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g

검색결과 2,056건 처리시간 0.026초

음성의 묵음구간 검출을 통한 DTW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TW with Speech Silence Detection)

  • 김종국;조왕래;배명진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17-124
    • /
    • 2003
  • Speaker recognition is the technology that confirms the identification of speaker by using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Such technique is classified into speaker identification and speaker verification: The first method discriminates the speaker from the preregistered group and recognize the word, the second verifies the speaker who claims the identification. This method that extracts the information of speaker from the speech and confirms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becomes one of the most efficient technology as the service via telephone network is popularized. Some problems, however, must be solved for the real application as follows; The first thing is concerning that the safe method is necessary to reject the imposter because the recognition is not performed for the only preregistered customer. The second thing is about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is changed as time goes by, So this fact causes the severe degradation of recognition rate and the inconvenience of users as the number of times to utter the text increases. The last thing is relating to the fact that the common characteristic among speakers causes the wrong recognition result. The silence parts being included the center of speech cause that identification rate is decreased. In this paper, to make improvement, We proposed identification rate can be improved by removing silence part before processing identification algorithm. The methods detecting speech area are zero crossing rate, energy of signal detect end point and starting point of the speech and process DTW algorithm by using two methods in this paper.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is obtained about 3% of improved recognition rate compare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 PDF

지역기반 환경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xperiential Learning for Environment Based on Living Area)

  • 이동엽;김희철;박만근;안아영;이지숙;이지희;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19-27
    • /
    • 200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swer the question, 'What kinds of effects will be aroused by experiential learning for environment based on living area?'. Experiential learning for environment was operated to 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grade in Kyeong-san city. The results were drawn analyzing the mind map for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learning, and they are as below. First, it had an effect to change the meaning assoc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ver and me'. Meaning association was 'river-a thing' before experiential learning, but it was developed as 'river-a thing-me' after learning. This means that students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at they were belonging and self-spatialization was promoted. The expansion of meaning association would be a start point and a method to promote their segmentation for each student. Second, students could self-directly modify misconception and preconception after experiential learning. It showed that students could find meanings in the world that they were belonging by experiential learning for environment, and misconception obtained by concept learning without actual situation could be revised through the truth recognition in meanings, and student could see what things displayed. Therefore preconception would be corrected. Of course, everything would not be completed by just one time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consistent experience learning should be operated. Third, experiential learning promoted the change of sensitivity. Students had shallow sensitivity, which appeared in the relation with things, since having learned only inside of class without a direct observation. However their sensitivity could be increased by experiencing specific things. Fourth, there was the change of classification recognition. Students found properties of things with a direct observation. It raised their ability to classify things, and to understand an individual thing in 'a class'.

  • PDF

최소자승 예측오차 확장 기반 가역성 DNA 워터마킹 (Least Square Prediction Error Expansion Based Reversible Watermarking for DNA Sequence)

  • 이석환;권성근;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1호
    • /
    • pp.66-78
    • /
    • 2015
  • 바이오컴퓨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DNA 정보를 매개물로 한 DNA 워터마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DNA 정보는 일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는 달리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정보이므로, 원본 DNA가 복원이 되는 가역성 DNA 워터마킹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자승 (Least square) 예측오차 확장 (prediction error expansion) 기반으로 비부호 DNA 서열의 가역성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비부호 영역의 4-문자 염기서열들을 인접한 개 염기에 의한 정수형 부호계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현재 부호계수에 대한 최소자승 예측 오차를 구한 다음, 예측오차 확장 조건에 따라 결정된 비트수만큼 예측오차를 확장한다. 이때 은닉된 인접 염기서열 간의 비교탐색을 통하여 허위개시코돈 생성을 방지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예측오차 확장 방법이 기존 방법과 평균 예측오차 확장 방법보다 높은 워터마크 용량을 가지며, 생물학적 변이 및 허위개시코돈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인격과 물건의 이원론에서 생태적 공공성으로 - 칸트 윤리학과 서구 근대의 한계에 대한 성찰 - (From Dualism between person and thing to ecological publicness - Kant's Ethics and Reflections of the limits of Western modernity)

  • 나종석
    • 철학연구
    • /
    • 제126권
    • /
    • pp.25-52
    • /
    • 2013
  • 본 논문에서 필자는 칸트 윤리학을 중심으로 근대의 철학적 표현이 윤리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살펴보면서, 그의 윤리학이 현대의 생태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론적 대안으로서 적합한 것인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절에서는 근대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서술한다. 이 절의 목적은 왜 칸트 윤리학이 근대라는 시대규정 속에서 이해되어야만 하는지 그리고 그의 윤리학이 어떤 점에서 근대를 이념적으로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I). 두 번째 절에서는 생태계 위기와의 연관 속에서 칸트 윤리학이 직면하고 있는 도전을 인격(Person)과 물건(Sache)의 이원적 구별이라는 문맥에서 해석한다(II). 마지막 단락에서는 칸트 윤리학의 결함을 동물에 대한 간접적인 의무 이론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더 나아가 유기체 철학 및 동양사상의 비판적 재구성의 맥락에서 칸트 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생태적 공공성 이론의 가능성을 제기한다(III).

