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검색결과 4,762건 처리시간 0.035초

화살나무 날개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uonymus alatus (Thunb.) Sieb. wing extracts)

  • 민혜지;김두현;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58-36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 날개를 이용하여 물, 에탄올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화살나무 날개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 결과에서는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positive control과 유사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에서는 모든 군의 1,0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환원력과 hydrogen peroxide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에서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은 positive control과 비슷하거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화살나무 날개 추출물 내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867.8 mg% 및 551.7 mg%로 물 및 메탄올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높은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확인되었다. 화살나무 날개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흑색종 피부암(B16)에서는 큰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유방암(MDA-MB-231), 대장암(HT-29) 및 전립선암(LNCaP)에서는 유의적인 세포 생존 억제능을 확인하였고 특히 LNCaP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9.1%의 세포 생존율을 보이며 가장 우수한 세포 성장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립선 정상 세포인 RWPE-1을 화살나무 날개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암세포 특이적인 성장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풍부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진 화살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α- glucosidase 억제, 항암 효과를 나타내어 뛰어난 생리활성효능을 가지고 있고, 이는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 기능성 원료 및 식품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Sex Differences in Autism-Like Behavioral Phenotypes and Postsynaptic Receptors Expression in the Prefrontal Cortex of TERT Transgenic Mice

  • Kim, Ki Chan;Cho, Kyu Suk;Yang, Sung Min;Gonzales, Edson Luck;Valencia, Schley;Eun, Pyeong Hwa;Choi, Chang Soon;Mabunga, Darine Froy;Kim, Ji-Woon;Noh, Judy Kyoungju;Kim, Hee Jin;Jeon, Se Jin;Han, Seol-Heui;Bahn, Geon Ho;Shin, Chan 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4호
    • /
    • pp.374-382
    • /
    • 2017
  •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remains unexplained and untreated despite the high attention of research in recent years. Aside from its various characteristics is the baffling male preponderance over the female population. Using a validated animal model of ASD which is the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overexpressing mice (TERT-tg), we conducted ASD-related behavioral assessments and protein expression experiments to mark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s of this animal model. After statistically analyzing the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effects of TERT overexpression in sociability, social novelty preference, anxiety, nest building, and electroseizure threshold in the males but not their female littermates. Along these differences are the male-specific increased expressions of postsynaptic proteins which are the NMDA and AMPA receptors in the prefrontal cortex. The vGluT1 presynaptic proteins, but not GAD, were upregulated in both sexes of TERT-tg mice, although it is more significantly pronounced in the male group. Here, we confirmed that the behavioral effect of TERT overexpression in mice was male-specific, suggesting that the aberration of this gene and its downstream pathways preferentially affect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male brain, consistent with the male preponderance in ASD.

여름철 산란기에 있어 바지락 번식량의 공간적 변이와 기생 원생생물 Perkinsus olseni 감염이 바지락 번식에 미치는 영향 (Spatial Variation in the Reproductive Effort of Mani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during Spawning and Effects of the Protozoan Parasite Perkinsus olseni Infection on the Reproductive Effort)

  • 강현실;홍현기;양현성;박경일;이택견;김영옥;최광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49-5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의 성 성숙이 활발한 봄철에 경기만 선재도, 전북 곰소만, 및 남해 완도 등, 연중 수온 분포가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바지락 채집하여 P. olseni 감염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바지락의 산란은 연중 수온이 곰소나 선재도보다 높은 완도 바지락이 서해안 곰소 및 선재도 바지락보다 빠른 성 성숙 및 산란 활동을 보였다. P. olseni 감염이 바지락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감염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세 배 이상 높은 완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완도 바지락은 여포 크기, 여포 내 성숙 난의 수 및 번식량 등이 타 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P. olseni 감염은 폐사 이외에도 다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번식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투여가 임신랫드의 황체및 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ogenous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HCG) on the Corpus Luteum and Fetus in Pregnant Rats)

