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ckness Reduction

검색결과 1,468건 처리시간 0.036초

The Effect of Glycolic Acid on Human Dermal Fibroblasts: Increased Collagen Synthesis and Inhibition of MMP-2/9

  • Park, Ki-Sook;Kim, Soo-Kyoum;Lim, Sae-Hwan;Kim, Yun-Young;Park, Young-Ju;Lee, Seung-Soo;Lee, Su-Hvun;Chang, Tae-Hyun;Son, Youna-Sook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519-523
    • /
    • 2003
  • Alpha hydroxy acid (AHA) includes a group of organic acids found in natural foods such as sugarcane (glycolic acid), milk (lactic acid), apples (malic acid) and oranges (citric acid). Earlier studies demonstrated the effect of AHAs on the skin by diminish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rneal layer and increasing the viable epidermal thickness. Recent data suggest that AHAs have some effects on the dermal component of skin and even affect the aging process of the skin. A previous study revealed increased collagen production by treatment with glycolic acid among AHAs in vitro. However, the mechanism of the regulation of collagen production by glycolic acid was unclear. In present study, we tri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glycolic acid o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to unveil the mechanism of regulation of collagen production by glycolic acid in human dermal fibroblasts: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collagen synthesis and degradation by collagenases in fibroblasts. Our results suggested that glycolic acid had no effect on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of adult human dermal fibroblasts. However, glycolic acid not only induced the increase of the collagen synthesi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t lower concentration than 0.1 % but also inhibited MMP-2 activ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in the range between 0.01 and 0.4% and MMP-9 activ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in the range between 0.06 and 0.09%.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glycolic acid may increase wrinkle reduction partially by both increase in collagen synthesis and decrease in collagen degradation.

  • PDF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관한 CT의 정확도 (Accuracy of CT : Evaluation of Bronchial Invasion of Lung Cancer)

  • 나재범;최규옥;정경영;김세규;장준;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05-515
    • /
    • 1997
  • 배 경 : 폐암환자에서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수술을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폐절제술을 시행한 95명과 엽절제술을 시행한 61명의 수술전 CT를 분석하였다. 엽절제술을 시행 환자중 7명에서는 절제한 기관지 말단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어 폐절제술을 시행했다. 또한 저자들은 충분한 생검을 한 수술못한 60명의 수술전 CT도 분석하였다. 3mm 이상의 기관지벽의 비후, 불규칙한 기관지벽의 비후 그리고 기관지 직경의 감소를 기관지 침습으로 정하였다. 절제한 기관지 말단의 암세포 발견(20명), 수술한 기관지 말단에서의 폐암재발(6명) 그리고 기관지 생검상 양성(수술 안한군에서 34명)을 기관지 침습으로 생각하였다. 결 과 : 기관지 침습에 관하여 CT는 예민도 (11.5%), 낮은 양성기대치 (38%), 그러나 높은 특이도 (96%), 그리고 비교적 높은 정확도 (84%)를 나타냈으며, 수술 안한 군에서는 높은 예민도(62%), 양성 기대치를 보였다. 결 론 : 시행한 폐암환자에서 CT는 폐암의 기관지 침습에 대하여 예민도와 양성 기대치가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기관지 침습에 대한 CT의 유용성은 제한적이라 생각되며, 수술전 기관지경에 의한 기관지벽 생검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RFID 시스템의 통신 거리 증대를 위한 전파흡수체 개발 (Development of EM Wave Absorber for Increasing Communication Range in RFID System)

  • 박수훈;김동일;윤상길;유건석;정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22-22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RFID Tag가 금속판에 접근할 때 통신 거리가 감소되는 RFID 시스템의 통신 거리 증대를 위한 전파흡수체를 개발하였다. 먼저 자성 손실 재료인 Amorphous 금속 분말과 지지재인 CPE(Chlorinated Polyethylene)를 이용하여 조성비별 전파흡수체 샘플을 제작하고, 이 전파흡수체 샘플로부터 구한 재료정수를 이용하여 전파흡수능이 서로 다른 전파흡수체를 각각 설계 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개발된 전파흡수체를 적용하여 금속에 의해 특성이 열화되는 RFID 태그 안테나의 특성 개선 효과 및 실제 RFID 시스템의 통신 거리 변화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조성비가 Amorphous metal powder:CPE=80:20 wt.%이고, 두께가 4 mm인 전파흡수체가 금속판으로 인해 통신 거리가 0.8 m인 실제 RFID 시스템의 통신 거리를 5.2 m까지 증대시킴을 확인하였다.

