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ing Dynas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3초

육조시기(六朝時期) 사상가들의 육체(肉體)와 영혼(靈魂)의 관념에 대한 개략적 고찰 (Research on the Soul & Body Thought of Chinese Six Dynasties thinker)

  • 조원일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387-404
    • /
    • 2015
  • 중국의 육조 시기에는 대부분의 사상가들이 인간의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하여 언급하였는데, 이러한 시기가 바로 중국 철학사에 있어서 육체와 영혼의 관계를 가장 집중적으로 논의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당시에 회자 되었던 인간의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그 시기를 살아가던 사상가들에 있어서 논쟁의 핵심 주제였다고 할 수 있다. 당시의 사상가들 가운데 일부는 불교에서 주장하는 생사윤회의 영향을 받아서 '영혼은 소멸되지 않는다'고 하는 관념을 형성했으며, 다른 사상가들은 '영혼은 소멸된다'라고 하여 불교의 입장과는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은 결국은 '영혼은 소멸되는가? 소멸되지 않는가?'라고 하는 논쟁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육조 시기는 분열과 동란의 시대로서, 어지러운 세태 속에서 자연히 귀신관념이 일세를 풍미했던 시대이기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귀신관념에 대한 사상이 세상에 유행하게 되자 덩달아 사람들은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당시 사상가들은 육체와 영혼 둘의 관계에 대한 사고를 확대시켜나가서 점진적으로 당시의 시대적 담론으로 자리를 잡게 만든다. 이와 같은 시대적 분위기속에서 당시의 사람들은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하여 매우 광범위하게 사고를 진행해 나갔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당시에 벌어졌던 '신멸론'과 '신불멸론'의 논쟁은 육체와 영혼의 관계 문제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산되어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와 같은 육체와 영혼의 관계 문제에 대하여 양진시기의 육체와 영혼의 관계 문제 및 남북조시기의 육체와 영혼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개략적인 차원에서 검토를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침구태성(鍼灸大成)》<책(策)>편(篇)의 분석(分析)을 통(通)한 양계주(楊繼洲)의 의학사상(醫學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edical thought of Yang Ji Zhou(楊繼洲) through analysis on 《Zhen Jiu Da Cheng-Ce, 鍼灸大成·策》)

  • 이수홍;윤종화;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69-84
    • /
    • 2000
  • We have known that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had been written by Yang Ji Zhou(楊繼洲) in Ming(明) dynasty. And it had been the only textbook of acupuncture & moxibustion for over 300years. This book is composed of 10 chapters dealing almost all the medical theories of that times. This book is so enormous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essential ideas of the author. But, Yang Ji Zhou revealed his ideas and medical theories in some parts of this book. This part is named that composed of 4 small subjects. These are , , and In this study, I analyze the relation of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and $\ll$Wei Sheng Zhen Jiu Xuan Ji Bi Yao, 衛生鍼灸玄機秘要$\gg$ and then I study further by comparing with other parts of $\ll$Zhen Jiu Da Cheng, 鍼灸大成$\gg$ and other important oriental medical textbooks.

  • PDF

중국 항주(杭州)의 역사경관 변천과정 - 서호(西湖) 경관을 중심으로 - (The Transition of the Historical Landscape in Hangzhou, China - Focus on the Landscape of West Lake -)

  • 반상;서환;강태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43
    • /
    • 2012
  • 항주는 중국에서 2,3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풍광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역사문화도시이다. 특히 서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치 좋은 호수로서, 2011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경관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서호는 변천과정을 거치면서도 역사경관은 사라지지 않고, 각 시기별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로 현재까지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개발하면서 지속가능한 역사경관의 보존을 위해 서호 경관의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항주 서호 경관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먼저 고대 항주의 도성구조와 사상적 배경을 사료와 문헌을 통해 서호 경관의 당, 송, 원, 명, 청 각 시기의 특징과 변천과정 및 역사적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항주는 도성계획에 있어 역(易)과 풍수사상 및 "관자(管子)" 사상에서 영향을 받아 입지선정과 주변의 자연환경과의 고려를 중요시하였다. 따라서 항주 서호 경관의 특징은 산수풍경을 그림처럼 표현하고 지형과 주변 환경에 조성되었다. 서호는 송대 이후, 청대까지의 역대 조정은 천 년 동안 지속적으로 여러 번의 정비와 건설을 통해, 현재의 경관이 완성되었다.

