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ic lymph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4초

폐암에서의 흉강경 폐엽절제술 치험 133예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Lob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Experience of 133 Cases)

  • 김형렬;조정수;장희진;이상철;최은석;전상훈;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15-623
    • /
    • 2009
  • 배경: 흉강경 수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폐암에서의 적용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에서 시행한 흉강경 폐엽절제술의 안정성을 평가해보고, 개흉 폐엽절제술과의 성적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임상적 I기 폐암으로 흉강경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133명과 개흉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은 202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임상적 I기 폐암은 수술전 컴퓨터단층촬영과 양성자방출단층촬영 등을 포함한 진단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흉강경 폐엽절제술은, 초기에는 장경 3 cm 미만, 2006년 이후에는 $4{\sim}5\;cm$의 병변까지 확대하였으며, 2개 혹은 3개의 포트와 늑골 벌림 없는 $3{\sim}6\;cm$의 작업창을 이용하였다. 병리학적으로 I기로 확진된 환자들을 2009년 2월까지 추적관찰하여, 흉강경 폐엽절제술군과 개흉 폐엽절제술군의 생존률과 무병생존률을 비교하였으며, 흉강경 수술 중 개흉술로 전환한 8명은 양군의 비교분석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의 평균 연령은 $61.8{\pm}9.8$세로 개흉 폐엽절제술군의 평균 연령($64.6{\pm}9.6$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8).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에서 여성과 선암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수술 후 IA로 확진된 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p<0.001). 수술 사망은 없었고, 32명의 환자에서 34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50%가 5일 이상 지속된 공기누출이었다. N1 림프절 전이, 폐문부위의 종괴, 폐동맥 손상으로 인한 출혈, 석회화된 림프절 및 심한 유착 등으로 총 8명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시도하였다가 개휼술로 전환하였다. 흉강경 폐엽절제술군에서 흉관 유지 기간(p=0.031) 및 술후 재원 일수(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고, 절제된 림프절 수(p<0.001)와 병리학적 종괴의 크기(p<0.001)가 작았다. 병리학적 병기 I기에서의 3년 생존율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15), 무병생존율은 개흉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폐암에 대한 흉강경 폐엽절제술은 합병증이나 사망률, 생존률 및 무병생존률에서 개흉 폐엽절제술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초기 폐암에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위급한 객혈을 동반한 일측성 폐정맥 협착증 (Unilateral Pulmonary Vein Stenosis with Life-threatening Hemoptysis - A case report -)

  • 이재항;강창현;노정일;서정욱;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25-728
    • /
    • 2005
  • 환아는 생후 18개월 된 여아로 반복적인 위급한 과량의 객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생후 6개월에 중증의 심비대 소견을 보이는 심방중격결손증을 진단받았으며 폐정맥 협착이 심비대에 의한 압박으로 생긴 이차적인 병변일 것이라 추정하여 심방중격결손폐쇄술만 시행하였다. 술 후 환아는 심비대와 폐정맥 협착이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 중 환아는 반복적인 다량의 객혈로 다시 입원하였고 전산화단충촬영 소견 상 폐정맥 협착이 다시 심해진 것으로 판독되었으며 기관지 주변에 성상을 알 수 없는 연조직 종괴들이 좌측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객혈로 인해 시험적 개흉술이 불가피하였고, 수술 소견상 좌폐정맥은 하나였으며 외견상 협착의 소견을 보였다. 좌측 기관지 주변에는 다발성 임파절 비대가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또한 수술 중 다량의 객혈이 발생하여 전폐절제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술 후 병리 소견은 폐정맥 협착과 일치하였다. 환아는 2일간의 중환자실 관리 후 6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2개월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증상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Comparison of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between Octogenarians and Younger Patients after Pulmonary Resection for Stage I Lung Cancer

  • Hong, Seokbeom;Moon, Young Kyu;Park, Jae Ki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5호
    • /
    • pp.312-321
    • /
    • 2018
  • Background: Treatment strategies for octogenarians with lung cancer remain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between octogenarians and younger patients with stage IA and IB lung cancer.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4 consecutive octogenarians and 457 younger patients (<70 years) with stage I lung cancer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5. We analyzed the survival and surgical outcomes of the 2 groups according to the lung cancer stage (IA and IB). Result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between the groups were the higher proportion of sublobar resection (56.3% vs. 18.9%) and the smaller number of dissected lymph nodes (LNs) in octogenaria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spital stay (11 days vs. 9 days), pneumonia (5.8% vs 1.9%), or operative mortality (0% vs 0.6%) between the 2 groups. Among patients with stage IA lung cancer, 5-year recurrence-free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ctogenarians (n=16) and younger patients (n=318) (86.2% vs. 89.1%, p=0.548). However, 5-year overall survival was significantly lower in octogenarians than in younger patients (79.4% vs. 93.4%, p=0.009). Among patients with stage IB lung canc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5-year recurrence-free survival (62.1% vs. 73.5%, p=0.55) or overall survival (77.0% vs 85.0%, p=0.75) between octogenarians (n=18) and younger patients (n=139). In multivariable analysis, male sex, the number of dissected LNs, and tumor size were factors related to survival (hazard ratio [HR], 5.795; p=0.017; HR, 0.346, p=0.025; and HR, 1.699; p=0.035, respectively). Conclusion: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after pulmonary resection for stage I lung cancer were comparable in octogenarians and younger patients. Continued careful selection of octogenarians for pulmonary resection is important to achieve good results.

