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 States and Unified Sill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정세와 경호조직 변천사 (A Study on the Change of Three States and Unified Silla Guard Organization History)

  • 장철원;김상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12호
    • /
    • pp.291-308
    • /
    • 2006
  • 국가의 성립과 발전에 따라 그 사회의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발생한다. 이 중 지배자는 다시 세분화되어 국왕이나 대통령 및 최고 집권자 등으로 구분되어 상대적으로 신변에 불안을 느끼게 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위해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여러 작용이 발생하는 바, 이것을 일반적으로 경호라 한다. 따라서 경호의 시작은 왕권의 강화 내지 중앙집권화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처음에는 군사조직이 이를 대행해 왔으나, 점차 경호업무의 세분화${\cdot}$조직화에 따라 독립적인 부서로 자리를 잡게 된다.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경호는 왕권의 강화, 영토의 확장, 중앙집권화의 확립 등에 따라 새로운 지배체제가 필요하였으며, 국와 근시집단과 시위부가 성립하여 국왕을 시위하거나 사병적 역할을 담당하는 업무를 관장하게 된다. 신라말에는 광범위한 관제개혁이 진행되어 중사성${\cdot}$선교성 등의 근시기구가 나타나며, 국왕과 태자의 시종뿐만 아니라 문한(文翰)의 업무도 장악하는 관부로 발전하게 된다.

  • PDF

"삼국사기(三國史記)" "옥사(屋舍)" 조(條)의 재고찰(再考察) (A Study on the Section of 'Housing Regulations'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 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45-64
    • /
    • 1995
  • This study examines the Section of 'Housing Regulations'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ulcorner}$三國史記${\lrcorner}$ 屋舍條) to verify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rough the study, the basic architectural terms in the Section of 'Housing Regulations', such as the size of the building, glazing roof tile, animal-shaped ornamental piece on roof ridge, eave purlin, wooden bracket arms, roof decoration, decorative paintings, stone steps, wall structure, blind screen, folding screen, bedstead, and gate are analyzed, interpreted and defined, and, in addition, the forms and styles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re basically reconstructed.

  • PDF

한국전탑(韓國塼塔)에 관한 비교론적(比較論的)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ies on the Korean Brick Pagoda)

  • 천득염;김은양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25-44
    • /
    • 1995
  • Bricks are the earliest man-made building materials. Small-size bar bricks were found in use in the Warring States Period(戰國時代) in China. During the Qin(秦) and the Han(漢) Dynasties, brick constructions were built on a larger scale, but most of them were tombs. In case of Korea, bricks were found in us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lso most of them were tombs. Starti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統一新羅時代), brick gradually became a universal practice to built Buddhist Pagodas with bar bricks. Brick pagodas emergence marked a stage where technological progress made it possible for man to built high-rise brick work, and their dvelopment further perfected masonry technique and enabled building technology to attain new heights. Though from the very start brick pagodas existed side by side with stone pagodas, at the enitial stage they were overshadowed by their wooden counterparts and stone counterparts, because masonry thechiques were then still rather primitive, while woodwork and stonework had already reached a fairly advaced stage. The pagodas in ancient Kore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inese stupa,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namely, the base, the body and the spire. The fact was, soon after the stupas were introduced into Korea, the Korean stupas began to develop features of their own. Korean brick pagodas were made up of a single-storeyed square base, multi-storeyed square body with a small gate, and a steel post with several layers of lotus flower superimposed one on the other.

  • PDF

조선조 계란의 문화적 의미와 조리법 분석 (Cultural Meaning and Analysis of Cooking Methods using Eggs in the Chosun Dynasty)