이불(李?)의 주육관(朱陸觀) 연구 - 『주자만년전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Li Fu's Appreciation of Zhu Xi and Lu Jiuyuan's Philosophy - Centering around Zhuziwannianquanlun -)

  • 임홍태
    • 한국철학논집
    • /
    • 제37호
    • /
    • pp.159-195
    • /
    • 2013
  • 주희와 육구연 간의 논쟁은 송명이학의 전개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학술논쟁이자 주희의 학술 생애 중 가장 격렬했던 논쟁 가운데 하나였다. 양자 간의 사상적인 이견(異見)으로 인해 전개된 논쟁은 그들이 생존해 있을 때에는 다만 학문 방법론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이었다고 한다면, 그들 사후 이로 말미암아 전개된 것은 양대 학술 유파 간의 분쟁이라 할 수 있다. 송 원 명대를 거쳐 학술계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온 주륙이동논쟁은 주희 사상의 변화를 고증하는 문제에 있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였으니, 이로 말미암아 학자들은 육자의 사상을 제대로 알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주자의 사상 역시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청대에 이르러 이 방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화되었고, 각각의 주장을 대표하는 인물들과 문장들이 무수히 쏟아져 나오게 되었다. 청대의 육왕학자인 이불은 "주자만년전론"을 통해 비교적 객관적인 입장에서 주자와 육구연의 사상을 비교 검토하고 있다. "주자만년전론"이 비록 육왕학의 입장을 옹호하기 위해서 쓰여진 면이 없지 않지만, 주륙 사상에 대한 비교 작업이 객관적인 고증학적 작업을 통해서 수행되었다는 점이다. 이불의 주륙관은 육왕학을 기본 토대로 하여 주자학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륙 사상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불은 육왕학에 대해서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육왕학에 대해 선별 취사하여 새로운 해석을 가하고 있다.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uibyong(翠屛: a Sort of Trellis) in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1
    • /
    • 2013
  • 본 연구는 회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회화자료 25종에 대한 분석 결과, 취병은 주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차폐시설과 부지의 공간을 분할하는 구획시설로 기능하였으나, 내적으로는 정원에 품격과 아취를 부여하는 소품으로 설치되었다. 특히 취병 주변으로 학, 사슴등의 동물상 및 소나무, 파초, 대나무, 오동나무 등의 식물상과 괴석, 연못, 정자 등의 다양한 정원요소들이 나타났는데, 이것들은 이상적인 문인정원에 구비되어야 하는 일련의 조합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취병은 중국 고사(古事) 속 문인문화를 표상하는 관념적인 물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한 이미지는 고스란히 정원문화 속에 투영되었는데, '인물고사도 속 원림'을 모방 재현하는데 있어 취병은 중요한 경물로 사용되어 왔다. 셋째, 형태 기능 측면에서, 조선시대 회화 속에 나타난 취병들은 기본적으로 차폐 및 구획의 기능이 주요하였다. 사람 키를 웃도는 담장이나, 심지어 중국 대문 앞뒤에 설치되는 영벽의 높이까지 솟아 있기도 하여 공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취병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취병은 특정한 기능이나 입지상황 때문에 설치된 것보다는 당시 국내에 유행한 명대 문인문화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전해진 서원아집도 등에 나타난 취병의 도상은 한양을 중심으로 부유층의 저택에서 재현되었는데, 취병을 통해 부귀와 문인의 기상을 표현하려 했던 초기양식이 궁궐 및 상류층의 주택에서나 조성될 수 있는 고급 정원요소로 전화되었다. 또한 19세기 중엽 이후 취병의 활용은 평민의 주거양식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저변화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취병이 토착화된 전개로 간주된다.