비소세포성 폐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Non-Small-Cell Lung Cancer)

  • 박찬일;김종훈;김주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95-201
    • /
    • 1988
  • 최근 폐암의 발생빈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치료 성적은 제시되시 많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가능한 한 초기에 발견하여 수술을 시행후 국소재발 위험군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진단하에 근치적 절제수술 시행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효과 및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환자 60명중 방사선 치료를 불완전하게 시행한 5명을 제외한 55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9\%$였으며 무병생존율은 $29\%$였다.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로서는 병기 및 국소 임파절 전이 여부였고, 1병기와 병리조직학적 분류 및 나이, 성별, 방사선 조사선량과 수술시 절제면의 종양 침범 여부는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술 시행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군의 생존율은, 문헌상에 나타난 수술 단독 시행 환자군의 생존율과 비교해 볼 때 국소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군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군에서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국소 재발율도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군에서는 수술 단독 시행 환자군보다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여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게는 생존율의 증가 및 국소재발 억제의 효과를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소세포폐암의 수술 성적 (Surgical Resection of Small Cell Lung Cancer(SCLC))

  • 정경영;홍기표;김길동;김대준;김주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95-1199
    • /
    • 1998
  • 배경: 소세포폐암에 있어 수술의 적응은 제한적이었으며 수술의 결과에 대하여서도 논란이 많다. 대상 환자는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신촌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수술한 9명의 환자로서 남자가 8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2세(range; 35∼76세)이었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전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었던 예는 5예이었으며 4예에서의 수술전 진단은 분화가 안된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수술은 전예에서 폐절제술 및 종격동림프절박리술을 시행하였고 폐단엽절제술이 5예, 폐단엽절제술과 분엽절제술 및 늑골을 포함한 En-block 절제 1예, 폐이엽절제술 2예, 전폐절제술 1예 등이었다. 결과: 수술사망 예는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 1예, 심부정맥 1예 등이 있었다. 수술 후 전예에서 소세포암이 확인되었고 수술 후 병기는 T1N0M0 1예, T2N0M0 4예, T3N0M0 1예, T3N1M0 1예, T2N2M0 1예, T4N0M0 1예이었다. 수술 후 5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4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예에서 추적이 가능하여 평균 추적기간은 평균 33.0개월(1-63개월이었고 추적기간중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 6예 중에서는 1예에서만 장골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나 생존해있고, 림프절로의 전이가 있거나 T4 병변인 3예에서는 2예는 국소 부위, 1예는 뇌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중 2예는 사망하였다. 결론: 소세포폐암에서도 TNM 병기가 유용하며 종격동 또는 구역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 후 성적이 양호하여 초기 병기의 소세포폐암 환자에서는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적극적인 수술 절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암 수술환자에서 흉강경수술의 적용 (Clinical Application for Video-Thoracoscopy in Lung Cancer Surgery Patients)

  • 김광호;한재열;윤용한;백완기;이응석;김형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92-396
    • /
    • 2002
  • 배경: 폐암환자의 정확한 병기 판단을 위한 비디오흉강경수술은 흉강내를 직시하며 병변의 의심이 있는 부위의 생김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에 덧붙여 절재술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조사의 목적은 폐절제술 전 비디오흉강경수술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부전산화단층촬영술등과 종격동경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절제술을 하려는 폐암환자에서 개흉전 비디오흉강경술을 실시하였다. 총 37예에서 흉강경수술을 실시하였으며 흉강경수술전 병기는 TNM병기로 1병기 18예, II병기 7예, III병기가 12예였다. 결과: 37예 중 15예는 흉강내 유착, 횡격막 또는 흉벽의 종양침범과 폐문부 종괴의 거대로 인하여 종격동에 접근이 어려워 흉강경수술이 용이치 않아 실시할 수 없었으며 이들 예에서는 전제술 후 병리조직학적으로 6예에서 종격동림프절에 암 전이가 확인되었다. 흉강경수술을 실시한 22예 중 2예는 흉강경수술 전 병기평가에선 N0이었으나 N2로 확인되어 개흉하지 않았고 20예에서는 흉강경수술상 종격동림프절에 천이가 확인되지 않아 절제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중 5예에서 절제술 후 병리조직학적으로 N2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보아 흉막강내의 유착, 흉벽과 횡격막에 종양침범이나 거대종괴등으로 인하여 흉강경을 통한 흉강내 관찰이 어려워 흉강경술을 진행할 수 없는 예들이 많이 있으므로 비디오흉강경술의 적용에 신중을 기하여 할 것이나, 흉강경을 통한 관찰과 생검으로 적은 예들에서지만 불필요한 개흉을 피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선행요법 없이 초기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성적 (Outcomes of the Initial Surgical Treatment without Neo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Unexpected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심만식;김진국;윤유상;장성욱;김홍관;최용수;김관민;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39-46
    • /
    • 2010
  • 배경: 수술 전 항암요법은 원발 종양과 같은 쪽 종격동 또는 기관용골하 림프절전이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N2 질환)에 대한 치료로서 본원의 치료방침으로 사용 중이나,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들의 위음성(false-negative)으로 인해 선행요법 없이 수술한 뒤 병리학적으로 N2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초기 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고 초기 치료로서 폐절제술을 시행한 뒤 병리학적 N2로 확인된 225명의 환자들 중 술 전 림프절 병기가 N0 또는 N1이었던 170명의 환자들 연구 대상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무재발 생존율 및 재발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overall survival rate)은 35.4%였고, 중앙 생존 기간(median survival time)은 31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술 후 보조요법을 받지 않은 경우, 조직학적 유형이 선암이나 편평상피세포암이 아닌 경우, 병리학적 T 병기가 T2 이상인 경우, 70세 이상의 고령, 술 전 종격동내시경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예후가 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 관찰 중 79명(46.5%)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이중 20명(25.3%)은 국소재발이었고 56명(70.9%)은 원격전이로 재발하였다. 5년 무재발 생존율은 33.7%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기 치료로서 수술을 시행했던 예측되지 않은 N2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에 있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보다 설득력 있는 결과를 위해서는 전향적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Lung Cancer)

