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검색결과 4,296건 처리시간 0.027초

Understanding the Estim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Earth by of Eratosthenes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 Oh, Jun-Young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25
    • /
    • 2017
  • 지구크기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측정은 기원전 230년, 헬레니즘의 과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 (276-195 B.C.)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 수학적 추상화는 유럽의 고대 그리스인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그 당시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태양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태양광선이 평행하게 지구에 입사한다는 전제를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기법의 에라토스테네스의 과학적 방법의 성공이었다. 중요한 것은 간단한 수학적 비례식을 성립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둥글고, 광선이 지구에 나란하게 들어온다는 가정이 필요하였다. 즉 천상으로부터 지상으로 유클리드 기학학이 연결된다는 내용이다. 그것은 최초로 태양중심을 주장한 아리스타쿠스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인 우주는 아름답고 우아하다는 사상에 기반을 두어 지구는 구처럼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가정들을 현대가 아닌 그 당시 어떻게 정당화 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의 미적 관점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의 중요한 특징은 단순성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Fossil Plants from the Early Cretaceous Hasandong Formation ofChilgok Area, Korea

  • Kim, Jong-Heon;Nam, Kye-Soo;Lee, Seong-Bok;Jeon, Yeong-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95-308
    • /
    • 2016
  • Nine species of fossil plant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new material collected from the Hasandong Formation. They are as follows: Thallites yabei, Onychiopsis elongata, Cladophlebis denticulata, C. shinshuensis, C. (Eboracia ?) lobifolia, C. (Klukia ?) koraiensis, Brachyphyllum japonicum, Elatocladus tennerima, and Taeniopteris ? sp. cf. T. auriculata.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Hasandong flora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Nakdong flora. This means that both floras might have flourished under subtropical warm arid climate. This flora contains both the Tetori-type and Ryoseki-type floras. It is considered that the Hasandong flora is a member of the Mixed-type floras that existed in eastern Eurasia during the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time.

과학 영재들의 성별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n Problem Solving of Earth Science Area by Science Gifted Children's Gender)

  • 박병태;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61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problem solving process to earth science area by elementary science gifted children, which compar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s and problem solving to earth science area by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analyzed results showed difference by gender that in the science study level at the time of entrance to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male students was the highest in the middle school as 37.5%, and female students in the elementary 6th grade as 61.5%. And male students were investigated to do more precedent study than female students. Secondly,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earth science related problems, males made most use of problem solving process area(30.3%), and females symbolizing (27.5%) area. Thirdly, comparison of reasoning technology in problem solving process by gender indicated that both sexes made the most use of analytical reasoning (male 62.0%, female 53.6%) to solve problems.

  • PDF

Graptolites from the Jigunsan Shale of Taebaeg Area, Korea

  • Kim Jeong Yul;Kwon Ji Yeun;Kim Kyung-Soo;Cho Hyun Su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8
    • /
    • 2005
  • Five species of graptolites were discovered from the Jigunsan Shale of Taebaeg area, Korea. They are herein described as Archiclimacograptus riddellensis (Harris, 1924), Pseudamplexograptus distichus(Eichwald, 1840), Hustedograptus teretiusculus(Hisinger) sensu Jaanusson, 1960, Hustedograptus vikarbyensis (Jaanusson, 1960), and Hustedograptus sp. The graptolite assemblage from the Jigunsan Shale corresponds to those of the Pseudamplexograptus distichus zone in the Baltic and German areas and the geologic age of graptolites bearing beds of the Jigunsan Shale might be late Middle Llanvirn.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지식과 개발 절차가 교수학습 자료에 미치는 영향: 교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Development Procedure to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Focu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Schoolyard)

  • 정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0-151
    • /
    • 2011
  •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 교수학습자료의 문제점과 개발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지구과학전공)에 재학 중인 54명(남자 18명, 여자 36명)으로부터 258개의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교정 교수학습자료는 개발하는 절차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교정 탐색 우선형은 이미 형성된 선행 지식 범위 내에서 자료를 개발하기 때문에 이들이 개발한 자료는 교육과정의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비해 개념 탐색 우선형은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접근하지 못한 영역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올바른 선행 지식을 형성하지 못한 예비 지구 과학교사들은 잘못된 소재를 선택할 뿐 아니라 개념 연결에서도 오류를 범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질현상에 대한 과학개념을 형성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생성과정을 무시하고 소재의 형태만을 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질조사 및 고체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구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충실히 반영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지질학적 내용지식, 야외 교수학습 전략, 자료개발 절차 등이 하나의 통합적인 개념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