조선(朝鮮) 후기(後期) 한의학(韓醫學) 외연확대(外延擴大)의 일국면(一局面) (A Study on A Phase of Denotation Expansion of Oriental Medic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 박상영;오준호;권오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1
  •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bulky volume of books, which had rarely been seen, poured out including "Imwongyeongjeji", "Japdongsani", "Songnamjapsik" and "Ohjuyeonmunjaangjeonsango". such sorts of books have a characteristic that an author collected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which were scatter away at that time, in one's own way and compiled them into a book rather than an author's own remarks or ideas. Most authors of such books were known to have made not a few book beside bulky books. Such a trend of the times doubled its revitalization with the influx of that books in a series that were popular especially in the period of Ming State & Ching State in China. The research work on such a trend once showed not a little progress by a few faithful researchers even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y were overwhelmed by the bulkiness of a book in a series itself and its target volume. However, in spite of not a little fruition of such studies, there has been no comments at all on the new factors of change faced by Oriental medicine in the climate of the intellect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is study aimed at looking at the significance of medical-history-based studies on this matter on the basis of Park, Jiwon's "Keumryosocho", and Lee, Deokmu's "Iemokgushimseo", and suggesting the further task.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Keumryosocho" and "Iemokgusimseo" are as follows: 1.The prescriptions cited from the sorts of writings excluded entirely the medical theories on the principles of prescription, and they are composed of a single-medicine prescription or so, which made it easier even for those who lacked a special knowledge of medicine to use it; in addition, it was easy to get medicinal ingredients in most cases. It's presumed that such a composition of medicinal ingredients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difficulty in the supply of medicinal ingredients, which issue became a serious iss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2. The prescriptions originating from the sorts of writings sometimes are mixed with the ones whose medical efficiency are doubted. This means the inherence of obstacles to delivering accurate medical knowledge couldn't be avoided because the initial purpose of such sorts of writings lay in popularity than practicality. 3. In spite of such problems, the prescriptions originating from writings seems to have not a few influences on the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possible for us to take a glance on the traces of their use of these prescriptions in an actual daily life. This fact is fully confirmed by the contents in the preface of "Keumryosocho" that Park-jiwon personally tried to write a prescription. Moreover, such facts can be also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the writings of China or our country are seen quite often among the writings which were incited by Seo, Yugu's "Injeji." Like this,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of orthodox medicine and the one originating from general books other than medicine books were integrated at one place is plainly showing a phase of the intellect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deluged with information; because of such a characteristic, we can say that Oriental medicine became plentiful in the aspect of diversity with its expansion of denotation, but Oriental medicine could not but additionally assume the problem of having to distinguish good from bad in the midst of such a situation.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 곽이성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43-56
    • /
    • 2019
  •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s of Flower Vessels (花器)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15th Century)

  • 오영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112-129
    • /
    • 2019
  • 본 논문은 1411년 감조된 화기의 실체에 주목하여 화기가 감조된 배경과 견양으로서의 의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상림원에 진공된 화기의 용도와 성격 규명을 필두로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 상주 일대 자기 가마터의 실물자료에 주목하여 화기의 종류와 제작 양상을 유추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화기의 제작 시점을 추정하고, 화기의 제작에 관여한 조선 왕실의 상황과 의중을 밝히며 이후 화기 제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15세기 초반 조선 왕실은 관제를 개편하고 예제를 정비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왕실과 관련한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 의례 절차 및 준비에 별도 감독관을 두어 관여하였고, 제기와 무기 제작 시 별도의 감조를 명하였다. 1411년 화기가 감조의 대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자, 왕조가 지향하는 이념에 적합한 대상으로 화기가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화기의 제작은 자기소가 군집하였던 상주목에서 1411년의 감조를 기점으로 본격화되어 상림원에 진공될 화기로 분청사기상감화분 및 청자화분받침이 제작되었다. 15세기 중반 가마를 비롯해 관요에서는 상주목 일대에서 제작된 화기와 매우 흡사한 예가 제작되었다. 즉 1411년 감조된 화기가 이후 견양으로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당시 조선 왕실은 명 황실로부터 전해 받은 기물을 그대로 견양으로 삼거나, 별도 제작한 그림이나 실물을 검토하여 견양을 정하였고, 이를 전국 각지에 보내어 제작의 범으로 삼도록 하였다. 일찍이 견양은 자기 제기 제작에 영향을 미쳤고, 매년 사옹원 관원이 어용 자기를 감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견양'이 자기의 명문으로 별도 표기되기도 하였다. 당시 이러한 여건 하에서 1411년 내수에 의해 감조된 화기 또한 정밀한 제작 규범을 제시한 화기의 견양으로 평가된다.

