개개로 흩어지는 양상과 판상의 군집을 이루는 양상이 어우러져 관찰되었다. 때로 세포들이 소포배열을 이루는 곳도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종양세포들은 비교적 비슷한 크기와 모양을 나타내었으나 일부의 세포들은 현저한 다형성을 보였다. 일부의 세포에서 핵에 주름을 보였으나 소수에 불과하여 이는 어떤 갑상선병변에서나 관찰할 수 있는 비특이적 변화로 간주되었다. 세포의 겹침이 별로 없이 높은 세포밀도를 보이는 점, 세포가 개개로 흩어지는 양상과 소수 다형성이 현저한 세포의 혼재 등은 본 종양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소견을 염두에 둠으로써 수술전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갑상선암의 경부 림프절 전이 진단을 위한 미세침세척액 티로글로불린 측정법 (Thyroglobulin Measurement in Fine Needle Aspirates for Diagnosing Cervical Lymphnode Metastasis from Differentiated Thyroid Malignancy)

  • 고희영;김승수;이춘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81-185
    • /
    • 2010
  • 갑상선암 환자의 경부 림프절에서 미세침흡인생검술(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을 시행하며 얻은 미세침세척액의 티로글로불린(thyroglobulin, Tg)측정법의 진단적 성적과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FNAB 세포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갑상선암의 경부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어 초음파 시행한 총 37명의 환자 48개의 FNAB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수술 후 조직검사결과 또는 장기간 영상 추적검사를 기준으로 하여 세포검사와 미세침세척액 티로글로불린(FNAB-Tg)측정법을 비교하여, 각 검사의 특이도, 민감도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Tg-항체가 양성일때 FNAB-Tg 검사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Tg-항체 검사를 같이 시행한 3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FNAB 검체의 세포검사에서 전이 음성인 36개 검체 중 35개 검체에서 음성을 보였고, 전이 양성인 12개 검체 중 9개 검체에서 양성을 보였다. FNAB-Tg측정법의 경우 전이 음성인 36개의 검체 중 32개의 검체에서 음성을 보였고, 전이 양성인 12개의 검체 중 12개 검체 모두 양성을 보였다. 따라서 세포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5.0% (9/12)와 97.2% (35/36)였고, 위음성이 25% (3/12)였다. 반면에 FNAB-Tg 측정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100% (12/12)와 88.9% (32/36)였고, 위양성이 11.1% (4/36)였다. 정확도는 두 검사 모두 91.7% (44/48)였다. Tg-항체에 대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34명을 따로 분석한 결과, Tg-항체의 존재 유무가 FNAB-Tg 측정법의 진단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NAB 검체를 이용한 세포검사는 특이도가 높고 반면, FNAB-Tg 측정법은 민감도가 높은 검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갑상선환자에서 FNAB를 시행할 때 세포검사와 FNAB-Tg 측정법은 동시에 시행되어야 할 상호보완적인 검사들이다.

  • PDF

갑상선 수질암 10례의 임상적 분석 (The Clinical Analysis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 : 10 Cases)

  • 김상현;노호상;문준환;김정수;황동조;서정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2-225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Medullary thyroid carcinoma(MTC) is a rare tumor derived from the parafollicular C cells of the thyroid gland accounting for 5-10% of all thyroid malignancies. In Korea, there has been a few case report of medullary thyroid carcinoma(MTC) but their clinical analysis were not exactly studied. So, we made clinical study of 10 patients diagnosed as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data of 1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edullary thyroid carcinoma(MTC) from April 1973 to August 1998 at National Medical Center. Results: The incidence of MTC was 2.3% of all thyroid cancer and their mean age were 44.2 years old. Preoperative thyroid scan showed cold nodule in all patients and thyroid function test(TFT) was within normal range. Of the 10 patents, only 4 patients had diagnosis of MTC in preoperative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All the patients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Two patients with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central neck dissection and modified neck dissection. Two patients (20%) showed recurrence at the site of neck, lung, mediastinum, bone and liver. Conclusion: Most MTC is sporadic form and have peak incidence in the fifth decade and female preponderance. Preoperative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s considered to be a clinically useful diagnostic method, but its accuracy is not considered as much high as others.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may be an useful surgical modality in treating medullary thyroid carcinoma.

