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luminescence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4초

광자극발광법과 열발광법을 이용한 국내 방사선 조사 허용 외 식품에 대한 실태 조사 (Monitoring on the Foods not Approved for Irradiation in Korea by PSL and TL Detection Method)

  • 조준일;이지애;이순호;황인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78
    • /
    • 2010
  • 영 유아용이유식, 견과류, 조미건어포류, 천연향신료, 건조과실류, 과 채가공품, 곡류가공품, 수산물가공품 등 국내 방사선 조사가 허용되지 않은 8품목에 대하여 PSL과 TL 분석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325건의 식품을 대상으로 방사선 조사여부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가 수행된 천연향신료, 과 채가공품 및 수산물가공품을 제외한 5개의 식품군에 대하여 PSL과 TL 시험법 적용 가능성 검토 결과, PSL의 경우 비조사구는 모두 700 count보다 낮아 음성 시료로 나타났고 1 kGy로 조사 시 중간 및 양성 시료로 확인되었다. TL 분석결과 비조사구는 모두 자연방사선에 의해서 $300^{\circ}C$ 부근에서 peak를 가지는 비 특이적 glow curve를 나타냈고 TL ratio는 0.1보다 낮게 나타나 음성 시료로 확인되었다. 1 kGy로 조사 시 TL ratio는 영 유아용이유식을 제외하고 모든 시료에서 0.1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150{\sim}250^{\circ}C$ 사이에서 peak가 나타나는 특이적 glow curve를 보여 확인 시험법으로 적용 가능하였다. 또한 영 유아용이유식은 2가지 이상의 원료가 혼합되어있어 TL ratio가 비록 0.1 이하지만 $150{\sim}250^{\circ}C$ 사이에서 peak가 나타나는 특이적 glow curve를 통해 조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방사선 조사 허용 외 식품 8품목에 대하여 PSL과 TL 시험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한 후 325건의 식품에 대하여 실태조사 결과, PSL 경우 15건에서 중간시료가 나타났으나 TL 분석 시 TL ratio가 0.1 이상이거나, $150{\sim}250^{\circ}C$ 부근에서 최대강도를 보이는 glow curve를 나타내는 양성시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국산 오렌지의 Radiation Induced Marker 검색 (Detection of Radiation Induced Markers in Oranges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03
  • 교역량이 증가되고 있는 수입 오렌지를 대상으로 radiation induced marker검색을 위하여, 방사선 조사시 예상되는 생물학적, 물리적 변화에 기초한 DNA comet assay, 열발광 (TL) 및 전자스핀공명 (ESR) 분석을 실시하였다. DNA comet assay 결과, 오렌지의 씨 및 과육의 cell은 감마선 조사와 무관하게 긴 tail을 가진 comet 모양으로 관찰되었으며, 저온 저장 6주까지도 유사한 경향이 유지되어 marker로의 활용 가능성이 낮았다. TL 측정 에서 비조사 시료는 약 200~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intensity의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0.5 kGy 이상의 조사 시료에서는 조사 시료 특유의 peak가 18$0^{\circ}C$ 부근에서 나타났으며, 조사 선량의 증가에 따라 intensity 도 점차 증가하였다 TL 측정은 저장 6주까지도 가능하였고, TL ratio(TL$_1$/TL$_2$)의 산출은 검지 결과의 신뢰도를 높여주었다. ESR 측정에서는 시료의 씨, 과육 및 과피 부위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특이적인 signal이 나타나지 않아 조사 시료와 비조사 시료의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오렌지는 TL 분석에 의해 방사선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며 이 방법은 오렌지의 저온 상품성이 유지되는 저장6주 이후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L, ESR및 DNA Comet분석에 의한 원산지별 땅콩의 방사선 조사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L, ESR and DNA Comet for Irradiated Peanuts by Origins)

