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codiplosis japonensi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in a Pesticide-treat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 Park, Yung-Chul;Yoo, Jung-Sun;Kim, Joo-Pi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79-186
    • /
    • 2007
  • The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pine forest of Pinus densiflora in Songri-san, where chemical pesticides had been applied to control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Spider communities were surveyed in four areas: a pesticide-untreated natural forest (area A), a forest with vinyl-covered ground surface (area B), an aldicarb-treated forest (area C) and a forest treated with a systemic pesticide (phosphamidon) (area D). A total of 74 spider species from 17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four survey areas. There were 54 species from 15 families in area A, 27 species from 12 families in area B, 29 species from 9 families in area C and 34 species from 9 families in area D,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was highest in pesticide-untreated area A, and much lower in the other three areas. The monthly species diversity of spider communities was highest in May and lowest in January. The similarity of the spider communities was highest in areas B and D. The monthly similarity of the spider communities was highest in November and February. The dominant species was Clubiona jucunda (12.71%, N=304 individual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application of aldicarb and phosphamidon dramatically decreased spider diversity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forests. Thus, the application of these two pesticides to natural forests should be restricted, or alternative pesticides need to be developed. Our results also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the pesticides should be avoided in May and June when high spider diversity is expected.

솔잎혹파리 항공방제용 저독성 농약선발연구 (Studies on Selection of Less Toxic Insecticides for the Aerial Control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형래;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1-206
    • /
    • 1994
  • 솔잎혹파리 방제는 포스팜 50% 액제를 수간 주입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나 약제처리가 농작업이 많은 시기임으로 노동력의 부족으로 인한 실제 방제에 문제점이 있어 항고기를 이용한 약제방제가 필요하여 저독성 약제인 곤충발육저해제 중 Buprofezin 40% 액상 수화제가 선발되었고 10배, 30배, 50배로 희석하여 ULV로 살포한 결과 각각 72.4%, 57.6%, 8.4%의 방제효과를 얻어 항공방제용 약제 선발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생태와 방제전략 (The Eclogy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ana Its Control Strategies)

  • 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3-166
    • /
    • 1982
  •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t requires two different habitats for the development; on trees and under the ground. The habitat specific mortality rates ere $30\~40\%,\;and\;50\~60\%$ for the respective habitats. The key developmental stage is the prepupa, and the key mortality factor i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oil and its variability. Since the insect is an exotic, the population status is the periphery and in the source of infestation are considerably different. Such a difference in habitats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the insect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suppression of the insect. The control strategies should be directional and rational based on the reality of the pest status. There have been substantial information on the control method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and each control method has an important place, but none has always provided a satisfactory solution to the many problems associated by this insect. These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a system based on the ecology of the insect. There should be continued support for directed effort on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s for the insect: specifically, estmation of the critical economic injury level, and of the absolute density of the insect.

  • PDF

솔잎혹파리 피해림지(被害林地)에서의 고사목(枯死木)과 생존목(生存木)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Dead and Live Trees infested by Pine Needle Gall Midge, Thecondiplosis japonensis (Diptera : Cecidomyiidae))

  • 정영진;박영석;김철수;전태수;이범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56-259
    • /
    • 2000
  • 솔잎혹파리 피해 극심지인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인구리의 소나무 임지에서 고사목과 생존목을 대상으로 흉고직경, 수고, 지하고, 수관고, 수관폭, 수관상태 등의 임목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판별분석법을 이용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고사목과 생존목간에 흉고직경 및 수고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관고는 생존목에서 395.88cm로 고사목의 347.25cm 보다 컸으며, 수관상태 역시 단목의 피해위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관폭은 고사목에서는 평균 121.04cm인데 비해 생존목은 182.44cm로서 생존목이 컸으며, 수관단면적과 수관부피는 생존목이 각각 $2.82m^2$, $4.45m^2$, 고사목은 $1.30m^2$, $1.78m^2$로 생존목이 2배 이상 컸다. 생존목과 고사목의 단목 특성을 이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관단면적, 지하고에 대한 수관고 비율, 수관상태, 수관단면적에 대한 수관부피의 비율, 수관폭에 대한 수관고의 비율 등이 중요인자로 나타났으며, 판별분석 모델의 예측효율은 86.7%였다.