  • PDF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K-TIRADS 점수화 체계를 사용한 양성과 악성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Using the K-TIRADS Scoring System in Thyroid Ultrasound)

  • 안현;임인철;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01-207
    • /
    • 2019
  • 본 연구는 갑상샘 초음파에서 K-TIRADS 분류와 K-TIRADS 분류에 따른 Different risk group의 조합을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 결절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갑상샘 초음파를 시행한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갑상샘 결절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K-TIRADS와 Different risk group의 점수체계의 차이 분석은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ROC 곡선 분석을 통해 악성 결절의 예측을 위한 K-TIRADS 점수와 Different risk group의 최적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 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K-TIRADS와 Different risk group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ROC 곡선 분석에서 양성과 악성 결절의 예측을 위한 K-TIRADS에 따른 점수분류에서는 AUC 0.786, Cut-off value> 2를 나타내었으며, Different risk group에서는 AUC 0.640, Cut-off value> 2로 결정되었다(p=.001). 갑상샘 초음파에서 결절을 발견했을 때 양성과 악성 갑상샘 결절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주는 K-TIRADS에 따른 분류체계가 Different risk group에 따른 분류체계보다 갑상샘 결절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며 K-TIRADS에 따른 분류체계를 적용하면, 불필요한 세포 검사를 줄일 수 있고, 악성 결절의 조기발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결절에서의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진단적 의미 (Significancy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n Thyroid Nodule)

  • 김기환;심윤상;오경균;이용식;장자준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4-104
    • /
    • 1993
  • 갑상선결절에서는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치료방침의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술전검사 방법으로 세침흡인세포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하여 널리 시행되고있다. 이에 저자들은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갑상선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203명의 환자중 110명을 대상으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술후 병리조직학적 진단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전체 110명중 악성종양이 79명으로 70.9%를 차지하였고 세침흡인세포 검사의 민감도는 86.5%, 특이도 90.4%, 위음성율 13.5%, 위양성율 9.6%, 양성예측도 97.5%, 음성예측도 60.1%, 진단적 정확도는 87.3%이었다.

  • PDF

갑상선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세침흡인세포학적 검사의 중요성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153예에 대한 연구 - (Diagnostic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Thyroid Lesions - Analysis of Histologically Confirmed 153 Cases -)

  • 박경미;고일향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2-133
    • /
    • 1996
  •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FNAC) smears of 153 cases of thyroid disease performed during August 1989 to July 1995, which were confirmed histologically following surgical operations. FNAC results showed 63 cases(41.2%) of adenomatous goiter, 45 cases(29.4%) of papillary carcinoma, 29 cases(19.0%) of follicular neoplasm, 4 cases(2.6%) of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carcinoma, 4 cases(2.6%) of Hashimoto's thyroiditis, 4 cases(2.6%) of $H\ddot{u}rthle$ cell neoplasm, 2 cases(1.3%) of medullary carcinoma and one case(0.7%) each of subacute thyroiditis and of anaplastic carcinoma. The overall accuracy of cytological diagnosis was 83.7%. These data strongly suggest thyroid FNAC is a reliable preoperative diagnostic tool, but FNAC has been less valuable in the diagnosis of follicular lesions than any other disease of the thyroid. Adenomatous goiter was not infrequently interpreted as follicular neoplasia that requires surgery for diagnostic conformation and vice versa. The following findings are considered to be compatible with follicular neoplasm: 1) microfollicles, 2) nuclear grooving, 3) irregularity of nuclear membrane, and 4) irregular arrangement or crowding of follicular cells in groups. The FNAC criteria of adenomatous goiter are as follows: 1) atrophic follicular cells, 2) presence of macrophages, 3) abundant colloid, and 4) large follicles. It is recommended that aspiration of thyroid lesions in order to analyse with critical clinico-pathological approach and surgery is considered only for nodules that are clinically suspicious or unresponsive to hormone therapy or when a diagnosis of follicular neoplasm is made.