  • 이은영;정재영;조덕조;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76-1081
    • /
    • 2001
  • 현재 중국으로부터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는 땅콩을 대상으로 국산과 중국산 시료의 TL, ESR, DNA comet(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분석을 실시하여 원산지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Density separation 방법으로 추출한 미네랄의 TL측정 결과, 감마선 조사되지 않은 시료는 25$0^{\circ}C$ 부근에서 intensity가 낮은 glow curve를 나타내었고, 조사 시료는 18$0^{\circ}C$ 부근에서 아주 강한 intensity의 glow curve를 보여주었다. 첫 번째 측정된 glow curve(TL$_1$)의 normalization을 위하여 재조사 방법에 의해 TL$_2$를 측정하여 TL ratio(TL$_1$/TL$_2$)를 비교해 본 결과, 비조사 시료는 0.05 이하, 조사 시료는 0.2이상으로 방사선 조사 여부의 판별이 가능하였다. 땅콩껍질을 사용한 ESR 측정에서는 조사 유래의 특이적인 signal이 나타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았다. DNA comet assay 결과, 비조사 시료는 tail이 없거나 아주 짧은 전형적인 intact cell을 나타낸 반면, 조사 시료는 long tail을 가진 comet을 나타내면서 선량 의존적으로 (r=0.761/Korean, r=0.768/Chinese) tail length가 증가하여 조사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원산지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땅콩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에는 TL 분석 및 DNA comet assay가 적용 가능하였다.

  • PDF

후방피폭선량계측이 가능한 TL 개인선량계의 설계 및 선량평가 알고리즘 개발 (Design of a TL Personal Dosimeter Identifiable PA Exposure and Development of Its Dose Evaluation Algorithm)

  • 권정완;김현기;양정선;김장렬;이재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4
  • 인체의 전면에 착용하는 단일선량계는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작업자의 피폭을 대표하지 못할 수 있으며 특히 방사선이 인체의 후면에서 입사되는 경우 유효선량을 심각하게 저평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의 선행연구자들은 비균질 방사선장에서 인체의 후면에 추가의 선량계를 착용하는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하는 선량평가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수의 선량계를 이용한 선량평가는 과대평가 내지 작업의 효율성 저하 및 비용부담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AP와 PA 방향으로 입사하는 방사선에 대하여 두 개의 TL 소자가 서로 상반되는 반응도를 보이도록 필터를 설계함으로써 단일선량계 사용의 결점을 보완하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빔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터를 몬테칼로 계산과 실험을 통해 도입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PA 입사에 대한 새로운 선량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광자의 유효에너지가 100keV이상으로 입사방사선의 인체투과율이 상당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정확히 후방입사가 아닌 기타 방향의 후방피폭의 경우에도 본 연구에서 수립된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알로에 베라의 PSL, TL 및 ESR 검지 특성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Aloe vera by the Analysis of PSL, TL and ESR)

  • 김병근;임상용;송현파;윤혜정;권중호;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6
  • 알로에 베라(Aloe barbadensis Miller)분말에 대한 방사선 조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 3, 5, 7 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PSL, TL 및 ESR 분석을 실시하였다. PSL의 경우 비조사 시료에서는 700이하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었으며, 1 kGy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는 5000이상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어 PSL을 통한 조사된 알로에 분말의 검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L분석 결과에서는 1 kGy이상 조사된 시료의 미네랄에서 $150^{\circ}C$ 전후에 TL glow curve $(TL_1)$를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TL_1$ 및 TL ratio $(TL_1/TL_2)$모두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자스핀공명 (ESR)분석 결과에서는 triplet형태의 ESR signal은 확인 할 수 없었으나, 조사전량이 증가함에 따라 signal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PSL, TL 및 ESR분석으로 알로에 베라 분말의 조사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IL분석으로는 조사선량의 정량적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자선 조사된 농산물의 물리적 검지 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the Physical Detection Methods for Electron Beam-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 김동용;박용대;진창현;최대성;육홍선;정일윤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21-226
    • /
    • 2010
  • Physical detection methods,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were applied to detect electron beam-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red pepper, black pepper, raisin, walnut, beef seasoning and pistachio. The absorbed irradiation doses for representative samples were controled at 0, 1, 3, 5 and 10 kGy. PSL values for non-irradiated samples were <700 counts/60s (lower threshold, $T_1$) except beef seasoning, whereas those of irradiated samples were more than 5,000 photon counts, upper threshold ($T_2$) in black pepper, raisin, and beef seasoning and intermediates values of $T_1-T_2$ in red pepper, walnut, and pistachio. Minerals seperated from the samples for TL measurement showed that non-irradiated samples except pistachio (TL ratio, 0.12) were characterized by no glow curves situated at temperature range of $50{\sim}400^{\circ}C$ with TL ratio (0.01~0.08), while irradiated samples except pistachio at only 1 kGy (TL ratio, 0.08) indicated glow curve at about $150{\sim}250^{\circ}C$ with TL ratio (0.28~3.10). ESR measurements of irradiated samples showed any specific signals to irradiation. The samples of both red pepper and pistachio were produced specific signals derived from cellulose radicals as well as single line signals for black pepper and walnut, and multiple signals derived from crystalline sugar radicals for raisin and beef seasoning. In conclusion, The ESR methods can apply for detection of pistachio exposed to electron beam but PSL and TL are not suitable methods. Furthermore, TL and ESR suggeted that both techniques were more useful detection method than PSL to confirm whether red pepper, walnut and beef seasoning samples have been exposed to electron beam.