모바일 환경에서 CoAP/6LoWPAN 기반의 스마트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및 성능 분석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CoAP/6LoWPAN in Mobile Environment)

  • 이보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99-105
    • /
    • 2018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기술이 커다란 이슈로 떠오르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물인터넷 기술 과 연동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 사용되는 많은 기기들을 인터넷과 연결시키고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기기들을 제어하고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인터넷 프로토콜들은 적은 양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는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저전력, 저용량, 저성능 등 제한된 환경에서 인터넷과 연동하여 사물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 CoAP/6LoWPAN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AP/6LoWPAN을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동작시키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향후 각 가정에 도입될 스마트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기존 인터넷 망에서 사용되는 HTTP와의 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CoAP/6LoWPAN 프로토콜을 사용한 제안 시스템이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비자(韓非子) 술치론(術治論)의 입론사유(立論思惟) 분석(分析) (An analysis of the argument-thought in Hanfeizi's Shuzhi-theory)

  • 김예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361-384
    • /
    • 2012
  • 본 논문은, 최상의 철학적 가치가 제반 범주에 관철되는 선진(先秦) 철학에 나타난 체계상의 특징을 고찰하는 가운데, 한비자의 법치(法治)와 술치(術治)의 결합 관계를 간과하거나 술치론 비판의 연장선상에서 한비자의 법치론을 오독하는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를 위해 인식론, 윤리론, 군사론 범주에서 비롯한 한비자 술치론의 입론사유를 분석하면서, 그 요지가 사건의 실제적 정황과 사물의 실질을 파악하여 상벌의 객관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임을 논증한다. 한비자 술치론의 입론 근거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사물의 실질을 파악하고 사물의 자연적 본성에 부합한 직책과 직무를 부여하는 인식론 사유, 둘째, 정형화된 예법에 얽매이지 않고 법과 조화하며 이기적 본성을 자유롭게 발현시키는 윤리론 사유, 셋째, 사건과 사물의 실질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궤사(詭詐)'의 군사론 사유이다. 이상의 세 가지 내용은 한비자의 술치론이 상벌의 객관적 근거 확보와 법의 공정한 시행을 위한 것임을 보여준다.

도심지 터널에 대한 전자뇌관 적용 시공 사례 (A Case Study About Applying Electronic Detonator on Downtown Tunnel Construction Area)

  • 황남순;허의행;김경현;김정환;성유현;김남수
    • 화약ㆍ발파
    • /
    • 제40권1호
    • /
    • pp.29-38
    • /
    • 2022
  • 최근 전자뇌관은 다양한 건설현장과 석산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보안물건이 근접한 지역을 비롯하여 발파작업에 의한 파쇄도 개선과 2차 소할 비용 절감을 통한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하거나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전자뇌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사례는 도심지에서 시공 중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 00공구 현장에서 전자뇌관을 적용한 사례이다. 당 현장은 설계에 비전기뇌관을 이용하여 시공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발파작업을 진행하던 중 인근에 위치한 보안물건에 대한 피해와 민원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고 빠른 굴착작업을 위해 전자뇌관을 이용한 발파공법을 검토하였다. 전자뇌관을 적용하여 발파소음과 진동에 대한 환경규제기준을 충족시켰으며 인근의 보안물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이동원(李東垣)이 논한 음화(陰火)의 실질(實質)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stance of Eum-Fire(陰火) in Li Dong-yuan(李東垣)'s Eum-Fire theory)