옥천 대천리 유적지 토기의 제작기법 및 원료산지 분석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of Earthen Wares in Daecheonri Prehistory Site of Okcheon County, Korea)

  • 이효민;양동윤;구자진;김주용;한창균;최석원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2호
    • /
    • pp.1-20
    • /
    • 2004
  • 대천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토기를 대상으로 제작기법과 원료 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빗살무의토기 12점과 유적지 주변 토양, 암석 4점을 대상으로 하여 실체현미경관찰, 편광현미경관찰, X-선 회절분석, 희토류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두꺼운 토기는 굵은 입자의 양이 상당히 많고 조립인 것으로 관찰 되었으며, 조립입자의 모양과 분포 등으로 볼 때, 이들에는 비짐을 첨가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DC 1, 3, 7, 11의 토기에 방향성이 보이고 특히 방향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DC 3과 DC 11 토기에는 다량의 기포가 표면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는 물레를 사용한 흔적으로 보인다. 이처럼 토기의 용도에 따라, 토기의 크기에 따른 두께의 조절, 비짐의 추가나 매질의 선택 등 제작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소성은 환원 환경에서 이뤄졌고, 소성온도가 $800^{/circ}C$는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기의 원료는 유적지 바닥이나 북서쪽 사면의 절개지에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였고, 비짐을 첨가한 경우도 유적지 주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주변의 모래질 토양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면내 자기이방성을 갖는 M-type Ba-ferrite($BaFe_{12-2X}Ti_XCo_XO_{19}$)의 자기적특성 및 전파흡수특성 (Magnetic and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of M-type Ba-ferrite($BaFe_{12-2X}Ti_XCo_XO_{19}$)with Planar Magnetic Anisortropy)

  • 조한신;김성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4호
    • /
    • pp.22-26
    • /
    • 1998
  • M-type Ba-ferrite(${BaFe}_{12-2X}{Ti}_{X}{Co}_{X}{O}_{19}$)의 ${Fe}^{3+}$ 이온 대신에 A이온의 위치에는 비자성 이온인 ${Ti}^{4+}$을, Me이온은 위치에는 ${Co}^{2+}$을 치환시켜 치환량 x의 변화에 따른 결정자기이방성 감소를 관찰하고, 고주파 대역에서 전파흡수재로서 사용가능 여부를 실험하였다. 치환결과 보자력은 결정자기이방성이 감소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포화자화값은 ${Fe}^{3+}$이온 대신에 비자성인 ${Ti}^{4+}$이온이 치환됨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치환량이 1.2일 때 보자력은 185 Oe로 가장 낮았고, 포화자화는 43.5emu/g의 값을 나타내었다. 반사손실을 계산한 결가 Ti-Co 치환량 0.8일 때 2mm흡수체의 경우 10~16㎓의 대역에서 반사손실-10㏈(90%흡수)이하였으며, 감쇠능의 측정결과 12~16㎓의 대역에서 20㏈(99% 감쇠)로 12~16㎓의 고주파 대역에서 전파흡수재로 사용이 가능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세로리브 내부 보강상세에 따른 강바닥판 연결부의 피로거동 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Fatigue Behavior in Connection Parts of Orthotropic Steel Decks with Retrofitted Structural Details in Longitudinal Rib)

  • 선창원;박경진;경갑수;김교훈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5-119
    • /
    • 2008
  • 윤하중을 직접 받는 강바닥판교는 공용연수 증가에 따라 세로리브와 가로리브 교차부 주위 등의 구조상세 등에서 피로 균열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피로균열 억제방안으로는 바닥강판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세로리브 내부에 보강상세 적용 등이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피로균열 발생이 빈번히 보고되고 있는 가로리브와 세로리브 연결부, 세로리브 및 가로리브 슬릿부를 대상으로 세로리브의 무보강상세 및 보강상세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피로강도 향상을 위한 구조상세를 제안하고자 한다. 해석에서는 세로리브내의 벌크헤드 및 수직리브를 대상으로 형상 및 크기 변화, 부착위치를 변수로 하여 상세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 과 보강상세가 있는 경우가 대상 구조상세부에서의 응력감소가 더 크며, 벌크헤드 상세보다는 수직리브 보강상세에서 피로강도 향상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숏크리트 및 콘크리트 라이닝의 역학적 거동에 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shotcrete and concrete lining by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es)

