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Ming Dynasty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5초

"의방유취(醫方類聚)"의 문헌가치(文獻價値)에 관한 관견(管見) (Brief Commentary on Philological Value of "EuiBangYooChui"(Classified Assemblage of Medical Prescriptions))

  • 호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1-154
    • /
    • 2008
  • "EuiBangYooChui"(Classified Assemblage of Medical Prescriptions) preserves important historical documents about herbal medical prescriptions up to the beginning of Ming dynasty. Mikisakae, a well-known medical history scholar of Japan, attributed high values on "EuiBangYooChui"(Classified Assemblage of Medical Prescriptions) as he stated that it summarized all medical knowledge of all over China and promulgated korean medicine to world top level. "EuiBangYooChui"(Classified Assemblage of Medical Prescriptions) thoroughly cited herbal prescriptions of 150 medical books of China which contents reach up to 9.5millions of letters. Also clarified all the sources of its contents. These efforts made easy the utilization for upcoming experts. Existing block books serves in various aspects of philological field, such as revision of lost documents, block book studies, contents studies, medical history studies, letter studies, phoneme studies and scholia.

  • PDF

동관왕묘의 어제(御製) 현판(懸板)의 유형과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Contents of Hanging Boards Inscribed with King's Writings in Donggwanwangmyo[East Shrine of King Guan Yu])

  • 장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52-77
    • /
    • 2016
  • 관우를 모신 동관왕묘에는 51점의 현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것들은 조선의 국왕이나 명 청대 사신 및 장군들이 쓴 것이다. 그동안 현판에 대한 연구는 궁궐에 소장된 것들이 주로 연구되었고, 동관왕묘의 것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국왕의 글씨로 만든 현판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내용상으로는 현판의 제작자와 제작시기 및 제작배경을, 형식상으로는 현판의 유형과 재료 및 시기별 양식 변천을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동관왕묘에 국왕 글씨로 만든 현판은 총 7점이 현존하고 있다. 숙종이 쓴 1점, 영조가 쓴 4점, 고종이 쓴 2점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건물의 이름을 쓴 편액(扁額)과 동관왕묘에 방문한 느낌을 시로 쓴 시액(詩額)으로 나뉘었다. 특히 후자는 국왕이 봄과 가을에 능행(陵幸)하면서 동관왕묘에 들렀을 때 썼으며, 관우의 의리와 충성을 통해 왕실의 안녕을 도모하고자 의도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국왕의 현판은 명 청대 사신이나 장군의 것들과 비교할 때 재료나 형식면에서 차별화되었다. 바탕은 청색[회회청(回回靑) ]이나 주색[주칠(朱漆)] 및 옻색[흑칠(黑漆)]으로서, 먹색[묵(墨)]이나 흰색[분질(粉質)]으로 된 현판보다 고급 재료로 칠하였다. 글씨는 양각으로 새긴 위에 금(金)으로 칠하였다. 현판의 형식은 4면이 모판처럼 $45^{\circ}$로 비스듬하며 단청기법으로 꽃문양이나 칠보문양을 그렸고, 그 좌우와 아래로 길게 빼 당초문양을 장식하였다. 이것은 '사변형(斜邊形)'이라고 부르는 형식이며, 나머지 3종류의 형식보다 품격이 높아 최고 수준의 것이었다. 이처럼 국왕의 글씨를 새긴 현판의 존재를 통해 조선후기에 동관왕묘는 국왕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군인들의 충성심을 강조한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명대 사신이나 청대 장군의 글씨로 제작된 현판과 형식 비교나 시기별 양식적 변천은 다음 기회로 미루고자 한다.

성리학(性理學)과 산수화(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 장완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09-336
    • /
    • 2011
  •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주자학과 양명학, 그리고 '국학'의 형성 - 주체성과 실심(實心)의 계보학 - (Zhuzi Learning, Yangming Learning, and Formation of "Gukhak": Genealogy of Subjectivity and Silsim)

