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matic Plant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Qualitative Assessment of Experience on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Low-Income Class

  • Lee, Hyun Jin;Son, Sung 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65-574
    • /
    • 2018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orest therapy program can help prevent dementia.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anings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receiving medical care assigned to the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as a way to understand the pathways that nature-based intervention affect preventing dementia. Twenty-o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they participated in a five-week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and analyzed qualitative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themes identified were related to connectedness with oneself, neighbors and nature. Awarenesses of change were consisted of positive and negative themes. The themes of positive awareness were improvements of mental and emotional condition, feelings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The negative themes were terminations of short-term programs and inconvenient access to the urban forest. Based on these data, we suggest an urban green welfare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ementia of underprivileged elderly group.

GIS를 이용한 농업용수 재이용 활용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GIS System for Agriculture Reuse of Wastewater Resource)

  • 김해도;이광야;정광근;이종남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79-484
    • /
    • 2005
  • A GIS-based integrated system for reuse of effluent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GIS-supported program classified attribute data which the effluent's quantity and quality and agricultural thematic map data according to the 5 big river basin area. From the database, showing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thereby proposing proper mitigation strategies over the watershed. Also, this system enables the users who is going to reuse the reclaimed water for their paddies to provide of all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data and agricultural structures and thematic map data.

  • PDF

후쿠시마 원전사고 종적사례연구를 통한 원전에너지 안전성 고찰 (Nuclear Safety: A Longitudinal Case Study from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 이준혁;진영민;조영혁;이순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9-147
    • /
    • 2016
  • Nuclear energy is considerably cheap and clean compared to other fossil fuels. Yet, there are rising safety concerns of nuclear power plants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radiation releasing nuclear accidents. In light of the Fukushima nuclear crisis in 2011, Japan has been re-evaluating their existing energy policies and increasing the share of alternative energy. This paper first tracks the major historical changes of energy policy in Japan by time period. Next, energy security, reignited concerns and alternative energy are covered to examine Japan's energy security situation and its transition after the Fukushima disaster. Lastly, a short survey based on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Japan to understand the public awareness of nuclear. This paper postulates that the case of Fukushima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and operate a safe-future nuclear program in South Korea, given that the country is not only geographically neighbouring Japan but also the world's fourth largest producer of nuclear energy.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정원의 식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Plant Material in the 2016 Korea Garden Show Designer's Garden)

  • 이정희;진혜영;이유미;송유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41-53
    • /
    • 2017
  • 본 논문은 2016년 코리아가든쇼의 9개 작가정원에서 식물 소재가 작가의 의도를 어떻게 반영하고 선택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물 소재는 정원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경우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K-Garden, 가장 한국적인 멋을 담은 신한류 정원'이라는 주어진 주제 아래,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식물은 '재현' '표현'의 두 가지 유형으로 쓰이고 있었다. 한국적인 멋이 담긴 특정 공간을 모방하는 '재현'은 2개 정원이, 작가의 생각을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표현'은 4개 정원이, '재현'과 '표현' 모두 사용한 정원은 3개 정원이다. 주제를 식물로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 '표현'의 경향이 강했다. 한국적인 멋을 '재현'하는 공간은 채마밭, 수돗가, 연못, 들판, 자연, 한옥 중정, 대나무밭, 기와 지붕, 돌담, 바위, 산자락과 연결된 뒷마당 11개로 식재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만을 반영하거나,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2가지 경우로 나타났다.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식재는 11개 공간 모두에서 관찰되었는데, 9개 공간은 식물의 생육환경을 잘 반영한 반면, 나머지 2개는 작가의 의도와 달리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시각적 특성을 함께 고려한 4개의 공간의 경우, 시각적 특성으로 색상과 크기가 고려되었다. 주제를 '표현'한 7개 공간의 식물은 생태적 특성을 반영하기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순으로 시각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선정되었고, 군식의 배식법도 적용되고 있었다. 공간을 구성하는 소재로 식물을 활용한 경우, Norman(1989)이 제시한 공간 위요변수 3가지(관개면, 수직면, 지피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관개면에는 단 2종의 낙엽 교목이 사용되고 있었고, 수직면에는 상록성 관목이 5종, 낙엽성은 30종으로 낙엽성 식물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바닥면을 형성하는 식물은 45종(목본 9종, 초본 36종)으로, 정원별로 중복되지 않고, 다양한 초본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가든쇼의 작가정원이 새로운 지피식물 소재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9개 정원 중 3개 정원은 그저 장식적으로 사용된 식물이 없었고, 다른 정원에서도 장식적인 식물의 사용은 식재종수에 비해 미약한 편으로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대부분 주제를 드러내거나, 공간을 구성하는 의도를 가지고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6년 코리아가든쇼 작가 정원에서 식물은 공간을 구성하기 보다는 주제를 드러내는 소재로 많은 수종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주제를 드러내는 방법은 '재현'보다는 '표현'의 방법을 사용한 정원이 많은 것으로 보아, 식물은 생태적 특성보다는 색상, 형태, 질감, 크기 등 시각적 특성을 보다 많이 반영하여 식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철 선유도공원의 주제공간이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 Location Targeting Seonyudo Park in Autumn)

