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yssa kammalensi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멸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the Family Engraulidae(Pisces : Clupeiformes) from Korea)

  • 윤창호;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3-46
    • /
    • 1996
  • 한국산 멸치과(科) 어류의 분류학적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연안 19개 지점에서 채집하거나 CAS에서 입수한 표본에 대한 계수계측형질을 중심으로 분류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멸치과(科) 어류에서 Setipinna taty로 기재되어왔던 반지는 꼬리지느러미의 형태와 새파형태 등의 여러가지 분류학적 형질로 조사한 결과, 반지의 학명은 S. taty가 아닌, S. tenuifilis (Valenciennes, 1848)로 동정되었다. 지금까지 국내 출현종으로 알려져 왔던 Thryssa mystax와 T. purava는 국내에서는 출현하지 않았고, 대신 본 조사결과 국내 미기록종인 T. adelae로 확인되어 국명을 풀반댕이로 국명 신칭하였다. 곤어리 T. koreanus(=chefuensis)는 청멸 T. kammalensis (Bleeker, 1849)의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Coilia ectens로 기재되었던 웅어는 Coilia nasus Schlegel, 1846의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한국산 멸치과(科) 어류는 4속(屬) 7종(種)가 서식,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멸치과(科) 어류는 우리나라 전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였고, 비교적 전 해역에서 고르게 출현하는 종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 풀반댕이 Thryssa adelae와 웅어 Coilia nasus였다. 우리나라 고유종은 없었다.

  • PDF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1. 소형 기선저인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1. fishes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8-301
    • /
    • 2000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57과 110종이었다 실양태 (Repomucenus valenciennei), 청멸 (Thryssa kammalensis), 주둥치 (Leiognathug nuchalis), 등가시치 (Zoarces gilli)가 연중 우점하였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57.6{\%}$$37.2{\%}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청보리멸 (Sillagojaponica),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횐베도라치 (Pholis fangi), 멸치 (Engraulis japonicus), 풀반댕이 (nvssa adeire),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붕장어 (Congo.my.iaste.), 꼼치 (Liparis tnnakai), 줄망둑 (Acentrogobius pnaunlii),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도화망둑 (Chaeturichthys hexanema), 풀미역치 (Erisphex pottii), 용서대 (Cynoglossus abbrev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 및 채집량의 계절 변동을 보면, 봄과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여름과 겨울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에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전남지역 낭장망의 어구 및 어획물 비교 (Comparison of fishing gears and catches by areas in the Gape net with wings in Jeonnam, Korea)

  • 조삼광;송대호;유준택;최문성;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3호
    • /
    • pp.301-309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gional fishing gears and catches of the gape net with wings used in Jeonnam, Korea. The total length of the gear used in Yeosu, Wando and Jindo was 107.0m, 64.0m, 52.8m, and the size of codend was 4.3mm. 7.8mm. 9.8mm,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bycatch species from anchovy (Engraulis japonicus) catches in Yeosu, Wando, and Jindo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21, 13, and 13 species. A total of individuals of anchovy accounted for over 90% out of total catches in all survey areas. The proportion of anchovy individuals was constantly high up to October in Yeosu, but it showed a sharp reduction to 18% in October in Wando with the increase of the individuals of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In Jindo, individuals of anchovy occupied over 99.8% out of total catches up to August. Since August,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Big eyed herring (Sardinella zunasi),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Slimy (Leiognathus nuchalis)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anchovy individuals were decreased.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1998
  •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 ~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낙동강 하구해역에서 저인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 허성회;정석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8-195
    • /
    • 1999
  •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1987년 2월부터 1988년 1월까지 1년 동안 매월 소형 기선저인망(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100개 어종에 속하는 23,008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장 많이 채집된 어종은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 흰베도라치(Pholis fangi),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전갱이(Trachurus japonicus), 밴댕이 (Sardinella zunasi)였는데, 이들 5어종은 총 개체수의 63.0%와 생체량의 47.8%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우점종을 보면, 봄에는 흰베도라치와 실양태, 여름에는 실양태와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가을에는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과 청멸(Thryssa kammalensis), 그리고 겨울에는 설양태, 주둥치, 밴댕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어종수, 채집 개체수 및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다. 또한 어종 수 및 채집 개체수는 정점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낙동강 하구쪽으로 갈수록 어종수 및 채집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수온은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염분은 어류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fference in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diet during the breeding season for the last 10 years in the South Sea of Korea