  • 김우형
    • 한국철학논집
    • /
    • 제58호
    • /
    • pp.307-336
    • /
    • 2018
  • 본고는 정인보의 '국학' 사상에 나타나는 주체성과 실심(實心, 참된 마음) 정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조명하였다. 근세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주체성과 실심이 주요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에서 비롯된다. 정이(程?)는 주체의식을 강조한 최초의 사상가이며, 주희(朱熹)와 왕양명(王陽明)은 정이의 주체성의 원리에 입각한 사상을 계승하되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는 신유학의 주체성과 실심의 정신을 발휘한 하나의 사례이다. 정인보(鄭寅普)는 학맥에 있어 강화학파에 속하지만, 양명학이 실심의 자각과 실천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방법론적으로 활용했을 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체성의 원리가 정인보로 하여금 주희 도덕이론(인심도심론)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따르도록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기적인 욕구(자사심)를 옳고 마땅한 것을 자각한 마음(실심)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인심(감각욕구)과 도심(도덕심)의 갈등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받도록 제어하라는 주희의 견해와 일치한다. 이 같은 윤리학은 행위의 내적 동기나 의무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서, 사실상 주희와 왕양명에 있어서도 근본적 차이는 없는 것이다. 적어도 이점에서 근현대 한국학을 유교전통과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전란의 기억과 문학적 극복 - 정묘·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 (The Remembrance of War and Overcoming its Aftermath through Literature: Focusing on the post Manchu's Invasion Period)

  • 백진우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69-97
    • /
    • 2017
  • 본 연구는 조선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경험한 직후 창작된 문학작품들을 검토하여, 전란이 남긴 좌절과 상처의 기억을 문학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사례들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시기에 제출된 일련의 문학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분모를 확인하여, 당시 지식인들이 문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전쟁에 대한 기억을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재구하였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명(明)나라에 대한 의리와 청(淸)나라에 대한 적대감이 팽배했던 당시 조선의 국가적 담론이 문학적으로 구현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똑같은 외침(外侵)이었지만 임진왜란 이후의 문학 작품들이 전쟁으로 인한 참상 애상 비분 통분의 감정을 위주로 드러낸 데 비해, 정묘 병자호란 이후의 문학 작품들은 국가적 담론의 문제를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구체화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 가운데 당대에 국가 차원에서 담론으로 제기되었던 복수설치와 대명의리 의식이 문학의 장(場) 위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으며, 그 의의는 무엇인지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역사 인물들을 제재로 한 문학 작품들을 통해 그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문인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당시의 국가적 담론이 문학 작품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반영되었는지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당시에 자주 언급되었던 역사 인물들은 정묘 병자호란이 남긴 정신적 상처를 당시의 지식인들의 나름의 방식으로 극복하기 위해서였음을 확인하였다.

『소문(素問)·혈기형지편(血氣形志篇)』의 배유혈(背兪穴)과 간(肝), 비(脾)의 해부학적 위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Back Accupoints in Suwen·Xueqixingzhipian(素問·血氣形志篇) and Anatomical Location of Liver and Spleen)

  • 조학준;김동율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50
    • /
    • 2017
  •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change in Korean medicine's anatomical awareness through reviewing the location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ack acupoints, live, and spleen as revealed in Suwen Xueqixingzhipian. Methods : The locations of the back acupoints described in the Suwen Xueqixingzhipian were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found in Neijing annotations, Lingsu, and other books on acupuncture, and the location of liver and spleen were compared with the figures of internal organs found in pre-Northern Song Period texts and with Neijing's other chapters. Results : According to Taisu, the acupoint UB18 and UB20 as described in the back acupoints of Suwen Xueqixingzhipian are located left side and right side of human body respectively, and this knowledge derives from an accurate anatomical awareness of the locations of liver and spleen. Although such anatomical awareness found in Taisu, which was published in the Sui Dynasty, was unable to influence the 10th century Oh Dynasty's Yanluozi Neijingtu, it was gradually revised in Northern Song Period's Qixifan Wuzangtu and Cunzhentu through autopsies. However, the Theory of Five Elements which described as seen in the other chapters in Neijing or Tang Dynasty Wang Bing's annotation that liver is located at the left side of human body and spleen at the center exerted an immense influence over the subsequent generations' future doctors. Even though Taisu disappeared in Korea and China at the end of Southern Song period, the accurate anatomical knowledge with regards to the locations of viscera and entrails were passed down through medical texts such as Ming Dynasty's Yixuerumen. Conclusions : Suwen Xueqixingzhipian's awareness on the anatomical locations of liver and spleen only continued until the end of Southern Song period through Taisu. Because of this, it's anatomical awareness did not have a chance to gain much following like the Theory of Five Elements' point of view that were introduced in Wang Bing's annotations.

