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ck filamen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1초

Pulse Exposure to Ethanol Augments Vascular Contractility Through Stress Response

  • Yang, Eun-Kyoung;Kim, In-Kyeom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1호
    • /
    • pp.47-53
    • /
    • 2001
  • Drinking excessive alcohol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alcohol intake causes hypertension still remains elusiv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ethanol itself acts as a stress factor on vasculature and indirectly modulates vascular contractility. After end of exposure to 1, 2.5 and 5% ethanol for 45 min, rat aortic strips were subjected to contractile responses, immunoblot for Hsp70 and the measurement of levels of myosin light chain phosphorylation. Exposure to 5% ethanol not only augmented contractions to KCl or phenylephrine, but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Hsp70 and the levels of myosin light chain phosphoryl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actions produced by $1\;{\mu}mol/L$ phorbol 12,13-dibutyrate, a protein kinase C activator, whether the tissues were exposed to 5% ethanol or not. This is the first report to show that even short exposure to ethanol has a delayed effect to increase vascular smooth muscle contractility through a modulation of thick filament regulation. It may be a mechanism by which ingestion of alcohol induces hypertension.

  • PDF

대형 풍력터빈 절연커플링 시험장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he Insulated Coupling Test Machine of a Large Wind Turbine)

  • 주성하;김동현;오민우;김수현;배준우;강종훈;이형우;김경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8호
    • /
    • pp.543-5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5 MW 급 대형 풍력터빈 절연커플링의 시험평가 장치를 자체설계 개발하였다. 3 MW 급 대형 풍력터빈용 절연커플링에 대한 공인성능시험평가를 수행하고 시험장치에 대해서는 개발요구도, 장치설계, 기능적 고려사항, 구조진동해석 및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대형 풍력용 절연커플링 모델과 같이 필라멘트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두꺼운 유리섬유 복합재 파이프의 경우 shell 요소 기반의 유한요소 해석기법과 두께 효과를 정확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복합재 적층형 3D solid 모델링 기법의 비교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다수의 판스프링이 적층된 형태로 제작된 디스크팩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기법을 제시하고 시험평가 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Microthrix parvicella에 의한 슬러지 벌킹과 거품문제 해결 (Control of Bulking and Foaming Caused by Microthrix parvicella)

  • 강민기;김영철;방성호;이진우;하준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6-383
    • /
    • 2006
  • 본 연구는 고도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벌킹과 거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수하였다. 현장조사결과 $SV_{30}$값은 90%, SVI 값은 300 mL/g 이상을 보여 심각한 벌킹문제와 함께 거품문제를 겪고 있었다. 하수처리장에서 벌킹과 거품문제를 야기하는 사상체를 형태적 특성과 염색반응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보고 된 적이 없는 Microthrix parvicella와 type 0092로 동정되었고 슬러지내 사상체의 밀도로 볼 때 M. parvicella가 벌킹과 거품의 원인 사상체이었다.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대상 하수처리장의 공정과 관련 인자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슬러지 처리시설의 용량과 성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수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운전 SRT를 높게 가져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특히 낮은 슬러지 회수율은 다량의 원인 사상체를 재순환시켜 공정내에 축적 증식시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탈수기 용량을 확충하고 성능을 개선시킨 결과 운전 SRT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그 결과 SVI 값은 이전의 절반 내외로 크게 줄어 침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아울러 벌킹제어결과 2차 침전지에서 슬러지 블랑킷 깊이도 안정되었고 그 농도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M. parvicella의 증식완화는 처리수의 인 농도 상승을 가져왔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 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II. 성체 소화관의 미세구조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Teleostei: Scorpaenidae) - III. Ultrastructure of the Adult Digestive Tract)

