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oad to Peace and Harmon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신종교의 영상 콘텐츠 활용 현황과 과제, 그리고 제언 -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Suggestions for Utilizing Daesoon Jinrihoe's Video Content: Focusing on the Film, The Road of Peace and Harmony, and the Videos of the Museum of Daesoon Jinrihoe)

  • 박종수
    • 대순사상논총
    • /
    • 제48집
    • /
    • pp.239-268
    • /
    • 2024
  • 영상 콘텐츠는 매체적 특성인 재현과 정보 전달, 몰입과 경험 등으로 교육의 수단으로 자주 활용되곤 한다. 특히, 종교영화의 경우, 종립학교나 신앙공동체에서 신앙의 이해와 고취를 위해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과제와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제2장에서는 대순진리회 영상 콘텐츠를 영화 <화평의 길>과 대순진리회박물관의 영상 콘텐츠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콘텐츠가 현재 종단 내부의 종교교육 자료로만 기능하고 있다는 한계를 장르영화로서의 '예수 영화'를 통해서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제4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영상 콘텐츠가 종교교육을 넘어선 다문화 종교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안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대순진리회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할 때 좀 더 시의성 있는, 지역 종교를 넘어서 세계 종교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최근 남북.대륙철도 협력현황과 동북아철도협력 구상 (Reconnecting the Trans-Korean Railway and future aspirations of Northeast Asia Railway Network)

  • 나희승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9-1036
    • /
    • 2006
  • South and North Koreas are putting forth efforts to overcome the distrust and animosity of the past 50 years to open an era of harmony and cooperation where the two halves can work together for mutual benefits. As part of those efforts, both parties are working now to reconnect the railway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at remained broken for the past 60 years. In addition, the restoration of Trans-Korean railway paves the way for the "Silk Road Railway" which links European continent to Asian regions and Pacific Rim. The restoration project acts as a conduit for cooperation within in the Northeast Asian continent, hence, an important tool for facilitating peace and prosperity with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Notably, the Railway project is regarded as the cardinal future-oriented peace building project for cultivating constructive, cooperative relations (Trans-Korean Railway and Trans-Asian Railway works) by stimulating human resources and commodity flows through railroad transportations. Northeast Asian region takes on a similar instance to the unification of European continent through its astounding development in railroad transportation, i.e., the international re-construction of Railroad lines will act as a catalyst to link Eurasian areas into one regional community for cooperation and peace. At present, the government is creating a momentum to bind trans-Eurasian railroad works and an initiative for "Northeast Asia Railroad networks and consultative organization".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on paves the way to develop railroad network within South-North Korean, Russia and Eurasian region. It also fosters railroad cooperation with China for people and goods transports.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e project requires wide publicity and cross-border cooperation from concerned countries. The blueprint would have to be drafted up for Northeast Asian railroad train demonstration runs, Northeast Asian transportation agreements, with a bid to promote constitute Northeast Asian Railroad Consultation body. Moreover, the government would also have to prepare both, a draft of the linkage and the mandated standardized proposal.

  • PDF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Military Activity and Combat in Hapcheon Area during the Imjin Invasion Period)

  • 곽낙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257-30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진왜란 시기 합천지역의 의병활동과 합천지역의 전투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인홍은 합천, 김면은 고령에서 의병 창의를 하게 되었다. 정인홍은 지피지기의 리더십을, 김면은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둘째, 정인홍 의병군의 전투는 1차 무계전투, 사원동 복병전투, 초계 마진전투, 안언전투, 3차 성주성전투이다. 김면 의병군의 전투는 연강전투, 개산포전투, 2차 무계전투, 우척현전투, 지례전투, 사랑암전투이다. 정인홍 김면이 연합하여 싸운 전투는 1차 성주성전투, 2차 성주성전투이었다. 정유재란시기 정인홍은 경상우도의 군량을 책임지는 조도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합천지역은 일본군이 전라도로 들어가는 진입로이자 수송로였다. 셋째, 명군의 참전과 역할은 일본군을 조선에서 몰아내고 요동을 방어하는 이이제이의 전술과 함께 일본군을 대항하는 견제 장치의 한방편이었다. 1593년(선조 26) 1월 이여송의 평양성 전투 승전 이후, 명군은 적극적인 전투보다는 강화협상을 통한 실리를 추구하였다. 실제적으로 진주성전투가 벌어졌을 때, 명군의 유정 부대는 1593년 6월 말에 사천병의 단병무예를 가지고 입성하였으나,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의 명령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 넷째, 임진왜란 시기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과 명군의 군량미 원조 등 전국토가 폐허로 참담한 피해를 입었지만, 각 지역의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경상우도 합천지역의 사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은 전쟁기간 중에 일본과의 강화와 전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전권을 행사하였던 명군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주체성을 내세워 일본군과 끝까지 싸우겠다는 항전의지를 보임으로써 민족적 자신감과 긍지를 잃지 않았다. 이러한 정신문화는 향보와 근왕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지역공동체의 하나 된 마음과 정신이 승화된 민족의 저항정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