  • 윤용한;오득균;김정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재활용 환경공원이면서 경관감상과 주제체험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선유도공원 공원을 대상으로 내부 장소별 경관이 이용객의 기분상태 및 개선효과를 밝혀, 공원의 조성 그리고 주제공간이 건강에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공원설계 및 조성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의미분별법(SD)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선유도 경관을 감상하였을 때 거의 모든 형용사 문구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각 공원의 내부 경관요소에 따라 피험자가 느끼는 감정 또한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분상태검사(POMS) 결과, 긴장점수는 도심지(7.78) > 수질정화원(3.33) > 습생식물원(2.11) > 녹색기둥의 정원(2.00) > 시간의 정원(0.89)의 순, 우울점수는 도심지(4.94) > 수질정화원(3.50) > 녹색기둥의 정원(2.94) > 시간의 정원(1.61) > 습생식물원(1.38)의 순, 분노점수는 도심지(4.22) > 수질정화원(3.33) > 녹색기둥의 정원(2.22)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11)의 순, 피로점수는 도심지(6.5) > 수질정화원(3.39) > 녹색기둥의 정원(2.78) > 시간의 정원(2.28) > 습생식물원(2.06)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 활력점수는 습생식물원(11.39) > 시간의 정원(11.00) > 녹색기둥의 정원(8.39) > 수질정화원 (7.77) > 도심지(5.28)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경관유형의 차이에 따른 점수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종합정서장애(TMD) 분석 결과, 도심지(24.5) > 수질정화원(9.5) > 녹색기둥의 정원(4.67) > 시간의 정원(-1.39) > 습생식물원(-1.22)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서울 광진구 광장동 기능 복합적 근린공원 설계 (Design for Gwangjang-dong Neighbourhood Park in Gwangjin-gu, Seoul)

  • 이관규;한선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68
    • /
    • 2006
  • A park will soon be developed in an area of Gwangjang-dong, Gwangjin-gu. The place has been a patch of green space for years, isolated by driveways and apartment complexes and abandoned. This article describes plans to infuse the abandoned green space with history, ecology, culture, and sports. The facilities that are to be constructed in and around the green space are positioned to take into account the path of the sun and the location of the curvilinear green space axis. The cultural space is planned as a centerpiece of the park, linked with the sports facilities. The overall framework is arranged in harmony with nearby elementary schools, parks, public facilities, athletic facilities, parking lots, and apartment complexes. The themed circulation rout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patial plan. In addition, the historical space is planned to work in close conjunction with the cultural space, and the streets and pedestrian pathways have characters of their own. The established contour lines will be carefully preserved, and an ecological pond will. The facilities, such as the outdoor performance stage, the outdoor art gallery, the Monument of Wind represented by a sail, and the pedestrian bridge in memory of Acha-sansung, are positioned for spatial balance and to provide a nexus. The bamboo forest, designed to foster the experience of sound effects, the architectural thematic plants, and the ecological pond are positioned to connect to each other around the greenspace axis. The main facilities are the outdoor theater, the bamboo forest, the Acha-sansung bridge, the Monument of Wind, the ecological pond, the four-season flower garden, parking lots, playgrounds, circulatory athletic pathways, and the tennis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