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Joseon Dynasty

검색결과 1,526건 처리시간 0.031초

조지 포크가 경험한 1884년 조선의 음식문화 (Joseon Dynasty's Food Culture Experienced by George C. Foulk in 1884)

  • 박채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7-142
    • /
    • 2020
  • This research is the first known to introduce and analyze food-related content among the records left by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 a naval attache dispatched as part of a U.S. delegation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ketches and memos by Foulk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types of foods, table composition, and intervals between serving the nine rounds of food from the rural government office, which Foulk ate during his local trip, h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tarter ('preliminary table' or 'hors d'œuvre') before the main table and that it was served before the main dish.

조선 허리띠와 패물(佩物)의 원류에 대한 연구 (Study on Origin of Belt and Trinkets of the Joseon Dynasty)

  • 이영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05-917
    • /
    • 2014
  • This study clarifies that Scytian waistband had flowed into the Jeoseon Dynasty, and it was settled down to saezodae(which is male belt) and norigae(which is female accessory) and pocket in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 records and relic materials are examined and analyzed by quality assessment. 5 experts performs sensory evaluation for 17 pictures of Scytian waistband, and 42 of norigae, 24 of pocket, 6 of small knife, 11 of belt in the Joseon Dynasty, and finally similarity in form and purpose of use between both of them are come out.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ytian waistband made with leather and metal was carried in the girdle. Men in the Joseon Dynasty carried various forms of belts as position and jobs such as saezodae, kwangdahae, dongdahae, doa. Trinkets of hopae, jangdo, pocket, etc. are put on belt or separately attached. Belt was not put on the women dress, but more various trinkets were used than those on men dress. Norigae, pocket, and jangdo were used practically and decoratively. Second, The types of Scytian waistband were excavated from the tumulus in the age of three states in Korea, and their form and function are same. Belt of the Joseon Dynasty carried below their chest and up navel, of which the wearing position went upper than before. As women jeogori was shorter, their belt is not necessary and various trinkets were put in their skirt. Finally, this study conclude that Korean traditional belt and trinkets come down from Scythian waistband.

조선시기 궁궐건축 꺾음부의 구조와 그 변화 -맞배직교형에서 팔작직교형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Transition of Corner-connections of Palace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 -From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to Hipped and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 김버들;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5권6호
    • /
    • pp.61-72
    • /
    • 2016
  • This study is about the structure and transition of orthogonal design of palace architectures in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corridors, and their architectures seen in the Court Documentary Paintings have early Joseon style in the corner-connections. Their roof shape in the corner is gable roof. Generally, gable roof has direction. Besides, it is easy to extend gable sides. Second, Corridor of Gyeongbokgung Palace has hipped and gable roofs with corner eaves. It was popula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it is impossible to extend any sides of those roofs since they have roof faces in their four sides. Instead, they have completeness. That's why their aesthetic appeal exhibits more pleasing than gable roofs. Third, corner-connections of palace architecture shows evidences and traces of the transition from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in the early Joseon to hipped and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with corner eaves in the late Joseon. Also, the corner-connections with corner eaves were usually used even in the attached architectures.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泮水)의 연원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Bansu at Sunggyungwan in Joseon Dynasty)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238-261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균관을 끼고 도는 물인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에서 학교 조경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 반수는 반궁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묘학의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 성균관 반수의 개념은 학교 동서로 물이 흐르고 남쪽에서 합류되는 물길을 말하며, 성균관은 국초에 개성 성균관의 공간구성을 답습하여 이러한 지세가 있는 곳에 입지되었다. 또한 고려시대의 반수제도는 송대의 반수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것은 묘학 내부에 반원형의 반지를 조성하는 명 청시대 이후 정형화된 중국의 전범과는 달리, 조선시대 성균관이 묘학 외부의 수계를 반수로 이용하게 된 원인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의 반수 조영관은 몇몇 향교와 서원의 택지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건으로 고려되었던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선시대 창건된 향교와 서원에서 학교 둘레를 흐르는 물길은 반수 조영관에 입각하여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속 수산물 현황과 가공식품 특성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Marine Products and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Products Seafood in Joseon - via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data -)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6-38
    • /
    • 2022
  • This study used the big data method to analyze the chronological frequency of seafood appearance and variety mentioned by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e finding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Joseon Period's food cultural research. The web-crawling method was used to digitally scrap from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of Joseon's first to the twenty-seventh king. A total of 9,536 cases indicated the appearance of seafood out of the 384,582 articles. Seafood were termed "seafood" as a collective noun 107 times (1.12%), 27 types of fish 8,372 times (87.79%), 3 types of mollusca (1.28%), 18 types of shellfish 213 times (2.23%), 6 types of crustacean 188 times (1.97%), 9 types of seaweed 534 times (5.60%). Fish appeared most frequently out of all the recorded seafood. Sea fish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the freshwater fish. Kings that showed the most Strong Interest Inventory (SII) were: Sungjong from the 15thcentury, Sehjo from the 15th, Youngjo from the 18th, Sehjong from the 15th, and Jungjo from the 18th respectively. Kings of Chosen were most interested in seafood in the 15th and 18th centuries.