  • PDF

봄철의 솔잎혹파리 유충밀도의 변동조사 (Seasonal trends in the Population of larvae of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spring)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5-48
    • /
    • 1969
  • 야외 피해림지에서 봄철의 솔잎혹파리 유충밀도의 감소경향을 조사한것이다. (1) 해빙직후인 3월 12일의 유충수를 100으로 보았을 때 4월 15일은 29, 5월 4일에는 10 이하 이였다. (2) 봄철에 시기에 따라서 유충수가 점점 감소되는 것은 온도가 차차 높아지고 습도가 낮아 지는것이 큰 원인이라고 관찰되었다. (3) 지표토양에서 솔잎혹파리 유충을 선별 함에는 수선하는 방법이 가장 좋았다.

  • PDF

식생구조에 따른 솔잎흑파리개체군 동태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by Diversity of Vegetation Structure)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33-44
    • /
    • 1983
  • Vegetati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cis of pine needle gall midge were investigated from 1980 to 1982 at the southern part of Palgong mountain near Daegu.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t the areas of A (pure stand), B(30% mixed forest) adn C(60% mixed forest) were as follow; Vegeation of 3 areas were not classified by the species diversity, but by the unequal distribution of Alnus hirsuta, Robinia pseudo-acacia, Lespedeza cyrtobotrya, Quercus variabilis and vitality of Pinus densiflora at the area C was low, due to shadow by broad-leaf trees. Soil environmental factors at 3 areas not characteristic, but the average of humus contents showed high significance and the order was A

  • PDF

솔잎혹파리 두 집단간(集團間)의 생태변이(生態變異) (Ecological variation between two population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Korea)