  • Kwon, Young-Soo;Noh, Hyung Soo;Kim, Mir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17-222
    • /
    • 2013
  •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has been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s. Seabird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food availability in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iet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during the breeding season to identify changes of marine environment and biological response such as breeding performance in the South Sea of Korea. A total of 22 fish species or family (n = 128) from regurgitates by chicks were collected on Hongdo Island in 2002 and 2012. The most important prey item was Japanese anchovies (Engraulis japonicas). Proportion of Anchovy in diet increased in 2012 (70.5%) compared to 10 years ago (27.5%). Some species were newly found in 2012: Spotted chub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Pacific sand lace (Ammodytes personatus), White ventral goby (Acanthogobius lactipes), Silver-strip round herring, Multicolorfin rainbowfish (Halichoeres poecilopterus), Silverside (Hypoatherina tsurugae), Surfperch (Neoditrema ransonneti) and Spotnape ponyfish (Leiognathus muchalis), but not in 2002. Especially, sub-tropic fish such as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Rosefish (Helicolenus hilgendorfi)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et of 2012. These results might reflect the increase of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여수 돌산도 연안 낭장망에 부수어획된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Fishes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Dolsan-do, Yeosu, Korea)

  • 정재묵;유준택;김희용;이선길;고우진;김영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805-809
    • /
    • 2015
  • The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specie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were determined by monthly sample collection using a gape net with wings in 2014. Of a total of 32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Ammodytes personatus, Conger myriaster leptocephali, Sebastes inermis, Trichiurus lepturus, Thryssa kammalensis, Leiognathus nuchalis, Syngnathus schlegeli, Thryssa adelae and Hexagrammos otakii. These 9species accounted for 95.2%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Most of the fish caught were juveniles and small fishes.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de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the bycatch fish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

빔트롤을 이용한 여자만 어류의 계절별 종조성과 변동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of Fishes by Beam Trawl in Yeoja Bay)

  • 이선길;서영일;김주일;김희용;최문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6-216
    • /
    • 2011
  • To investigate seasonal and yearly variation of fishes composition in Yeoja Bay of Korea, fisheries survey were carried out using beam trawl from 2006 to 2009. A total of 44 fish species were collected.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Pennahia argentatus, Thryssa adelae, Thryssa kammalensis and Cynoglossus joyneri, which were occupied over 63% total individuals, and 50% of wet weight. The diversity index (H') was about 1.62 (1.46~1.77) by seasons, and seasons of similarity by fish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March with December and June with September. ANOVA test showe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nd catch weight (kg) per unit area (km$^2$) by year and season, except for catch weight per unit area by season.

가덕도 주변 해역 꼬치고기 (Sphyraena pingu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Brown barracuda (Sphyraena pinguis, Teleostei)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 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05-510
    • /
    • 2004
  • The feeding habits of brown barracuda (Sphyraena pinguis) were analyzed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monthly samples collected from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8. Brown barracuda occurred mainly from summer to autumn in the study area, and ranged from 15 to 35 cm in standard length. Brown barracuda was a piscivorous fish which, mainly consumed teleost fish such as anchovy (Engranlis japonicus) and chefoo thryssa (Thfssa kammalensi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shrimp and cephalopods. Although smaller fishes (<25 cm SL) consumed shrimp and cephalopods as well as fish, larger fishes (>30 cm SL) consumed exclusively teleost fish. The prey size increased with increase of fish size.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 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Fishery Resources off Youngkwang 1.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Stow Net)

  • 황선도;임양재;김용철;차형기;최승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7-738
    • /
    • 1998
  •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 사이에 서해 영광 연안에서 주목망으로 채집한 부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에 따른 양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한 시기 정점간의 종조성 변화가 적어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서해에서는 강한 조류를 이용한 수동어구의 자료는 우점종에 대해서 정량화가가능하였다. 조사기간중 총 98종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어류가 $52.0\%$, 새우류 $44.6\%$, 두족류 $2.0\%$, 게류 $1.4\%$ 및 복족류가 $.1\%$ 미만을 차지하였고, 청멸 (Thryssa kammalensis),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중하 (Metapenaeus joynezi), 민태 (Johnius grypotus) 등이 전체의 $68\%$ 이상을 차지하여 소수종에 의해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개체수 및 생체량의 계절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부영생물의 종조성이 정점간의 변화보다는 계절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서해 남부의 영광 연안 해역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해역으로 서해 중부 해역과는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