  • PDF

경부에 전이한 Sex Cord Tumor with Annular Tubules의 세침흡인 세포소견 - 1예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ic Findings of Metastatic Sex Cord Tumor with Annular Tubules to the Neck - A Case Report -)

  • 오소영;강명재;정명자;문우성;이동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5-189
    • /
    • 1997
  • A sex cord tumor with annnular tubules is a relatively rare ovarian neoplasm. The cytologic findings from a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neck metastasis of a sex cord tumor with annnular tubules are described. The origin of the neck metastasis was the right ovary, and the tumor was diagnosed six years ago. The cytologic findings were characterized by tumor cells arranged in solid or follicular patterns. The tumor cells formed rosette-like or complex tubular structures with central rounded or coalesced hyaline materials.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is tumor cytologically from granulosa cell tumor, thyroid follicular neoplasm, Sertoli-Leydig cell tumor, and Brenner tumor, but complex tubular structures were help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se tumors.

  • PDF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갑상선결절의 융복합 위험요인 (Convergence Risk Factors for Thyroid Nodules Diagnosed Ultrasound)

  • 이혜남;박연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305-310
    • /
    • 2016
  • 최근 초음파검사의 접근이 일반화되면서 한국에서는 갑상선암발생율의 연간변화율이 24.5%로 상승하였다. 이에 고식적 갑상선암의 위험요인인 전리방사선과 요오드식이 이외의 갑상선암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종합검진센타에서 초음파검사 후 미세침흡인검사로 진단된 양성결절 260명과 악성 결절 151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나이, 혈액학적 수치, 비만지수, 허리둘레, 폐경여부, 유방결절 유무, 자근근종 유무, 지방간 유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갑상선암 그룹에서 비만인 경우, 유방의 결절과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가 양성결절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갑상선 및 갑상선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정립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세침흡인검사 결과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로 진단된 갑상선 결절에서 악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 (BRAFV600E Mutation is a Strong Preoperative Indicator for Predicting Malignancy in Thyroid Nodule Patients with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Identified by Fine Needle Aspiration)

  • 최혜랑;최보윤;조재훈;임영창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1호
    • /
    • pp.600-604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reliable preoperative predic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yroid cancer in patients with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US) identifi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Subjects and Method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wo hundred and nine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AUS by preoperative FNAB who underwent curative thyroid surgery at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2005 and February 2014 were analyzed. Clinical, radi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were investigated as preoperative predictors for postoperative permanent malignant pathology. Results The final pathologic results revealed 36 benign tumors including nodular hyperplasia, follicular adenoma, adenomatous goiter, nontoxic goiter, and lymphocytic thyroiditis, as well as 263 malignant tumors including 1 follicular carcinoma and 1 invasive follicular carcinoma; the rest were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The malignancy rate was 87.9%. The following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malignancy by univariate analysis: $BRAF^{V600E}$ gene mutation, specific ultrasonographic findings including smaller nodule size, low echogenicity of the nodule, and irregular or spiculated margin (p<0.05).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BRAF^{V600E}$ mut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alignancy (p<0.05). When $BRAF^{V600E}$ mutation was positive, 98.5% of enrolled patients developed malignant tumors. In addition, the diagnostic rate of malignancy in these cases was approximately 16-fold higher than BRAF-negative cases. Conclusion Patients with AUS thyroid nodules should undergo $BRAF^{V600E}$ gene mutation analysis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and if the mutation is confirmed, surgery is recommended due to the high risk of malign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