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ormativenes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4초

한지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ormativeness Expressed in Korean-paper Fashion Design)

  • 정연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3-109
    • /
    • 2004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lasticity of Korean paper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after general inquiry into Korean paper and examine the aesthetic beauty of fashion design using Korean paper. It used the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data analysis together. Korea-paper fashion design, the object of actual investigation, was for Korean-paper fashion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natural, warm and soft texture seen as pureness in Korean paper enables us to elicit naturalness from liberalness. In addition, Korean paper not only has the tough characteristic of its material but also has the natural characteristic of abandoning its original nature and complying and adhering to its a given nature. Korean-paper fashion design, using this natural beauty and frank nature, bears the pure image of excluding decoration. Second, the overlapping of the surface on the surface expressed in Korean-paper fashion design forms one space with the sense of depth because of its transparency and expresses temporality through repetition. And the work of folding it with other materials and pasting them up with together demonstrates the effect of reflection because its original transparency. This effect is the specificity created in the collage technique using Korean paper and is the advantage of coming to obtain a wider freedom of expression. Korean-paper fashion design expresses transparency using this repetition and overlapping, Third, Korean paper has the simple rather than luxurious aspect. Owing to this nature, fashion design looks as if there were the greed inherent behind the work made from Korean paper though the complex technique applied to it. And it expresses the restraint of Korean paper using its original white color, the exclusion of decoration and simple design. Fourth, Korean paper is more likely to be changed by the outside influence because of formation. It has its peculiar aesthetic value and original artistry to an extent that it is regarded as one artistic work. The quality and texture of Korean paper diversely vary according to the artist's working process. Like this, Korean paper is easily fused into some object without exclusivity though it may be added to it. Korean-paper fashion design has the beauty of creation that is to create a new world because Korean paper is fused into another material due to its soft nature.

  • PDF

생활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Casual Wear Design based on the Imag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 박영선
    • 복식
    • /
    • 제55권1호
    • /
    • pp.25-42
    • /
    • 2005
  • Costume is a formative art expressed by active human unlike the field of other living formativeness, and an expression of social actions based on a style of culture in a period. Therefore, costume has a deep connection with a mode of living and is recognized as a 'culture for living', and is more characteristic culture than all metaphysical cultures including architecture, craft, painting, and sculpture. Therefore, it expresses wearer's status or social standing, and furthermore, ideas and values of the times with aesthetic features in their form, color, materials, and pattern, so it is expressed as a mirror reflecting the phases of the times as. Korean costume had been dressed until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out a great change and started to be simplified in a simple style on the grounds of inconvenience in behaviors with the opening of an interchange of Western culture in the civilized period. And, this movement had been continue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applied as an everyday dress under the name of 'Reformed Korean Costume'. Since the middle phase of 1980s, it aroused many people's interests with the introduction of designs focused on activity and convenience. In 1990's, many people had tak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ostume with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s keeping pace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perio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revitalized under the nam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nd, since the 21st century, the advanced communication and full-scaled import of Western fashion have made the introduction of many fashion information in the world into Korea, affected greatly the fashion market, led consumers' sensitivity on a trend to be increased. Therefore, a design accepting a trend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with fashions has risen. Secon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a revitalization method of domestic casual Korean costume brands by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itive and highly value-added products with connection of practicality, variety, and highly sensitive fashion styles. For theoretical study,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cademic journals, professional monthly magazines, and newspapers were examined. And, a process of change and features of the Korean fashion since the civilization period, and concept, features and images of casual Korean costume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analyzing image, features, and consumers' preferenc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 design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and 10 suits of costume were designed and made.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디지털 자화상 창작 (A Study on the Creation of Digital Self-portrait with Intertextuality)

  • 임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27-4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관람자에게 자아 인식의 문제에 천착하게 하는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는 자화상을 창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음성과 이미지 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자화상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관람자의 음성 정보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시각화되는데, 텍스트 시각화를 위한 픽셀 정보로 관람자의 얼굴 이미지가 활용된다. 텍스트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감성, 상상, 의도 등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는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특정 텍스트에 대한 상이한 해석력을 발휘한다. 제안한 디지털 자화상은 텍스트가 가진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내적인 면에서 관람자의 자의식을 재현할 뿐 아니라 텍스트에 내재된 의미들을 확장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은 텍스트와 텍스트, 주체와 주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식의 총체를 가리킨다. 따라서 텍스트로 표현된 자화상은 관객과 텍스트, 관객과 관객,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서 다양한 관계를 파생시키며 확장해간다. 또한 본 연구는 제안한 자화상이 외적인 면에서도 텍스트가 가진 조형성을 확인하고 시공간성을 재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동적 자화상은 실시간으로 관람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하고 갱신되며 창작되는 특성을 지닌다.