  • 황유철;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115-126
    • /
    • 1990
  • 본(本) 연구(硏究)는 두 지역간(地域間)의 솔잎혹파리에 관한 서로 다른 유충(幼蟲)의 주광성(走光性), 우화율(羽化率), 성비(性比), 그리고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을 찾고자 수행(遂行)하였다. 북쪽에서는 피해(被害)가 가장 심한 구성성분(構城成分)을 남쪽에서는 최초(最初)의 발생지(發生地)였던 무안지역(務安地域)을 선택, 이 두 지역(地域)에서 가져온 유충(幼蟲)을 원광대학교(圓光大學校) 곤충학(昆蟲學) 실험실(實驗室)에 옮겨 월동(越冬)을 시켰다. (1) 우집단간(雨集團間) 성숙유충(成熟幼蟲)의 크기에는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2) 주광성(走光性)에 있어서는 무안집단(務安集團)이 구성집단(構成集團)보다 높은 조도(照度)와 온도(溫度)에 있어서 더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3) 우화량(羽化量)에 있어서는 무안집단(務安集團)이 구성집단(構成集團)의 그것에 비해서 3배(倍)가량 높았으며, (4) 우화기간(羽化其間)에도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5)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은 두 집단간(集團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6) 성별우화수(性別羽化數)에 있어서는 두 집단(集團) 모두 자충(雌蟲)이 웅충(雄蟲)에 비해서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7) 솔잎혹파리 기생봉류(寄生蜂類)에 대한 관찰내용(觀察內容)이 설명(說明)되었고, (8) 두 집단(集團)의 이질성(異質性)의 일단(一端)이 밝혀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고농도미량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I ) -Low-volume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송유한;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1979
  • Salithioll $(25\%\;Ec)$, Omethoate $(Folimat^{(R)}\;50\%\;Ec)$, Monocrotophos $(Azodrin^{(R)}24\%\;Ec)$, Acephate $(Ortran^{(R)}50\%\;Wp)$, Metalkamate $(Bux^{(R)}24\%\;Ec)$, BPMC $(Bassa\;50\%\;Ec)$, 및 MIPC $(Mipcin^{(R)}\;50\%\;Wp)$를 100배, 200배, 400배액으로 희석하여 5월 9일 5월 24일, 6월 6일, 6월 20일, 7월 17일, 7월 17일에 각각 1회씩 고농도 미량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 방제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효과는 약제의 종류, 농도 및 살포시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Salithion, Omethoate, Monocrotorhos, Metalkamate순으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밖에 약제들은 방제효과가 낮거나 없었다. (2) 100배액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였으나 농도가 낮어 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3) 방제효과면에서나 잔효력면에서 볼 때 Salithion이 가장 좋았다. Salithion은 5월 9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1회 엽면살포로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였다. 그 밖에 Omethoate, Monocrotophos, Metalkamate는 Salithion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잔효력이 짧었다. (4) 100배액 살포에 있어서는 Omethoate, Salithion의 순으로 피해량적엽이 많었다. (피해량적엽이란 솔잎은 위축되었으나 충영을 형성치 못하고 부화유충에의한 피해양적만 남아 있는 잎을 말함)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硏究)(I) - 충영형성률(虫癭形成率)의 변동(變動) -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I) - Changes in Gall Formation Rate -)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0-26
    • /
    • 1983
  •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소나무의 충루형성율변동양상(蟲瘻形成率變動樣相)을 1977년(年)부터 1982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 충청남도(忠淸南道) 서해안(西海岸)을 위시(爲始)하여 전국(全國)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지역별(地域別)로 충루율(蟲瘻率)의 증가속도(增加速度)를 양세대간(兩世代間)의 충루율(忠瘻率)의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으로 비교(比較)한 바 솔잎혹파리밀도(密度)가 증가중(增加中)에 있는 선단지(先端地)에서는 북향임지(北向林地) ; Y=11.2+1.15X (r=0.833) 남향임지(南向林地) ; Y=14.3+0.82X (r=0.739)로 증가(增加)하고 있었으며 후방지역(後方地域)에서는 북향임지(北向林地) ; Y=7.3+0.46X (r=0.478), 남향임지(南向林地) ; Y=11.4+0.19X (r=0.086)로 밀도(密度)가 감소(減少)되고 있었다. 2) 솔잎혹파리는 새로운 지역(地域)으로 침입(侵入)하였을 때 약(約) 6세대(世代) 동안 충루율(蟲瘻率)이 증가(增加)하고 그후 급격(急激)하게 감소(減少)하는 양상(樣相)을 보이며 이같은 충루율(蟲瘻率)의 변동과정(變動科程)은 약(約) 12세대(世代)에 걸쳐 일어난다.

  • PDF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조류에 대하여 (The birds as a vertebrate predator of the larvae of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고제호;김상욱;김윤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9-54
    • /
    • 1969
  • 솔잎혹파리 유충의 포식성 조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솔잎혹파리 유충의 낙하최성기인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류 380개체 (1967년 182개체, 1968 년 198개체)를 포획하여 위(胃)내용물을 조사한것이다. 1. 솔잎혹파리 유충이 지표로 낙하하는 시기에 이를 많이 포식하는 새들은 박새, 쇠박새, 진박새, 곤줄박이, 오목눈이, 쑥새, 노란턱멧새, 꼬까참새, 상모솔새등이였다. 2. 조류별 솔잎혹파리 유충의 평균 포식수는 1967년도에 쑥새가 108마리, 쇠박새 64마리, 박새 25마리였고 1968년도에는 진박새 36마리, 박새 28마리, 쇠박새 17마리였다 3. 솔잎혹파리 포식성 조류의 포식량은 솔잎혹파리 유충의 시기별 낙하율과 일치하였으며 솔잎혹파리가 많이 지표로 떨어지는 11월초중순에 가장 많았다 4. 포획한 조류 380개체의 위(胃)를 분석조사한 바 솔잎혹파리 유충을 포식한 개체는 157개체 (1967년 53개체, 1968년 104개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