PSL, TL 및 ESR 분석을 통한 수입산 들깨, 아몬드 및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 특성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Imported Foods (Perilla seeds, Almonds, and Soybeans) by Using PSL, TL, and ESR)

  • 한인준;윤영민;최수정;송범석;김재경;박종흠;이주운;김재훈;김규헌;조태용;윤혜성;한상배;이정은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5-310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radiation detection properties of imported perilla seeds, almonds, and soybeans. Food samples were irradiated at doses of 0.5, 1, 2, and 4 kGy and analyzed by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The results of PSL showed that photon counts of irradiated perilla seeds and soybeans were $32,959counts{\cdot}60sec^{-1}$ and $7,234counts{\cdot}60sec^{-1}$, respectively, at an irradiation dose of 0.5 kGy, and the photon count of irradiated almonds was $5,581counts{\cdot}60sec^{-1}$ at an irradiation dose of 1 kGy. The results of TL showed that this technique is useful for detecting irradiated samples; the TL ratios ($TL_1/TL_2$) measured for the food samples at an irradiation dose of 0.5 kGy were 0.2301 for perilla seeds, 0.4595 for almonds, and 0.4827 for soy beans. Lastly, results of ESR spectroscopy for only soybeans revealed specific signals derived from free radicals captured in the cellulose. In conclusion, PSL, TL, and ESR methods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soybean samples, whereas gamma-irradiated perilla seeds and almonds can be confirmed by a serial detection with a TL method after PSL.

$^{137}$ Cs 감마선 여기에 의한 이온 주입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 ($^{137}$ Cs Gamma Ray Induced Thermoluminescence from ion Implanted $Al_2$O$_3$)

  • 김태규;이병용;김성규;박영우;추성실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5권2호
    • /
    • pp.3-12
    • /
    • 1994
  • $Na^{+}$ 이온을 주입시킨 후, $^{17}$ Cs 감마선으로 조사된 $Al_2$O$_3$ 및, $Na^{+}$ 이 주입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을 340K~620K의 온도 구간에서 측정하였다. $Na^{+}$ 이온을 주입시킨 후, $^{137}$Cs 감마선으로 조사된 $Al_2$O$_3$의 열자극 발광 곡선은 415K, 452K, 508K, 및 568K에서 TL peak를 가지는 곡선으로 분해되었다. $Na^{+}$ 이온 주입 후 $^{137}$Cs 감마선 조사된 $Al_2$O$_3$는, $Na^{+}$ 이온만 주입된 $Al_2$O$_3$$^{137}$Cs 감마선 만 조사된 $Al_2$O$_3$보다 각각 defect traps에 구속된 전하운반체의 밀도와 defect traps의 밀도가 증강되었기 때문에, $Na^{+}$ 이온 주입 후 $^{137}$Cs 감마선 조사된 $Al_2$O$_3$보다 각각 20배, 5배 증가되었다. 주입 이온 선량과 에너지의 증가는 defect trap 밀도의 증가를 초래함으로, 이온 주입된 시료의 열자극 발광 세기는 이온의 선량과 에너지에 의존함을 알았다. 입사 이온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자극 발광 세기는 기하급수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열자극 발광 세기가 결함 생성률 뿐만 아니라, 이온의 주입 깊이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 비교 (A Comparison of Peripheral Doses Scattered from a Physical Wedge and an Enhanced Dynamic Wedge)