농악복식(農樂服飾)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dress and its Ornaments for farm-music)

  • 서옥규
    • 복식
    • /
    • 제12권
    • /
    • pp.9-23
    • /
    • 1988
  • This study is on the costumes for Korean traditional play, Nong-ak(farm music), and intends to analyze their aesthetic features, laying emphasis on Pilbong Nong-ak, Im sil, Chollanam-do. About its origin there are many kinds of theories; for example, the theory of hoping stability, the theory of it being related with Buddhism, the theory of martial music, etc. Shamanic, Buddhist, and martical fators that support these theories are expressed through flags, bells, drums, Deograe (half-coats), Cheonrips (sang-mo, felf hats), go-kkals(peaked hats), colored lines called 'ga-sa', which are used in Nong-ak. The characteristic of the costumes used in Pilbong Nong-ak is that it keeps its conservativeness and the costumes of its members are various and splendid. For example, leader groups' black half coats, Changbu's and Hwa-dong's red and bule over coats are remarkable. Particpants wear gok-kal or cheonrip, trousers and half coats which are the basic costumes of Korean Hanbok, and wear blak half coats or blue vests and put blue, red, and yellow lines around them. The colors and knotting methods of those lines in this region are the same with those of chollawoo-do and Kyongi province, but different form those of Kongwon and Kyong-sang province using green, red, and yellow colors. This comparison of colors shows each region's preference of peculiar colors and those colors coincide with colors used in flags. The research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ong-ak clothes through each region's clothes tells us that these can be linear clothes which have expressiveness as stage clothes used in Madangori, the play which is performed in the field, and modern spatial formativeness. Thos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The expressions of a rhythmical and daring round line by turning a long line of sang-mo. 2. Various rhythms according to the attaching methods. 3. The expressions of thick, simple, and daring color lines. 4. Natural beauty of materials. 5. The popular simplicity and non-technicality 6. The beauty of five-direction colors, Oriental ideal colors Consequently in this study our national consciousness of beauty are examined through clothes. It is suggest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ong-ak clothes and ornaments should be effectively expressed, for this purpose. interests in participants' clothes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f each region's features.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lor lines, their length, width, and knotting methods, and beautify instrument. Finally this study intends to bring the reappraisal about the art of Nong-ak clothes and its re-establishment in view of modern aesthetic consciousness.

  • PDF

우표의 증강현실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for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onto postage stamps)

  • 이기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503-529
    • /
    • 2013
  • 2012년 여수세계엑스포에서 세계최초로 선을 보인 증강현실 기념우표는 최근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장 아날로그적 매체인 우표와 디지털매체의 첨단인 증강현실 기술을 접목시켜 과거와 미래가 현재에서 소통되고 융합되는 교차점이라는 의의를 지니게 되었다. 총 33종의 기념우표 중 10개의 우표에 적용된 증강현실은 세계최초라는 의미보다 예술적 가치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적용된 증강현실은 단순히 이미지를 사실적 3D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각 우표의 이미지가 담고있는 의미와 여수엑스포의 주제를 형상화하고 시각화하는 창조 과정을 거친 '예술적 재현'을 추구하였으며, 예술작품으로써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우표 위의 공간은 현실(아날로그)과 가상(디지털)의 경계에 가로 놓인 새로운 개념의 '신 예술공간'의 창조였다. 본 연구는 각 우표에 인쇄된 이미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의 디자인을 개념화하는 과정을 거쳐 10개의 이미지를 도출한다. 이미지 도출 과정은 우표에 나타난 엑스포 행사장의 풍경과 각 건물이 지니고 있는 의미, 여수의 지역적 특색을 접목한 후 과장과 축약의 과정을 거쳐 초현실적 그래픽 환경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도출된 이미지는 각 우표에 증강현실로 적용되기 위해 3D 애니메이팅과 코딩 과정을 거쳐 최종 시각조형예술로 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마커 이미지인식기반 3D 증강현실 우표를 구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모바일 기기에서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우표 이미지 등록과 좌표변환 방법 및 증강현실을 우표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우표 디자인에 따른 증강현실 콘텐츠의 조형적 표현에 따라 새로운 가상의 전시공간 창출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셋째, 시각적 조형성을 통한 몰입성과 정보제공 측면에서의 사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전통 조형미의 현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조선 사회의 실용품에 나타나는 선(線)과 문양(文樣)의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odern design application of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nes and patterns observed in the necessities of Joseon society -)