  • 박해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호
    • /
    • pp.72-82
    • /
    • 1991
  • From May 1978 to Sep. 1990, 10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primary lung cancer and operated on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Han Yang University, were clinically evaluated. 1. The peak incidence of age was 5th decade of life[37.7%] and 6th decade[29.2%]. Male to female ratio was 3.8: l. 2. Most of symptoms were respiratory, which were cough, chest pain, hemoptysis, and asymptomatic cases were 2.9%. 3. Histopathologic classification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53.7%], adenocarcinoma [23.8%],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6.6%], undifferentiated large cell carcinoma[6.6%], small cell carcinoma[3.8%], adenosquamous carcinoma[3.8%] and others[1.8%]. 4. Methods of operation were pneumonectomy 49.1%[52cases], lobectomy 21%[22cases] bilobectomy[6cases], lobectomy with wedge resection[3cases], exploration 21.9%[23cases], and resectability was 78.3%. 5. Staging classifications were Stage I [22.6%], Stage II [11.3%], Stage IIIa[42.6%], Stage IIIb[21.7%] and Stage lV[1.6%]. Resectability by Stage; Stage I was 100%, II 100%, IIIa 84.4% and IIIb 30.4%. 6. Causes of most of inoperable cases were invasion of mediastinal structures and diffuse chest wall, and others were contralateral lymph node invasion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7. Operative mortality was 6.7% which caused by arrhythmia, sepsis, pulmonary edema, and radiation pneumonitis. 8. On the long term follow up of the resectable cases, overall 1 year survival rate was 58.5 %, 2 year 39%, and 5 year 19.5%. Five year survival rate was 40% in Stage I, 25% in Stage II and 11.7% in Stage Illa. As for the method of operation, the higher 5 year survival rate was observed in lobectomies[33.3%] than in pneumonectomies[10.3%].

  • PDF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Primary Lung Cancer)

  • 박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1013-1024
    • /
    • 1989
  • One hundred and seventy two patients of primary lung cancer, confirmed by tissue diagnosis at the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Kore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ne 1973 and August 1988, were evaluated and restaged with New International TNM classification, and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obtained using Kaplan-Meier equ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1. Male to female ratio was 3.8:1, and prevalent age groups were sixth and seventh decades [76.4 %]. 2. The most common subjective symptom was cough [55.2 %], and 67.4 % of all patients were visited to hospital less than 6 months of symptoms. 3. Positive rates for tissue diagnosis were 100% in open chest or metastatic lymph node biopsy, 80 % in mediastinoscopic biopsy, 60 % in pleural biopsy, 59 % in pleural fluid cytology, 36% in bronchoscopic biopsy, and 22 % in sputum cytology. 4. The order of frequency of cell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53.0%], adenocarcinoma [22.0 %], small cell carcinoma [14.5 %], and so on. 5. Operability and resectability were 44% and 62% respectively, but they were improved recently. 6. Open and closure was done in 44 % of operated patients, uni or bilobectomy in 38 % and pneumonectomy in 24 %. 7. Overall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2.6 %. 8. The order of frequency of stage level was S3b [42.0 %], S3a [25.1 %], S1 [15.6%], and so on. 9. Distant metastasis, i.e. stage 4, was noted in 9.5 % of cases, and the sites of frequency were bone, brain, skin, and so on. 10. Actuarial survival rate was 1 year 48.2%, 2 year 36.9%, 3 year 31.2%, and 5 year 20.8%. According to above listed factors, 5 year survival rate was highest in squamous cell carcinoma, lobectomized cases, stage 1, NO in TNM system, and resectable cases. But T factor in TNM system and radiation therapy in nonresectable case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ife expectancy.

  • PDF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