  • 진평;이정식;신윤경;김학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1998
  • 조피볼락의 소화관은 인두,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10~11개의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다. 유문수는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하며 바나나 형태의 맹낭을 형성하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1.56(n=10)이다. 식도의 근육층은 바깥쪽의 앓은 종주근층과 안쪽의 두꺼운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상피층은 정단부에 짧은 미세융모를 가진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수의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근육층은 종주근, 사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선의 주세포는 관상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분비과립을 가지지만, 부세포는 소형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액포를 가진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상피층은 주로 원주상피세포, rodlet cell 그리고 dark cell로 구성된다. 흡수기능을 가진 원주세포들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 물질, 음작용포 그리고 다포체를 가진다. Rodlet cell은 발달된 cytoplasmic capsule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다. Dark cell의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미토콘드리아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원주상피세포는 세포연접이 발달되어 있고, 상부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세융모의 내부에서는 세포질에서부터 시작된 actin filament를 관찰할 수 있다. 장 상피의 미세융모는 유문수의 미세융모 보다 길며, 배상세포의 수도 정상피에 더 많다.

  • PDF

혈관수축에 대한 감초산 Glycyrrhizic acid의 효과 (The Effect of Glycyrrhizic acid on Vascular Contractility)

  • 제현동;민영실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57-63
    • /
    • 2023
  • 평활근 수축에 대한 감초산(glycyrrhizic acid)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고 관련 상세 기전을 결정하기 위해 glycyrrhizic acid가 agonist-sensitive하게 평활근 수축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S/D rats의 평활근을 수조 내 준비하였고 신호 변환기에서 평활근에 의한 운동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생리기록기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재미있게도, 감초산은 불화물, 트롬복산 유사체 등 굵은 미세섬유성 조절성 수축제에 의한 평활근 수축을 중등도로 억제하였고 (농도 0.01, 0.03, 0.1 mM 불화물에서 p=0.113, 0.008, 0.004 (Student's t-test), p=0.113, 0.008, 0.004 (One way ANOVA), 그리고 0.01, 0.03, 0.1 mM 트롬복산 유사체에서 p=0.156, 0.004, 0.003 (Student's t-test), p=0.156, 0.004, 0.003 (One way ANOVA)) 포볼 에스테르 등 가는 미세섬유성 조절성 수축제에 의한 평활근 수축에 대해 효과가 소실되었다 (0.01, 0.03, 0.1 mM 포볼 에스테르에서 p=0.392, 0.086, 0.065 (Student's t-test), p=0.392, 0.086, 0.065 (One way ANOVA)). 이러한 결과는 내피 기능이 억제된 평활근에서 감초산은 평활근 내피에서 EDRF (NO) 생성 효과 외에 주로 ROCK 활성 감소 등 평활근에 대한 직접적 효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평활근에서 악틴-미오신 상호작용을 제한하여 평활근을 이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가잠(家蠶)으로부터 분리(分離)된 새로운 Microsporidia S80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New Microsporidia S80 Isolated from Silkworm, Bombyx mori L. in Korea)