  • 정민희;김소형;윤세환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59권
    • /
    • pp.298-308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국가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각 국가들은 스스로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세계적인 움직임에 발맞춰 '한국적' 전통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과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전통 형태나 색채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에 멈추어 독창적인 민족적 미의식을 창출해 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상당부분 발견 된다.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은 한국적 문화 정체성 확립과 활용이 아직은 부족한 결과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색채와 함께 한국의 전통미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인 조형성, 즉 형태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형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예시를 통해 이를 현대디자인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 조형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질 때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선(線)과 문양(文樣)을 중심으로 그 사용 행태와 조형적 특성을 의(衣), 식(食), 주(住)로 나누어 분석하고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송CG 활용 사례 분석과 그래픽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Case Analysis of Broadcasting CG and the role of Graphic Designer)

  • 조풍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28-737
    • /
    • 2021
  • 그동안 방송CG는 해체·변화·왜곡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방송프로그램에서의 방송CG는 '시간성'과 '조형성'이라는 확대된 배경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입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공감각에 호소하는 시청각적 언어를 창조하는 것이다. 방송CG가 단순한 지시적, 정보 전달적인 방송그래픽의 운용을 넘어, 가독성과 조형성을 고려한 영상의 순수한 미적가치와 감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한 방송프로그램의 시청각정보 완성미를 도출하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역방송사에서의 방송CG제작과 활용방법에서 나타난 결과물들을 살펴보고 방송프로그램 유형별 사례분석 통해 그동안 불가피하게 직면했던 지역 방송사들의 CG제작 및 활용의 한계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절충선이 되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역 방송프로그램에 보다 적극적이고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방송프로그램에서의 방송CG제작 활용 사례분석"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지역 방송사들의 방송CG제작 방법과 활용의 문제점 파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방송CG제작기법 및 적극적인 활용방법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지역방송사들의 방송프로그램제작의 기술적인 관점과 방송CG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방송그래픽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실용적인 방송CG제작모델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사진 다이어그리드 비정형 초고층 건물에 대한 스마트 TMD의 제진성능평가 (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rt TMD for a Tilted Diagrid Tall Building)

  • 김현수;강주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79-88
    • /
    • 2011
  • 근래에 들어와서 3T (Twisted, Tapered, Tilted)로 대별되는 비정형 초고층 건축물이 다수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초고층 건물을 위해서 구조적인 효율성 및 조형성 때문에 다이어그리드 구조시스템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건축적인 조형미 등의 이유로 경사진 비정형 초고층 건물에 대한 계획안이 다수 발표되고 있으며 다수의 구조물들이 다이어그리드 구조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경사진 비정형 초고층 건물은 횡하중뿐만 아니라 자중에 의해서도 횡방향 변위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형적인 초고층 건물보다 횡방향 응답을 저감시카는 젓이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진 다이어그리드 비정형 초고층 건물의 지진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TMD를 적용하였고 그 제어성능을 평가하였다. 스마트 TMD를 구성하기 위하여 MR 감쇠기를 사용하였으며 스마트 TMD는 그라운드훅 제어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제어하였다. 100 층의 예제구조물에 대하여 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와, 일반적인 TMD를 사용한 경우, 그리고 스마트 TMD를 사용하여 제어한 경우를 비교 검토하였다. 수지해석결과 스마트 TMD가 변위 응답 제어에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지만 가속도응답제어에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전통 문양을 활용한 세계의 브랜드 전략 - 기업 브랜드 정체성을 중심으로 - (World brand strategy using traditional patterns)