한국사 최초의 망원경 I. 정두원(鄭斗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 (The First Telescope in the Korean History I. Translation of Jeong's Report)

  • 안상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37-266
    • /
    • 2009
  • 1631년에 명(明)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정두원은 산둥(산동(山東)) 반도의 덩저우(등주(登州))에서 예수회 선교사인 조앙 로드리게스를 만났다. 로드리게스는 정두원에게 많은 다수의 서양 문물을 전해주었다. 정두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는 이 사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헌은 고전 한문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어로 역주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이전 연구자들이 오해한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바로 잡았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정두원이 받아온 것은, 중국어로 저술된 서양 서적 네 권, 명(明) 조정에 홍이포(紅夷砲)를 바친 경위에 대한 보고서, 망원경, 수발총, 폴리오트식 기계 시계, 마테오 리치가 그린 세계지도, 천문도, 해시계 등이었다. 우리는 이 물품들이 한국 과학기술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특히 정두원의 서양 문물 전래는 한국 천문학사에서도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가 가져온 망원경이 한국사상 최초의 망원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의 임금과 관리들은 망원경, 홍이포, 신식 조총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군사적으로 유용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를 재빨리 수용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지 못했다.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과학기술사의 일반적인 역사에 비추어 보아 그 까닭을 재고해보려한다.

윤초창(尹草窓)의 생애(生涯)와 초창결(草窓訣)에 관(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fe of Yoon Cho Chang(尹草窓) and Cho-Chang-Kyeul(草窓訣))

  • 김준태;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6권
    • /
    • pp.189-227
    • /
    • 1993
  • I have studied life of Yoon-Dong-Li(尹東里), who applied Un-Ki(運氣) theory to medicine during Suk-Jong(肅宗) to Joong-Jo(正祖) in Yi-Dynasty and also studied his existing writings named ${\ll}$Cho-Chang-kyeol${\gg}$ (草窓訣). The referenced original work prints were based on 1980's print of Chung-Ku oriental medical society and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The academy a korean studies possessed print. Studied with these books, I have concluded as follows. 1. Yoon-Dong-Li(尹東里) courtesy name is Ja-Mi(子美), pen name is Cho-Chang(草窓). He was born in 1705, Suk-Jong(肅宗) 31yrs, and died in 1784, Jeong-Jo(正祖) 8yrs in Yi-Dynasty. He had lineage of third-generationed-doctor and learned medicine from his uncle, Yoon-Woo-Kyo(尹雨敎). His father Yoon-Yi-Kyo(尹이敎) gaved him second influence. 2. Confucianal physician in Ming Dynasty You-Bu(劉溥) respected Ju-Ryeom-Kye(周溓溪), confucianist in Song-Dynasty and You-Bu(劉溥) does not removed grass in front of window (because in chinese, Cho-Charig(草窓) means grass in front of window), and named himself Cho-Chang(草窓). Yoon-Dong-Li(尹東里) followed this suit so called himself Cho-Chang (草窓). 3. The main contents of ${\ll}$Cho-Chang-Kyeol${\gg}$ (草窓訣), (運氣衍論) was written in 1725, when Yoon-Dong-Li(尹東里) was 21yrs old and printed in 1736. The other part of ${\ll}$Cho-Chang-Kyeol${\gg}$ (草窓訣), (用藥篇) was written in 1746. These two parts were not written in the satre time. The (運氣衍論) was written llyears earlier than (用藥). Two parts were combined another day and named (草窓訣). 4. Existing ${\ll}$Cho-Chang-Kyeol${\gg}$ (草窓訣) is transcribed printing with the con tent of "Five elements motion and the six kind of natural factors theory" (五運六氣設). Each edition is generally similar in content, but also has different points each other so naw we hardly finds a complete set of works. 5. ${\ll}$Cho-Chang-Kyeol${\gg}$ (草窓訣) is a first technical book which treats of Un-Ki(運氣) theory in korea. 6. The contents of (運氣衍論) of ${\ll}$Cho-Chang-Kyeol${\gg}$ (草窓訣) is mechanism of diease according to excess and insuffciency of five elements motion and six kinds of nalural faclors.and symploms and priscriptions, includes variated priscriptions. 7. Two parts in (運氣衍論) of ${\ll}$Cho-Chang-Kyeol${\gg}$ (草窓訣), 'Sang-tong' (相通) and 'Kak-Tong' (各通), threats of mochanisim of the disease according to five elements. with the principle of inter-promoting and inter-acting, in the change of ten heavenly stems and five elements motion. 8. In the (用藥篇) of ${\ll}$Cho-Chang-Kyeol${\gg}$ (草窓訣) describes priscrip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according to Un-Ki(運氣) and also records about misuse of medicine. 9. In the ${\ll}$Cho-Chang-Kyeol${\gg}$ (草窓訣), most of priscription are common using one, which also found in ${\ll}$Dong-$\breve{U}$i-Bo-Garm${\gg}$ (東醫寶鑑) and there are few of priscriptions hy Yoon-Dong-Li(尹東里).