  • 김영홍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119-127
    • /
    • 1990
  • 임신랫드에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을 투여한 후 모체의 황체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랫드에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제제인 Profasai 1000(Serona, Switzland) 50 또는 100IU를 임신 4, 8, 12 또는 16일에 각각 투여한 후 임신20일에 부검하여 태아와 모체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체는 모든 대조군과 HCG투여군에서 그 수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고 임신8일의 경우에 그 수가 비교적 감소되었다. 2. 태아의 흡수는 임신 4, 8및 12일의 HCG투여군과 임신 12일의 대조군에서 나타났지만 임신4일의 경우가 발생빈도가 현저하게 높았고 임신 12일의 경우는 매우 낮았다. 3. 태아의 체중은 임신4일에 50IU의 HCG투여군에서만 감소되었다. 4. 태아의 골격검사에서 기형발생과 골화의 이상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변이는 인정되었다. 변이는 14번늑골만 인정되었으며, 임신 4, 8 그리고 12일의 HCG투여군과 임신8일과 16일의 대조군에서 다양하게(5.26~8.33%) 나타났다. 5. 임신랫드에 HCG를 투여하면 태아의 흡수가 나타날 수 있지만 골격형성 과정에서 반드시 변이가 발생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PDF

염생식물 해홍나물의 항톡소포자충 효과 (Anti-Toxoplasmosis Effect of the Halophyte Suaeda maritime)

  • 홍선화;이현아;이윤성;김동우;정재혁;김태완;김옥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15-420
    • /
    • 2014
  • 임상적으로 감염 시 치명적인 뇌염이나 유산을 일으키는 병원체인 톡소포자충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설파디아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약물들은 부작용과 약물 내성에 의한 치료 실패 사례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톡소포자충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합성 화학약물들에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들을 원료로 한 톡소포자충의 치료가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약용 작물로서 보존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염생식물인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톡소플라즈마 원충에 대한 항원충 효과를 알아 보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톡소포자충의 치료제로 임상에서 실제 톡소포자충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설파다이아진의 선택성 2.06 보다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선택성이 6.63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이 용량 의존적으로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HeLa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세포에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감염 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해홍나물 에탄올 추출물의 적용 농도가 높아질수록 톡소포자충 감염에 의한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해홍나물은 향후 톡소포자충 치료에 합성 약물인 설파다이아진을 대체할 수 있는 내성이 없는 천연물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Glycerol과 EthyleneGlycol이 동결 융해 후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on Post-Thawed Sperm Function in Jeju Horse)

  • 오신애;고민희;고문석;이종언;박용상;강태영;고재형;조원모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99-2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에 있어 실험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 ($39.85%{\pm}11.41$)을 나타냈으나, 5% glycerol 처리구 ($18.08%{\pm}1.61$)와의 비교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정자막 온전성에 있어서도 8% glycerol 처리구만이 $34.13%{\pm}11.02$로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판 건강문해력 측정도구(HLS-EU-Q47) 개발 및 노인 대상 적용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 (HLS-EU-Q47) and Applied to the Elderly)

  • 한희원;박성지;강지숙;문경숙;김지희;황종남;오종묵;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65-80
    • /
    • 2021
  • 목적 : 건강정보에 대한 이해·적용·판단·접근에 기반한 건강문해력의 개념을 다루고 있는 HLS-EU-Q47의 한국판을 개발하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적용하여 국내 노인들의 포괄적인 건강문해력 수준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HLS-EU-Q47의 번안 과정을 거쳐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Korean-HLS-EU-Q47(K-HLS-EU-Q47)을 지역사회 노인 254명을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신뢰도 분석과 일반적 변인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노인들을 대상으로한 본 도구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𝛼 .81~.91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교 성별과 연령에 따른 건강문해력의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이 여성에 비해 건강문해력이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문해력의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노인의 포괄적인 건강문해력 수준을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K-HLS-EU-Q47을 소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한 노인들의 건강문해력 수준의 이해를 통하여 노인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들의 모색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한 Choline Esters의 $pD_2$ ($pD_2$ Value of Choline Esters on Motility of Isolated Rabbit Jejunum Segment)