  • 임종성;조세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67-83
    • /
    • 1983
  • 1980년(年) 한국(韓國)에서 발견(發見)된 Microsporidia S 80은 포자(胞子)의 길이가 $2.9{\pm}0.28{\mu}$ 폭(幅)이 $1.7{\pm}0.29{\mu}$으로 난원형(卵圓形)인데 그 크기가 형태(形態)로 보아 누에에 기생(寄生)하는 Microsporidia로서 지금까지 한국(韓國)이나 일본(日本)에서 알려진 것 들과는 다른 것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원액(原液)으로 처리(處理)하였을때에 추출(抽出)된 극사(極絲)의 길이는 평균(平均) $26{\mu}$이었고 극사(極絲)의 선단(先端)에서 둥근 모양의 sporoplasm이 돌출(突出)되어 있는 것이 관찰(觀察)되었다. 한편 포자(胞子)는 Giemsa, Safranin-O, Gram 등(等)의 염색(染色)에서 부분적(部分的)으로 염색(染色)되는 특징(特徵)이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포자(胞子)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제일 바깥 부분(部分)이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고 요철(凹凸)이 있는 얇은 exospore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쪽에는 투명(透明)하고 두꺼운 endospore가 있는데 endospor는 포자(胞子)의 정단부(頂端部)가 다른 부위(部位)보다 상당히 얇은데 이곳으로 극사(極絲)가 추출(抽出)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endospore와 cytoplasm과의 경계부(境界部)에는 세포질(細胞質)을 싸고 있는 한층(層)의 한계막(限界膜)인 inner limitting layer가 있다. 세포질(細胞質)의 전단부(前端部)에는 polar cap이 있고 그 밑에는 lamellar 구조(構造)의 발달(發達)된 polaroplast가 있으며 polaroplast의 후부(後部)는 vesiculate part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polar filament는 anchoring disc인 polar cap에서 곧게 뻗어 나아가다가 포자(胞子)의 내벽(內壁)을 따라 돌면서 용수철 처럼 말려 있는데 polar filament의 coiled part 중앙(中央)에 2중막(重膜)에 싸여진 전자밀도(電子密度)가 높은 후형질(厚形質)로된 2핵(核)이 인접(隣接)하여 있으며 포자(胞子)의 부단부(部端部)에는 posterior vacuole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포자(胞子)의 크기와 형태(形態) 및 미세구조(微細構造)로 보아 Microsporidia인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으며 분류학(分類學) 상(上)의 위치(位置)는 Microsporea 강(綱), Microsporidia 일(日)에 소속(所屬)시킬 수 있고 아목(亞目) 및 속(屬)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해서는 그 생활사(生活史)가 밝혀져야 한다. Mcrosporidia S80을 2령(齡) 기잠(起蠶)에 경구접종(經口接種)한 경우(境遇)의 LD50은 $7.1{\times}10^7/ml$로서 $1.2{\times}10^7/ml$인 Nosema bombycis와 비교(比較)할때 병원성(病原性)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발생지역(發生地域)이 경기도(京畿道)를 중심(中心)으로 인접지역(隣接地域)인 강원(江原), 충북(忠北) 충남(忠南) 및 전남(全南)에서도 발생(發生)되고 있는 점(點)과 4령기(齡期) 접종시(接種時) 전견중(全繭重)과 견층중(繭層重)에 나쁜 영향(影響)을 미칠뿐 아니라 화아비율(化蛾比率)이 낮고, 감염(感染)된 모아(母蛾)는 물론 감염(感染)된 웅아(雄蛾)와 교미(交尾)한 모아(母蛾)에서도 산란불능아(産卵不能蛾)가 발생(發生)하거나 산란수(産卵數)가 건전구(健全區)에 비(比)하여 떨어지는 동시(同時)에 부수정란(不受精卵) 비율(比率)도 높은 것으로 볼 때 사견양잠(絲繭養蠶)은 물론 종견양잠(種繭養蠶)에 있어서도 피해(被害)를 입고 있을 것으로 본다. 감염모아(感染母蛾) 21마리에서 얻은 차대잠(次代蠶)의 검사결과(檢査結果) 경란전달(徑卵傳達)은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혹시 경란전달(徑卵傳達)이 된다고 해도 그 빈도(頻度)는 매우 낮을 것이며 1/21 미만(未滿)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3D Printing 기술을 활용한 효과적인 Digital Craft Molds 제작 방법 연구 (A Study on How to Make Effective Digital Craft Mold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 장지수;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83-288
    • /
    • 2021
  •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조형 예술이나 공예 분야에서도 제조 방식이나 구조 등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라는 디지털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작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가장 먼저 3D 프린팅 기술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사례에 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세 가지 방식의 크래프트 몰드를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크래프트 몰드의 두께 혹은 겹침 여부에 따라 각각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첫째, 크래프트 몰드 두께의 경우, 얇을수록 강도가 약했지만 몰드 안의 내용물을 꺼내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밀도가 크고 무거운 성질의 재료를 담기에는 두께가 두꺼운 크래프트 몰드가 안정적이라 판단하였다. 둘째, 크래프트 몰드의 겹침 여부의 경우, 두 겹으로 겹친 몰드를 사용한 결과 얇은 두께와 두꺼운 두께의 몰드의 장점을 모두 갖추었다. 하지만, 꺼내놓은 내용물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후가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3D 프린터에 사용하는 필라멘트의 소재에 관해서도 다루었으면 한다.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라미네이팅 투습발수직물의 총음압 최소화를 위한 필름 타입 별 기본 특성과 역학 특성 (Basic and Mechanical Properties by Film Type to Minimize the Sound Pressure Level of PTFE Laminated Vapor-permeable Water-repellent Fabrics)