  • PDF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과 배치형식 고찰 (Study on Picture Image and Change of the Four Devas of Sakyamuni Buddha painting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김경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4-23
    • /
    • 2015
  • 그린 불화에서는 조선 전반기에 다문천(多聞天)이 드는 지물에 변화가 생긴다. 고려시대까지 부처의 오른편에서 탑(塔)을 든 다문천왕은 조선 전반기에 들어와 비파(琵琶)를 드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원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1330~1336년)" 변상도에서 확인된다. 불화에서 다문천이 드는 탑이 몽구스(보서(寶鼠))로 변하는 지물의 변화는 티베트 사찰인 철방사(哲蚌寺), 오둔사(吳屯寺), 백거사(白居寺)에서 처음 벽화로 나타난다. 조선에서도 원각사지십층석탑 1층 탑신 〈석가설법도〉에서 지물의 변화를 보이는 새로운 배치의 사천왕이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탑과 비파를 든 사천왕의 위치는 좌우가 혼용되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티베트계 사천왕의 영향으로 대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티베트계 사찰벽화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이전의 중국 내륙에서 나타나는 사천왕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티베트계 사찰에서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파악하고, 조선 전기에 나타나는 사천왕 도상이 티베트계에서 연원을 가지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사천왕상의 지물과 위치가 새로운 도상이 확산되는 현상과 더불어 일정기간의 도상 혼용 현상에 대해 그 원인과 이유를 당시 유통되었을 판본을 중심으로 찾고자 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묘법연화경경변상도(명 1432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사천왕 도상과 "제불세존여래보살존자명칭가곡(1417년)"의 사천왕 도상은 다른 형식을 보여 준다. 이것은 주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하는 경전임에도 서로 다른 판본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다. 그러므로, 조선 전반기 불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사천왕의 지물이 다른 두 가지 판본의 경변상도에 의해 도상의 정형이 확보되지 않은 과도기의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티베트불교미술이 중국 내륙에 전파되면서 전통적인 중국 사천왕도상과 티베트계 도상의 혼용이 명대 지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전환기 미술이 조선 전기에 유입된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조선 전반기 사천왕의 다양한 도상 현황은 일괄적인 도상이 정착된 시기가 아닌 다양성을 보여주는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 하겠다.

오우가(吳又可) 온역학설(溫疫學說)의 병인관(病因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tiology of Wu You-ke(吳又可)'s Epidemic(溫疫) Theory)

  • 은석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1-265
    • /
    • 2007
  •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etiology in Wu Youke's wenyi theory. In regard to the etiology of epidemic disease that had been spread on a very large scale at that time, Wu Youke denied the traditional theory which urged the irregular change of climate as the cause of epidemic disease, and proposed the concept of 'zaqi' which was considered by him to be something that could be the real cause of epidemic disease. And He treated the wenyi disease as something that has the same meaning with wenbing, so his concept on wenbing was basically the thing that treats 'zaqi' as the fundamental cause of wenbing and treats the concept of 'wen(溫)' as an environmental cause that could help activate the virulence of 'zaqi'. Such concept like this was the thing somewhat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etiological theory that considers the change of climate as the principal cause of waigan(外感)-disease, and it must for the most part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experience of Wu Youke himself. But this study, in contrast, based on the thing he denied the traditional theory on the irregular change of climate, has been done in the point of view that fundamental concept of his wenyi theory such as 'zaqi' was not only originated from his clinical experience but also from the influence of paradigm shift in the natural philosophy of that time. There had been so much change in cosmology and natural philosophy from the fundamental basis at that time, and the the most principal concept of it was that there always exists irregular faces in the change of nature. Such concept like this got into its stride from about 17th century, and it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severe criticism against the traditional natural philosophy. In regard to this, this study has outlined the academic thought of the leading scholars who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such a paradigm shift, and it includes the scholars like Wang Tingxiang, Wang Fuzhi, Hu Wei, Huang Zongxi, who played their role in the time of the latter period of Ming dynasty and the former period of Qing dynas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