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4.833

A study on the Existence of Courtes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Cho, Ha-Na (한양대에리카 무용예술학과)
Kim, Mi-Young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an entertainer who was in charge of female music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existence of gisaengs, who were recognized as'sexual partners' of the four grandfathers, and the Joseon Dynasty, when their existence was possible. I tried to reveal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refore,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ndfather and the gisaeng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various social roles of the gisaeng. In the Confucian society, female musicians were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Naeyeon and Chinjamrye, where women were the main pillars, so not only could the girl's music survive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ut it was enough to reveal the existence of a professional artist. The existence of gisaengs is not irrelevant to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efine the Joseon Dynasty with the holy morality of modern society. It is believed that 『catching green onions is expected to enhance the aspect of a gisaeng as a celebrit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it i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entertainer possessing an extraordinary and noble spirit rather than portraying the gisaeng in an erotic standard.
Keywords
he Joseon Dynasty Gisaeng; Girls' Music; Gisaeng's Existence Patterns; Anecdotes of the Gisaeng; the Relationship between Gisaeng and the Gisaeng; a Gisae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세종실록, 124권 31년 4월 14일 (계해)
2 최미정, "직업을 가진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연구방법 고찰-기녀의 직업의식을 중심으로,"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6권, pp.12, 2003.
3 에두아르트 푹스, 이기웅.박종만 역, 풍속의 역사 I, 까치글방, 2003.
4 황수연, "기녀 全不關의 자의식, '守節' -서사 한시, 전, 야담의 대비적 고찰을 통하여," 열상고전연구회 제16집, p.8, 2002.
5 전통예술원, 조선후기 문집의 음악사료, 민속원, 2002.
6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99.
7 김동욱,"李朝妓女史序說(사대부와 기녀)," 아세아 여성연구 5, 숙명여대아세아연구소, 1972.
8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 연구, 민속원, 2003.(1)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CD, 동방미디어.
9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月印, 2000.
10 황수연,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18세기 기녀 대상 한시, 열상고전연구회, 2000.
11 세종실록, 25년 9월 16일 (정묘)
12 세종실록, 16년 12월 13일 (병진)
13 서지영, "조선시대 기녀 섹슈얼리티와 사랑의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5권, p.8, 2002.
14 이강옥, 조선시대 일화 연구, 태학사, 1998.
15 박혜숙, 기생의 자기서사: 기생 명선 자술가와 내 사랑 백석, 민족문학사연구, 2004.
16 권태연, 조선시대 妓女의 사회적 존재양태와 섹슈얼리티 연구, 여성, 국학자료원, 2001.
17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18 이민주, 조선 후기의 패션 리더-기생, 한국민속학 39, 2004.
19 이능화, 이재곤 역, 조선해어화사, 동문선, 1992.
20 권태연, 조선시대 妓女의 사회적 존재양태와 섹슈얼리티 연구, 여성, 국학자료원, 2001.
21 태종실록, 11권 6년 3월 16일 (병오)
22 중종실록, 80권 30년 10월 18일 (병오)
23 중종실록, 10권 5년 2월 1일 (정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