  • 은석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2
    • /
    • 2012
  • Objective : The concept of Eum-Fire(陰火), which was brought up by Li Dong-yuan(李東垣), is such a very ambiguous thing that many medical scholars had tried to understand its real meaning. Trying to understand the real concept of Eum-Fire, this study goes on based on the view that the concept of Eum-Fire in the medical books of Li Dong-yuan was used as being the same thing with the concept of Xim-Fire(心火) and Premier-Fire (相火), and the substance of this kind of fire is the fire in Ximpo(心包) and Myungmun (命門) which works in the system of Ximgye(心系). To verify this view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Method : Inquiring into Li Dong-yuan's medical books, this study investigated examples of the uses of the terms of Eum-Fire, Xim-Fire and Premier-Fire,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these terms. And as a collateral evidence to the main view of this study, this study notes Wang An-dao(王安道)'s reference about Eum-Fire and inquires into the concept of Premier-Fire that was formed by Liu He-jian(劉河間), who had been referred to in Wang An-dao's argument about Eum-Fire. And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Chen Shi-duo(陳士鐸)'s view about Eum-Fire that is expected to show a more concrete concept of Eum-Fire than now and seems to deserve to be compared with that of Li Dong-yuan. Result and Conclusion :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Eum-Fire in Li Dong-yuan's books was used as a thing that owns the same substance as a kind of fire with Xim-Fire and Premier-Fire. In this viewpoint it could also be understood that Li Dong-yuan had attached the concepts like Xim-Fire and Eum-Fire to the concept of Premier-Fire, so terms like these could be understood as such concepts that represented the diverse figures of Premier-Fire. And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substance of Xim-Fire as a kind of Premier-Fire means the fire of Ximpo and Myungmun that works in the system of Ximgye, which seems to be formerly introduced as a frame of Premier-Fire by Liu He-jian. This study also found the indirect basis of this viewpoint in the books of Chen Shi-duo, and could get a conclusion that Chen Shi-duo's view about Eum-Fire can be regarded as a thing that could show us more concrete matter of Eum-Fire than now.

전자뇌관을 이용한 보안물건 초근접구간 시공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at Near Verge Section of Secure Objects Using Electronic Detonators)

  • 황남순;이동희;임일수;김진수
    • 화약ㆍ발파
    • /
    • 제37권2호
    • /
    • pp.22-30
    • /
    • 2019
  • 화약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현장에서는 발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의 영향으로 작업상 많은 제약을 받는다. 최근에 민원 발생 증가 및 보안물건에 대한 환경규제 기준이 대폭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보안물건이 근접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기계식굴착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계식굴착 공법은 발파공법에 비해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굴착하고자 하는 암반의 상태에 따라서 계획 보다 시공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굴착암이 극경암에 가까울수록 시공성이 낮아진다. 본고에서는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보안물건이 초근접해 있는 공사구간을 시공한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당 현장은 인근에 보안물건(철도)이 근접(9.9m)해 있어 암파쇄 굴착공법으로 설계가 되어 시공하던 중, 극경암 노출에 따른 시공성 저하 및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대안 공법으로 전자뇌관을 이용한 시공을 검토하게 되었다. 전자뇌관 이용한 발파작업으로 주변 보안물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한화에서 생산하는 하이트로닉($HiTRONIC^{TM}$)은 혁신적인 안정성과 높은 기폭 신뢰성을 갖고 있어 초정밀발파가 가능하다. 전자뇌관은 철도 및 고속도로현장, 대형 석회석 광산을 비롯한 도심지 터파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서각 소장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 고찰 (Consideration of the name of a thing appearing in the Jangseogak Archives "Gugpung(국풍)")

  • 이현주
    • 동양고전연구
    • /
    • 제69호
    • /
    • pp.325-347
    • /
    • 2017
  • 본고에서는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 보다 앞서 17세기 초에 간행된 "시경언해"의 물명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시경언해"와 "국풍"의 물명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 문헌의 편찬목적의 차이"와 "국어사적 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시경언해"는 식물이나 동물의 총칭어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식물명에 대해서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국풍"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麥), 모(茅), 도(稻), 서(黍), 샹(桑)'에 대해 고유어 물명 '보리, ?, 벼, 기쟝, ?'이라는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고, 동물명의 경우에도 '안(?), 어(魚), 호(狐), 셔(鼠), 고(羔), 고양(羔羊)'에 대해 '기럭이, 고기, 여이, ?, 염소, 염소와 양'과 같은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국풍"의 편찬 목적에서 찾았다. "국풍"은 여성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책이다. "국풍"은 그 내용 뿐만 아니라, 내용 안에 포함된 한자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경언해"와 달리 대부분의 물명 한자에 대해 고유어 물명을 제시하였다. "국풍"과 "시경언해"의 고유어 물명은 서로 일치하는 어휘들도 보이지만,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들은 "시경언해"가 간행된 17세기 초와 "국풍"이 필사된 19세기 초의 국어사적 변화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시경언해"의 '(荇)'-말암, 도악이, 번(?)-, (柏)-, 뎌(?)-열, 뎌(樗)-개듕나무, 구(?)-염규, 창경(倉庚)-아리새'에 대해 "국풍"에 나타나는 '믈나믈, ?, 삼, 가?나무, 부초, '는 19세 초의 현실언어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