  • 김재순;김영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8권4호
    • /
    • pp.307-320
    • /
    • 1998
  • 터널 라이닝은 터널의 최종 지보수단이며, 지반응력과 터널 지보재 사이의 상호작 용의 결과가 총체적으로 드러나는 면이다. 최근 콘크리트 라이닝에 발생하는 많은 균열로 인해 터널의 유지, 관리 측면에서 큰 어려움이 따르고 있어 이에 대한 해석이 요구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터널 라이닝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특히 숏크리트오 콘크리트 라이닝을 모두 포함하는 복층 라이닝에대해 실험과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두 라이닝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였다. 실험은 터널 라이닝 모형 시험체에 대 해 하중, 측압, 라이닝 두께, 복층 라이닝, 복층 라이닝의 배면공동, 지반 모델 타설 등에 다양한 조건에 대해 실시하였다. 측압의 영향으로 라이닝 전반에 걸쳐 압축력이 분포하여 내하력을 증가시켰다. 라이닝의 두께가 50% 증가함에 Efkk 균열하중은 2배 정도 증가하였 다. 복층 라이닝의 배면공동으로 이해 라이닝의 내하력은 콘크리트 라이닝 두께 감소량고 k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라이닝의 측벽부에 지반 모델을 타설한 경우 라이닝라이닝 어깨 부분의 밀림을 억제하여 균열하중 및 파괴하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인터페 이스 요소를 도입하여 복층 라이닝을 해석할 수 있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 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비열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의 포도상구균 및 대장균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icacy of Non-thermal DBD Plasma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 김기영;백남원;김용희;유관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9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on-thermal dielectric barrier discharge(DBD) plasma on decontamin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and Escherichia coli(E. coli) as common pathogens. Method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chamber($0.64m^3$)designed by the authors. The plasma was continuously generated by a non-thermal DBD plasma generator(Model TB-300, Shinyoung Air tech, Korea). Suspensions of S. aureus and E. coli of 0.5 McFarland standard($1.5{\times}10^8CFU/mL$) were prepared using a Densi-Check photometer(bio $M{\acute{e}}rieux$, France). The suspensions were diluted1:1000 in sterile PBS solutions(approximately$10^{4-5}CFU/mL$) and inoculated on tryptic soy agar(TSA) in Petri dishes. The Petri dishes(80mm internal diameter)were exposed to the non -thermal DBD plasma in the chamber.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95% of S. aureus colonies were killed after a six-hour exposure to the DBD plasma. In the case of E. coli, it took two hours to kill 100% of the colonies. The gram-negative E. coli had a greater reduction than the gram-positive S. aureus. This difference may be due to the structure of their cell membranes. The thickness of gram-positive bacteria is greater than that of gram-negative bacteria. The S. aureus is more resistant to DBD plasma exposures than is E. coli. It should be noted that average concentrations of ozone, a byproduct of the DBD plasma generator, were monitored throughout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s were well below the criteria, 50 ppb, recommen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Thus, non-thermal DBD plasma is deemed safe for use in hospital and public facilities. Conclusions: There was evidence that non-thermal DBD plasma can effectively kill S. aureus and E. coli. The results indicate that DBD plasma technology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control of infections in hospitals and other public and private facilities.

NOAA AVHRR 자료를 이용한 해수면온도 산출에 황사가 미치는 영향 (Examining Influences of Asian dust on SST Retrievals over the East Asian Sea Waters Using NOAA AVHRR Data)

  • 전형욱;손병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NOAA AVHRR 밝기온도 자료로부터 해수면 온도(SST) 산출에 황사 에어로솔은 미치는 영향을 복사전달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SST 복원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봄철의 황사에 의한 AVHRR 밝기온도 변화를 모의하기 위한 복사전달 모델의 입력 자료로서 지상 태양광 관측 자료로부터 분석한 황사 에어로솔 광학적 특성 (에어로솔 광학적 두께 및 크기분포)과 라디오 존데 연직분포 자료(기압, 기온, 및 습도)를 이용하였다. 황사 에어로솔은 적외선 복사대에서 흡수에 비해 산란이 매우 큼을 보였으며, 이러한 특징은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상향복사량을 산란시켜 대기상부에서 관측되는 밝기 온도를 감소시키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 광학적 두께가 1인 황사의 경우 직하점에서 약 2 K, 위성 천정각이 $50^{\circ}$인 경우에는 약 4 K의 감쇄를 유발하였다. 황사 존재시 AVHRR 적의채널 11, $12{\mu}m$의 밝기온도 차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그 값은 미미하였다. 기존 SST 복원 알고리즘은 황사발생시 SST를 실제 값보다도 낮게 산출함을 보였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에어로솔 광학적 두께, $11{\mu}m$에서의 밝기온도, 그리고 위성 천정각을 추가하여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SST 복원 알고리즘은 황사의 두께가 1인 경우 2.7 K정도의 오차를 개선하였다.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 궤도구성품의 손상평가 (Damage Evaluation of Track Components for Sleeper Floating Track System in Urban Transit)

  • 최정열;김학선;한경성;장철주;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87-39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침목플로팅궤도(STEDEF) 궤도구성품의 손상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년 이상 공용중인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궤도재료에 대한 육안검사와 실내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궤도구성품의 손상취약부를 분석하였다. 육안검사결과 레일패드와 체결구는 특이사항이 없었으나 침목방진상자는 모서리부분의 마모 및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침목방진패드는 두께감소 및 피로경화층이 뚜렷하게 조사되었다. 레일패드와 침목방진패드에 대한 스프링강성 시험결과, 레일패드의 노후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침목방진패드는 설계기준치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침목방진패드는 통과톤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시료의 열화상태와 수치해석 결과와의 비교결과, 수치해석모델의 응력 및 변위 집중위치와 현장시료의 손상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용중인 침목플로팅궤도 궤도구성품의 손상취약부를 실험 및 해석적으로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