고려(高麗) 금동탑(金銅塔)을 통해 본 법주사(法主寺) 팔상전(捌相殿)의 구조형식계통(構造形式系統) (The Structural Lineage of Palsangjeon in Pubjoo Temple Analyzed through Gilt-bronze Pagoda in the Koryo Period)

  • 김경표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1호
    • /
    • pp.89-105
    • /
    • 2005
  • The central aim of this thesis is to see if the structure of Palsangjeon(捌相殿) in Pubjoo Temple(法住寺), a five sto wooden pagoda in Chosen(朝鮮) Dynasty, was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and middle ages.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an analysis of Gilt-Bronze Pagoda built in Koryo(高麗) period. In other words, it is aimed at analyzing which lineage the structure of Palsangjeonbelongs to as a wooden pagoda. In analyzing the structure of Palsangjeon, I attempted to find out its source from the remains of Koryo period prior to the Chosen Dynasty. Examples are the Gilt-Bronze Pagoda, built during the Koryo period. I have also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existing wooden pagodas and remains. The analysis of Palsangjeon, a five story wooden pagoda in Chosen Dynasty, focuses on the following: First, I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whether the structure of Palsangjeon was newly invented in Chosen Dynasty, or if it had been derived from the wooden pagodas in the Koryo period. Secondly, I tried to find out if the stable vertical planes, with a great successive diminution ratio, were derived from the middle age, i.e. Koryo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of Palsangjeon through Gilt-Bronze Pagoda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Gilt-Bronze Pagoda, a wooden pagoda from the Koryo period, is roughly classified into the accumulation type, using pipe pillars, and the one story type using whole pillars. In the accumulation type, stories are connected in either a flat format or an intervening format. The Gilt-Bronze Pagoda is mainly composed of pipe pillars, with some whole pillars. However, the central pillar was omitted in the building structure. Generally, the upper and lower stories are connected by pipe pillars in a crutch format. All the pillars, whether they are pipe pillars or whole pillars, used Naiten(內轉) technology. The Eave supporter has the Haang type(下昻) and the Muhaang type(無下昻). In most cases, high balustrades are furnished, but few tables of high balustrades have been found. The slanting roof formats have been handed down from Paekche(百濟), Silla(新羅), or Koryo(高麗).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octagon is assumed to be derived from Koguryo(高句麗). The structure of the Gilt-Bronze Pagoda from the Koryo period is mainly composed of accumulated flat squares, with some spire types. intervening format, the structure of Palsangjeon used whole pillars in a half story format in which upper level side pilla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level tie beam. From the Bronze Pagoda from the Koryo period, we can assume that the half story format of wooden pagodas that has stable vertical planes with a great successive diminution ratio was created during the mid-Koryo period at the latest and had been idly developed by the time of the Chosen Dynasty. 3. The whole pillars in Palsangjeon are also found in Gilt-Bronze Pagodas from the Koryo period. Hence, all of the pillars in Palsangjeon seem to have been handed down from the ancient construction technology. They were also used in the construction of wooden pagodas from the Koryo perio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Palsangjeon was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Chosen Dynasty that had been developed from the wooden pagoda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Koryo period. The stable vertical planes with a great successive diminution ratio in Palsangjeon are derived from ancient Korean wooden pagodas, which have developed into indigenous Korean wooden pagodas with fairly stable vertical planes and a great design, in the half story format of Koryo and Chosen Dynast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Palsangjeon has a systematic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Korean wooden pagodas and is one of the indigenous Korean wooden pagoda structures. 4. In China, the intervening format has been mainly used between stories in multi-story architecture since the ancient days. At the same time, the flat format as also used in ancient and middle ages. However, the flat format was replaced by whole pillars during the Ming(明) and Manchu(淸) Dynasties, in favor of simple and compact construction. The half-story format, in which upper level side pillars are installed on tie beams, has been found in some cases, but it doesn't seem to have been the primary construction technology. Few traces of the half-story format have been found in multi-story architecture in Japan, and it has not been used as a general construction format. By contrast, the half-story format, which seems to have been derived from the Koryo period, was used as a general construction format in multi-story architecture of the Chosen Dynasty.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multi-story architecture is related to that of multi-story wooden pagodas, but they have different production technologies. It seems that the structure of Palsangjeon did not just adopt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multi-story architecture in the Chosen Dynasty, but it was developed from wooden pagodas in the Koryo period, including the Gilt-Bronze Pagoda. 5. Since the ancient days, most Chinese and Japanese wooden pagodas have adopted an accumulation type of structure using pipe pillars, with accumulated pointed towers. On the other hand, though most Korean wooden pagodas have also adopted an accumulation type of structure from the ancientdays, one story type using whole pillars was created in the Koryo and Chosen Dynasties. The wooden pagoda structure of Palsangjeon, with stable vertical planes in a half story format, is a unique Korean construction technology, different from the construction technologies of Chinese and Japanese wooden pagodas. This thesis clearly deter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alsangjeon. However, various remains have yet to be analyzed in depth, to establish an accurate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In the beginning of this thesis, I had difficulty in precisely interpre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ilt-Bronze Pagoda from its appearance. However, in the process of study, the more serious problem was that there are few remains or ruins of multi-story architecture in ancient and the middle ages of Korea. Therefore, it is urgent to discover various remains in the future. This thesis succeeded in determin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alsangjeon. However, it fell short of clarifying the structural lineage of the stable vertical planes, although they show indigenous Korean architectural taste, representing the unique national emotion, and the construction format of multi-story wooden pagodas in Korea. I hope this is clarified in the future research.