조선시대(朝鮮時代) 철종(哲宗)의 질병(疾病)에 관한 고찰 - 『일성록(日省錄)』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isease of King Cheoljong in the Joseon Dynasty)

  • 이해웅;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27
    • /
    • 2012
  • King Cheoljong was the twenty-fifth King in the Joseon Dynasty. He did not live a comfortable royal life in his childhood. He succeeded to the crown in the age of 19 after a series of poor days in Ganghwado. During his sovereignty over the territory, the noble class with power interfered with his control in almost every issue, so he could not manage his authority as a ruler. His disease history is hardly included in "Form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which is the prime governmental document, however, some of his disease history appear in "Records of the Diaries of the Kings of Joseon(日省錄)". The primary disease of King Cheoljong was nausea-vomiting, indigestion, diarrhea etc. caused by spleen-stomach weakness. Another main illness was phlegm syndrome. He showed symptoms of coughs, asthma, sputum, and he easily caught cold having a weak health condition. He died at 33 and cause of death was unclear with remaining documents. Just small chances are that the cause was lung tuberculosis. He took a large amount of herbal medicine in his life, which was for curing or toning up his body. Tonifying medicinal herbs were used continuously, and curing herbal medicine was used for spleen-stomach weakness, phlegm syndrome and cold treatment. Treatments of acupuncture and moxa rarely appear in the documents.

