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Analysis of Joseon Lacquer Layer

조선시대 칠도막 분석연구

  • Choi, Seok-Chan (Department of Science and Culture, Chung-Ang University) ;
  • Kim, Sun-Duk (Seojin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Co.) ;
  • Yi, Yong-Hee (Conservation Science Tea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Ko, Soo-Rin (Department of Science of Cultural Heritage, Chung-Ang University) ;
  • Ham, Seung-Wook (Department of Science of Cultural Heritage, Chung-Ang University)
  • 최석찬 (중앙대학교 과학문화학과) ;
  • 김선덕 (서진문화유산보존연구소) ;
  • 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고수린 (중앙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 함승욱 (중앙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Received : 2011.08.26
  • Accepted : 2011.10.05
  • Published : 2011.12.20

Abstract

For study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material in lacquer layer in Joseon Dynasty, 6 types and 7 pieces of sample were observed with the optical microscope and the polarizing microscope. For analyzing, SEM-EDS and FT-IR were used and TOF-SIMS was also used on trial. The former is directly varnished on the iron layer so the sample includes more iron component than the others. In the results of the trial analyzing in TOF-SIMS,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minerals on the foundation layer with the infinitesimalsample. The analysis results of lacquer layer with FT-IR a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all the samples have the spectrum of the lacquer. Through the result of the Joseon lacquer layer, there are not many samples, however, when it compared with unified Silla,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the previous era, the lacquer layers are simpler than the relics from previous era. It looks to have the relation with the simplific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because of expanding of the using of lacquer wares.

조선시대 옻칠도막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과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두 6종류 7가지의 시료에 대하여 광학현미경, 편광현미경 관찰 및 SEM-EDS분석, TOF-SIMS분석을 통하여 칠층의 구조와 바탕칠층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FT-IT분석을 통하여 표면의 칠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투명칠을 두 차례 한 GD-3을 제외한 나머지 시료는 한 차례의 투명칠을 하였다. FT-IR분석을 통하여 표면의 옻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시험적으로 TOF-SIMS분석을 실시하여 미량의 시료로 바탕칠의 광물들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조선시대의 옻칠도막 분석결과 많은 시료의 분석은 아니었지만, 조선시대 이전 시기의 유물에 비하여 바탕칠 층이 두껍고 투명칠 층이 비교적 단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칠기 사용의 저변확대에 따른 칠 공정의 변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성혜, 신승우, 남철균, 노은희, 박종화, 이은규, 권상오, "공예 재료와 기법 ". 제2판, 태학원, p240, (2003).
  2. 조현남, "평문칠기 연구 ".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학위논문, p8, (2006).
  3. 한병삼, 이건무, "남성리 석관묘". 국립박물관 고적조사 보고서, 10, (1997).
  4. 이종석, "韓國 古代 漆器硏究-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p12, (1983).
  5. 이지혜, "Surface Analysis of Organic Materials using Time-of-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고려대학교 학위논문, p3, (2007).
  6. 최석찬, "한국 전통염료의 과학적 분석연구 ". 중앙대학교 학위논문, p18, (2007).
  7. 도춘호, 이태녕, "고려팔만대장경 경판의 옻칠". 보존과학회지, 8, p33-39, (1999).
  8. 조남철, 김수철, 김우현, 신연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보존과학회지, 26, p373-374, (2010).
  9. 곽대웅, 황지현, "한국의 나전칠기". 천년을 이어 온 빛 나전칠기, 국립중앙박물관, p20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