  • PDF

관서지방 배따라기 연행고(演行考) (A Study on Baettaragi Performanc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Korea)

  • 임수정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105-158
    • /
    • 2011
  • 조선 인조대에 경기(京妓)가 폐지된 이후 생긴 향기(鄕妓)의 선상제도(選上制度)로 인하여 지방에서 공연되어 지던 교방정재(敎坊呈才)가 궁중으로 유입되어 궁중정재로 채택, 궁중연향에서 연행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종목 중 하나가 선유락(船遊樂)이다. 선유락은 정조19년(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에 최초로 기록된 이후 조선후기 궁중연향기록인 각종 의궤의 정재종목으로 빠짐없이 등장한다. 궁중정재 선유락을 담당한 여기(女妓)들이 당시 평안도 의주, 안주, 성천 등지에서 올라온 선상기(選上妓)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이들에 의해 관서지방의 교방정재인 배따라기가 궁중으로 유입되고 궁중 정재 선유락으로 정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준 관서지방 교방정재인 배따라기는 명·청교체기후금이 요동지역을 장악하자 명나라 사행(使行)을 바닷길로 갈 수 밖에 없었던 수로조천(水路朝天) 당시의 일을 바탕으로 하여 교방의 기녀들에 의해 공연물로 탄생되었다. 관서지방은 중국으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들이 거쳐 가야 하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사신들을 위한 연향이 많았고 중국으로 떠나는 사신들을 위한 전별연(餞別宴)에 교방청 기녀들에 의해 험난한 사행길을 떠나야 하는 이별의 애끊은 아픔과 사신들의 무사귀환을 축원하며 배따라기가 연행되었다. 관서지방 배따라기 관련 많은 문헌에서 교방정재 배따라기가 수로조천 당시 배가 떠나가는 (船離) 이별의 아픔을 처절한 성조(聲調)와 행위로 공연작품속에 담아내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기록을 토대로 살펴본 관서지방 배따라기는 무구로 사용되는 그림배(畵船)가 등장하고, 동기 한 쌍을 뽑아 군사인 소교(小嬌)로 분장시킨 후 군례를 올리고, 행군을 의미하는 고취악을 연주, 행선 전 부르는 노래와 음악반주, 행선의 모습을 극적(劇的)으로 표현, 무사귀환을 축원하는 이별가(배 떠나는 노래)를 부르는 형식으로 공연을 구성하고 있다. 명·청 교체기 수로로 사행을 떠나는 사신을 이별하며 바닷가에서 배를 떠나보내며 벌어진 실제 상황을 이렇듯 악·가·무와 극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공연물로 탄생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탄생된 관서지방의 교방정재 배따라기는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을 위한 각종 연향에서 공연되어졌고 선상기들의 활동에 의해 궁중정재 선유락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궁중연향을 마친 선상기들의 귀향(歸鄕)으로 인해 다른 지방에도 유사한 형태의 공연물(『교방가요(敎坊歌謠)』 소재 「선악(船樂)」, 『이재난고(頤齋亂藁)』 소재 「행선곡무(行船曲舞)」)로 정착되어 지방의 연향에서 그 지방의 특색을 담아 서로 다른 절차로 공연되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