조선왕릉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의 도상(圖像) 원류와 전개 과정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Iconography of the Twelve Zodiac Signs of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 김지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4호
    • /
    • pp.198-221
    • /
    • 2009
  • 조선왕릉은 조선왕조의 역사, 이념, 문화, 미술, 건축, 제례 등이 종합적으로 융합되어 만들어진 결정체이며, 500년 왕조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산물로서 그 상징적 의의가 매우 크다. 왕릉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 중에서도 특히 능침 주변에 배치된 석물들은 능침을 수호하는 상징적 기능으로서 중요한 요소였으며, 그 중에서도 봉분 가장 가까이에 표현된 십이지는 그 기능의 가장 중심에 놓여져 있는 대상물이었다. 통일신라시대 능묘에서부터 시작된 십이지신상은 전해지는 규모나 뛰어난 조각수법으로 미루어 능묘 축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차지했었음이 확실하나,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왕릉에 이르러서는 규모나 형태에서 매우 간소화된 경향을 띠게 되면서 다른 석물들에 비견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십이지신상은 무덤을 수호하는 역할과 방위의 개념으로서 능묘를 장식했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으며, 시대별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나타나며, 조선왕릉까지 그 전통성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역사성과 상징성은 간과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조선왕릉에 표현된 십이지 도상(圖像)을 크게 3가지로 형식 분류하여 그 원류와 시기별 전개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십이지 도상은 사람의 몸과 얼굴을 표현한 인신인수형(人身人首形), 관에 십이지 동물을 표현한 인신인수관형(人身人首冠形), 십이지와 십간 팔괘의 혼합 문자형으로 분류된다. 조선왕릉의 이 3가지 십이지 도상은 그 원류를 중국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조선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 교체되면서 왕릉을 장식하는 주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애용된다. 조선왕릉 십이지신상은 통일신라 이래 이어온 우리나라 능제의 고유성과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산 증거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조선시대 기생(妓生)의 존재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Existence of Courtes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 조하나;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33-841
    • /
    • 2021
  •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여악(女樂)을 담당한 예능인이었으나, 사대부(士大夫)의 '성(性)적 상대'로 인식되었던 기생(妓生)의 존재 양상과 그들의 존재가 가능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의 사회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는 사대부와 기생의 관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드러내고자 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으며, 기생의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유교사회에서 여성들이 주축이 된 내연과 친잠례 등에 남자 악공들이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여악은 조선조 말까지 존속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여악은 전문예인이었다는 존재성을 드러내기에 충분하였다. 기생의 존재 양상은 조선시대 사회적 배경과 결코 무관하지 않으며, 따라서 현대사회의 성모랄로 조선시대를 규정지을 수 없다. 『녹파잡기』는 기생을 색정적인 기준에서 묘사하기보다는 비범하고 고결한 정신을 소유한 예능인의 시각에서 보고 있다는 해석에 힘입어, 예인으로서의 기생의 면모를 한층 드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유지(油紙) 관련 고문헌 고찰 - 조선시대 문헌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Oiled Paper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 신효영;최태호;정선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94-210
    • /
    • 2013
  • 유지(油紙)는 선조들이 사용했던 생활필수품으로 종이에 기름을 먹인 전통적인 가공지이다. 그러나 현재 유지(油紙)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유지의 문헌사적 연구를 통해 유지의 기원과 명칭, 용도, 제작기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문헌으로 확인된 유지의 기원은 "고려도경(高麗圖經)", "고려사(高麗史)"의 내용을 통해 고려시대로 추정하였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타난 기름과 종이의 기록으로 보아 7세기경부터 유지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조선시대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기록을 통해 유지의 명칭과 사용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의궤류와 "탁지준절(度支準折)" 등 기타 여러 분야의 고문헌 내용을 바탕으로 절가와 용도, 제작재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선시대의 문헌 조사결과 유지는 방수, 방습,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각종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용도와 제작과정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유지 관련 문헌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전통 유지 복원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현재 남아 있는 유지 유물조사연구와 전통 유지 샘플 제작 실험, 또한 유지를 제작하고 있는 장인들에 대한 사례 조사가 병행되어 전통 유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초기(朝鮮初期) 요선첩리(腰線帖裏) 재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Yoseon-Cheobli (腰線帖裵)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 김진홍;조우현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02-115
    • /
    • 2011
  • This study is about reproduction of Yoseon-Cheobli excavated from Byun-su tomb in earlier Joseon Dynasty. There are three Yoseon-Cheobli in Byun-su tomb. The producing process is made in concrete by suggest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lothing.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frequently recorded one, was reproduced by dying fabric with safflower and indigo plant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ir specific size, sewing method and construction, it have been produc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vealing that collar to be half-square and to compose the line in the center of collar. The width of the collar is 11.6 12.1cm. Second, the 21~22 pairs of waist lines that are 13~14cm in width fixed at intervals of 0.3cm. The method of making waist lines is twisting either fabrics or silk threads. Third, fine gathering around the part of the waist of skirt, and the size of fold surface is 0.2cm. Sewing method needs running stitch and backstitch. As the result of producing the cloth, it became to possess more ornamental features after transformation suitable to the new environment while the same remained functional features for everyday life such as a dressing shape, length of the bodice and curvy completion line of a collar s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