  • 박준형;김영환;김길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231-235
    • /
    • 1989
  • Choline과 choline esters인 acetylcholine, methacholine, carbachol, bethanechol이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미치는 영향과 각 약물의 $pD_2$값을 산출하여 각각 비교를 하였다. 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2}M$이었으며 $ED_{50}$$2.4{\times}10^{-3}M$이었고 $pD_2$값은 2.619이었다. Acetyl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4}M$이었으며 $10^{-9}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0.5{\times}10^{-5}M$이었고 $pD_2$값은 5.154이었다. Methacholine은 최대유효농도가 $10^{-5}M$이었으며 $10^{-9}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9{\times}10^{-5}M$이었고 $pD_2$값은 6.045이었다. Carba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10^{-5}M$이었으며 $10^{-11}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5.7{\times}10^{-7}M$이었고 $pD_2$값은 6.244이었다. Bethanechol은 최대유효농도가 $10^{-4}M$이었으며 $10^{-8}M$에서는 거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ED_{50}$$3.3{\times}10^{-6}M$이었고 $pD_2$값은 5.480이었다. Choline esters는 토끼의 적출장관 운동에 대하여 수축을 일으켰으며 각 약물의 potency의 순서는 carbacho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methacholine, bethanechol, acetylcholine, choline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게르마늄 시용에 따른 녹두 생육 및 부위별 Ge 함량 변화 (Effects of Germanium(Ge) on Growth, Yield and Ge Content of Mungbean)

  • 김동관;천상욱;정선요;이경동;김관수;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80-386
    • /
    • 2007
  • 본 연구는 게르마늄 함유 녹두 생산을 위해 게르마늄의 효과적인 처리방법과 이행특성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액상 게르마늄(7 mg/l) 개화기 엽면살포구 1, 2차 수확 종실의 게르마늄 함량은 각각 38.7, $14.1{\mu}g/kg$로 입상 게르마늄(7 mg/kg)을 기비와 함께 시용하는 것보다 각각 2.5, 2.3배 많다. 2. 게르마늄 3.5, 7, 14, 28 mg/l 를 개화기 엽면살포구 1, 2차 수확 종실의 게르마늄 함량은 각각 $14.9{\sim}77.8{\mu}g/kg,\;6.9{\sim}26.7{\mu}g/kg$로 엽면살포 농도에 비례하여 많았으나 1차 수확 종실이 2차 수확 종실에 비해 $2.2{\sim}4.1$배 많다. 반면에 무처리구 1, 2차 수확 종실의 게르마늄 함량은 각각 1.9, $3.2{\mu}g/kg$이었다. 3. 게르마늄 7 mg/l를 2회나 3회 엽면살포시 $1{\sim}3$차 수확 종실의 게르마늄 함량은 $20{\mu}g/kg$ 이상으로 일정 수준의 게르마늄 축적이 가능하였다. 4. 게르마늄 $96{\mu}g/kg$이 함유된 녹두 종실에서 자엽의 게르마늄 함량은 $138{\mu}g/kg$으로 종피보다 단위 중량당 79% 많았다. 5. 본 연구에 이용된 게르마늄의 제형, 엽면살포 농도 및 횟수에 따른 녹두 생육과 수량은 유의차가 없다.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에서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일상생활훈련 개선방안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t a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 송영진;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3호
    • /
    • pp.35-45
    • /
    • 2018
  • 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내 작업치료사 및 환자들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시범사업 안에서의 작업치료가 환자들의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적절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전국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 환자군의 응답을 허가한 8개 기관의 환자 296명의 응답지를 대상으로 설문분석 하였다. 치료사용 설문에는 일상생활활동 관련 평가도구 및 적용하는 중재에 관한 항목들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용 설문에는 퇴원 후 직업복귀 여부 및 이를 위한 희망 중재 활동을 묻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재활운영 지정운영 시범사업'이 환자들의 빠른 사회복귀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가이며 치료적 목표인 일상생활활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의료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본 시범사업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직업재활을 위한 평가 및 중재의 기반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시범사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불필요한 사회적 지출 감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