  • 차경희;김승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03-622
    • /
    • 2013
  • Egg is a food that has been loved from ancient times by people all around the world. It has been called a present from god because its rounded shape was believed to refer to the earth. We found the oldest and most perfectly preserved egg fossil at Chunmachong (天馬) in Kyungju (慶州). We believe that it was used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or the unified Silla (新羅), and, accordingly, it was a noble food that has been found at the king's grave of the age. Egg, which is called egg of chicken in Korean, was written as egg of chicken (鷄卵), son of chicken (鷄子), bird's egg of chicken (鷄蛋), and round thing of chicken (鷄丸) in the Korean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s. The ancient countries had the following myths about eggs In myths about offspring by egg, they were born as heaven's will to make them god. There were 19 proverbs: 'Hitting a rock with an egg', 'It's like the yellow part of an egg' and 'Even an egg stops when it rolls', etc. According to a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people use eggs when they find a good place. There are 10 proverbs (四字 成語): Dongjiipran (冬至立卵), Nanyeoseoktu (卵與石投) etc. Studies for analysis of egg recipes found in the old literature (cooking, agriculture and fishing, and medical books) in the Chosun Dynasty recorded 36 times where cuisine with egg was mentioned as the main ingredient, 154 times as a sub-ingredient, 79 times as a garnish, and 20 times etc. As a garnish, they were 'finely sliced', 'thin rectangular and the rhombus form', and 'rounded shape'; after grilling they were divided into yellow and white parts. When cooked, they were used in comparison of the size or shape of an object with that of other objects.

청국장의 역사 (The History of Chongkukjang)

  • 정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47-655
    • /
    • 2018
  • 혹자는 청국장(淸麴醬)은 전시(戰時)에 단기숙성으로 단시일 내에 제조하여 먹을 수 있게 만든 장이라하여 전국장(戰國醬), 또는 청나라에서 배워온 것이라 하여 청국장(淸國醬)이라고도 하며 전시장(煎?醬)이라고도 하였다 하고, 청국장이 우리나라 문헌에 처음 보인 것은 1760년(영조 36) 유중임(柳重臨)의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서부터라고들 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청국장과 메주를 뜻하는 '시(?)'가 삼국사기에 나오므로, 청국장은 삼국시대부터라고도 한다. 이처럼 청국장의 역사는 청나라(1600년대)부터인지 고구려, 신라시대부터인지 분명하게 전해지지 않아, 혼란스럽고 그 틈을 타서 과학적이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이 나돌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고문헌 기록을 통해 청국장의 역사를 과학적으로 재조명하였다. 문헌기록을 통해 본 결과 고구려, 신라시대에 이미 청국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젼국, 쳔국, ?국으로 불리었으며, 한자로 '시(?)'로 썼고, 어느 시기부터 청국장도 된장, 간장, 고추장과 같이 장(醬)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쓰다가 지금은 청국장(淸麴醬)으로 통일되었다. 시(?)의 의미도 1500년대까지 청국장을 의미했고, 1600년대 이후에는 청국장이 한자로 장(醬)이 붙은 전시장(煎?醬), 전국장(戰國醬), 청국장(靑局醬), 청국장(靑麴醬) 등으로 굳어지니까 시(?)의 의미도 메주, 된장을 국한지어 의미하게 되어 가는 경향이 있었다. 청국장은 전쟁과 관련이 있거나 청나라와 관련이 있는 음식이 전혀 아니며, 청국장은 문헌 기록상으로 보아 2200여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으나, 기록 이전에 사물이 먼저 있었을 것이므로, 이보다 훨씬 이전인 수 천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시대 칠도막 분석연구 (Studies on Analysis of Joseon Lacquer Layer)

  • 최석찬;김선덕;이용희;고수린;함승욱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80
    • /
    • 2011
  • 조선시대 옻칠도막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과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두 6종류 7가지의 시료에 대하여 광학현미경, 편광현미경 관찰 및 SEM-EDS분석, TOF-SIMS분석을 통하여 칠층의 구조와 바탕칠층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FT-IT분석을 통하여 표면의 칠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투명칠을 두 차례 한 GD-3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는 한 차례의 투명칠을 하였다. FT-IR분석을 통하여 표면의 옻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시험적으로 TOF-SIMS분석을 실시하여 미량의 시료로 바탕칠의 광물들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조선시대의 옻칠도막 분석결과 많은 시료의 분석은 아니었지만, 조선시대 이전 시기의 유물에 비하여 바탕칠 층이 두껍고 투명칠 층이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칠기 사용의 저변확대에 따른 칠 공정의 변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