  • 박종민;김희정;민제순;이제희;박찬일;예성준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8권3호
    • /
    • pp.107-117
    • /
    • 2007
  • 방사선 방호의 측면에서 기능강화동적쐐기가 금속쐐기에 비하여 가지는 이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쐐기에서 산란되는 조사야 주변부 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2D Array를 사용하였고 장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값과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15^{\circ},\;30^{\circ},\;45^{\circ},\;60^{\circ}$의 금속쐐기와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에 선원표면간거리를 80 cm에서 90 cm로 변화시키며 조사야 주변부의 선량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광자선의 에너지는 6 MV와 15 MV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0.5 cm 깊이에서 조사야 경계로부터 1 cm부터 5 cm까지 1 cm 간격으로 이루어졌다. 열형광선량계를 사용하여 절대 선량을 측정하였다.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경우, 기능강화동적쐐기를 사용하였을 때의 조사야 주변부 선량백분율($1.4%{\sim}11.9%$)이 금속쐐기를 사용하였을 때($2.5%{\sim}12.4%$)에 비하여 낮았다. 15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에 6 MV의 에너지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조사야 주변부 평균 선량백분율이 2.9% 높았다. 선원표면간거리가 80 cm일 경우에 90 cm일 경우보다 선량백분율의 차이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쐐기의 Heel 방향의 선량백분율이 Toe방향의 선량백분율보다 평균적으로 0.9% 낮았다.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절대 선량 측정에서도 2D Array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와 합치하는 결과가 나왔다. 기능강화동적쐐기는 임상에서 조사야 주변부의 정상조직에 불필요하게 산란되어 전달되는 선량을 감소시켜준다. 이러한 이점은 쐐기의 각도가 증가하고 선원표면간거리가 감소할수록 더욱 부각된다.

  • PDF

방사선 차폐체 제작을 통한 작업종사자 피폭 감소 방안 (The Effect of Adequate Radiation Shield Production for Radiation Worker)

  • 김기;홍건철;곽인석;박선명;최춘기;석재동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41-44
    • /
    • 2010
  • PET/CT 기기의 발달과 대중화에 따라 검사 건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 선량도 함께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차폐체를 제작하여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 감소를 확인하고 또한 작업종사자의 업무 만족도 향상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폐체 내부는 5 cm의 납이 들어 있고 작업 종사자가 앉아서 납창으로 환자를 주시하면서 주사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새로운 차폐체 제작 전, 후 각 6개월 간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분기 별 심부 피폭선량을 열형광 선량계를 이용하여 비교하고 차폐체 전면과 후면의 동일한 위치에 포켓 선량계를 위치하여 방사선 조사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PET/CT 작업 종사자들의 업무시 차폐체의 활용, 업무 정도, 업무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차폐체 제작 전의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분기 당 심부선량은 평균 2.70 mSv였으며, 방사선 차폐체 사용 후의 분기 당심부선량은 2.13 mSv로 21%의 피폭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차폐체 전면의 방사선 조사선량은 분기 당 61.2 R이었고, 차폐체 후면에서는 2.8 R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과종사자의 85%는 차폐체를 잘 활용한다고 하였으며, 입식보다 좌식 주사 방법에 85%의 만족도를 보였다. 차폐체의 제작, 활용 후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이 감소되었으며, 이는 방사선 방호의 궁극의 목적인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병원의 근무환경과 가장 부합되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차폐체 활용이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물리적, 심리적 부담감을 경감시키고, 업무 만족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방사선 방호측면에서 차폐체의 제작, 활용 방안이 작업 종사자의 업무 환경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려주는 좋은 결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