  • 이규린;이지현;진은정;양윤정;조길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41-64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und properties of fabric frictional sound (SPL, ${\Delta}L$, ${\Delta}f$) according to the film type of PTFE laminated vapor-permeable water-repellent fabric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L and the basic properties of fabrics such as layer, yarn type, and thickness of fiber. This study accesses their mechanical properties and determines how to control them to minimize SPL. Eight PTFE laminated water-repellent fabrics, composed of four different film types (A, B, C, D) and with two different fabrics, were used as test specimens. Frictional sounds generated at 1.21m/s were recorded by using a fabric sound generator and SPLs were analyzed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ation (FF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were measured by KES-FB. The SPL value was lowest at 74.4dB in film type A and highest as 85.5dB in type D. Based on ANOVA and post-hoc test,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less Loud Group (A, B) and Loud Group (C, D). It was shown that SPL was lower when 2 layer (instead of 3 layer), filament yarn than staple, and thin fiber than thick were used. In Group I, shearing properties (G, 2HG5), geometrical roughness (SMD), compressional properties (LC, RC) and weight (W)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PL however, elongation (EM) and shear stiffness (G) did with SPL in Group II.

위장관 수축성에 대한 Histamine과 Atropine의 융합성 조절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Histamine and Atropine on Intestinal Contractility)

  • 제현동;민영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31-137
    • /
    • 2021
  • 본 연구에서 진단, 과민반응 검사에 사용되며 의약품에 불순물로 포함되어 규제되는 histamine의 단독 및 병용 투여에서 조직/근육 선택적 장관 수축성 조절에 대한 실험을 하고자 하였다. Histamine은 muscarinic receptor 작용 외에 histamine H1 receptor에 대한 직접 작용으로 수축성을 증가시켰고 회장/결장 윤주근에서 수축성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았다. 또한 M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atropine의 병용 효과를 관찰하였는데 histamine과 병용된 atropine은 장관 중 회장의 종주근의 수축성을 거의 감소시키지 않았고 회장/결장의 윤주근의 수축성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적어도 회장의 종주근에서 histamine은 M3 수용체를 거의 경유하지 않고 작용하고 atropine은 항무스카린 효과 외에 histamine에 의한 조직 선택적 위장관 운동성을 거의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순한 검색은 의약품 불순물 검사로 선호될 것으로 생각된다.

Viator vitreocola gen. et sp. nov. (Stylonematophyceae), a new red alga on drift glass debris in Oregon and Washington, USA

  • Hansen, Gayle I.;West, John A.;Yoon, Hwan Su;Goodman, Christopher D.;Goer, Susan Loiseaux-de;Zuccarello, Giuseppe C.
    • ALGAE
    • /
    • 제34권2호
    • /
    • pp.71-90
    • /
    • 2019
  • A new encrusting red alga was found growing abundantly on glass debris items that drifted ashore along the coasts of Oregon and Washington. These included discarded fluorescent tubes, incandescent light bulbs, capped liquor bottles, and ball-shaped fishing-net floats. Field collections and unialgal cultures of the alga revealed that it consisted of two morphological phases: a young loosely aggregated turf and a mature consolidated mucilaginous crust. The turf phase consisted of a basal layer of globose cells that produced erect, rarely branched, uniseriate to multiseriate filaments up to $500{\mu}m$ long with closely spaced cells lacking pit-plugs. These filaments expanded in size from their bases to their tips and released single cells as spores. At maturity, a second phase of growth occurred that produced a consolidated crust, up to $370{\mu}m$ thick. It consisted of a basal layer of small, tightly appressed ellipsoidal-to-elongate cells that generated a mucilaginous perithallial matrix containing a second type of filament with irregularly spaced cells often undergoing binary division. At the matrix surface, the original filaments continued to grow and release spores but often also eroded. Individual cells, examined using confocal microscopy and SYBR Green staining, were found to contain a central nucleus, a single highly lobed peripheral chloroplast without a pyrenoid, and numerous chloroplast nucleoids. Morphological data from field and culture isolates and molecular data (rbcL, psbA, and SSU) show that this alga is a new genus and species which we name Viator vitreocola, "a traveller on g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