  • 김미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133-150
    • /
    • 2022
  • 21세기는 '문화경쟁' 시대라고 말해도 과언은 아니다.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는 '자국의 정체성'을 문화에서 찾으려 한다. '문화'란 그 민족이 살아온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자국민의 독특한 민족성을 말한다. 세계는 하나의 다차원적인 지구로 변해가는 이 시점에서 민족적 고유성과 독창적 조형성을 담은 전통 문양은 자국민을 대표하는 브랜드다. 프랑스의 명품 브랜드 고야드 문양은 수작업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Y자형 패턴을 볼 수 있다. 이 문양은 160년이 지난 오늘날 프랑스를 대표하는 기업 브랜드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한다. 반면 저소득국가의 경우 직물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문양은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으로 계승되어 지구촌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이처럼 다차원적인 세계를 살아가는 지구촌 사람들은 자국의 문화를 계승하려는 의지와 타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보존하려는 이른바 '지구는 하나라는 시각(One Planet Perspective)' 프레임 워크를 실현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의 '와유 부족'은 2013년 식수난으로 국제 구호기구들이 이들을 찾아가 구호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핸드메이드 제품인 '모칠라백'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유럽과 한국에서도 이를 수입하여 판매를 결정한 것은 '와유 부족'의 생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또한 소수 부족의 전통문화 속에서 천 년 동안 진화해 온 미적·문화적 가치는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문화란 하루아침'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적어도 100년 이상 지속되면서 그 시대의 트렌드에 적용된 문양은 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다. 또한 나아가 국가 정체성을 반영한 문양은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으로 계승되기도 한다. 우리는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이를 현대적인 추세에 맞게 창의적이고 심미적으로 재해석한 실용적 가치를 보여주는 전통 문양 브랜드는 없다. 이에 본연구는 세계의 문양 브랜드 전략을 파악하고 한국 기업 브랜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남농(南農) 허건(許楗) '신남화(新南畵)'의 회화심미 고찰 (A Study on the Painting's Aesthetic of Namnong Heo Geon's NewNamhwa)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87-195
    • /
    • 2021
  • 광복 이후의 한국 화단은 일본화풍의 탈피와 전통회화의 재인식 및 재창조를 통한 한국적 미의식을 확립하고 자 탐구하였다. 조선 후기 호남 화단의 실질적 종조(宗祖)라 불리었던 소치(小癡)의 손자로 태어난 남농(南農) 허건(許楗)(1908~1987)은 이러한 한국 화단의 현실을 직시하고 한국 남종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이를 변유적으로 재인식·재창조하여 현대적 서구양식과 실경을 융합한 파격적 구도로 '신남화(新南畵)'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등 한국 남종화를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한국화단의 거목이다. 남농(南農)의 회화세계는 관지(款識)를 근거로 하여 1930년대 '남농산인(南農山人)' 시기,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반 '남농외사(南農外史)' 시기, 그 이후의 '운임산방주인(雲林山房主人)' 시기 등 총 3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남농산인(南農山人) 시기는 소치(小癡)와 미산(米山)의 전통 남화의 가전화풍을 온전히 습득하고, 선전(鮮展) 출품을 위한 일본화풍의 반영으로 향토적 실경을 많이 다루어 가전화풍과 일본화풍의 혼재기이다. 남농외사(南農外史) 시기에는 해방 이후 새로운 조형성을 전통 남화풍에서 탐색하였다. 특히 남도의 풍경과 정감을 기반으로 하여 자유분방한 농담 조절과 함께 속필과 독필, 갈필로 대상을 표현하면서 서정성과 향토애 짙은 실경향토화와 산수화에 주력하였다. 운임산방주인(雲林山房主人) 시기는 현대미술의 흐름에 어느 정도 부합하면서도 전통 회화에 걸맞는 사의적 문향이 넘치는 구도로 차츰 생략화되면서 개성적 화법을 강하게 드러낸 갈필, 독필, 속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수묵담채의 서정적인 산수와 소나무를 많이 그렸다. 그의 산수화와 향토화는 누구에게나 체험적인 친근감과 정감을 자아내게 하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 향수애와 자연애를 담고 있다. 남농(南農)은 이를 '신남화(新南畵)'로 명명하였다. 남농(南農)은 '남화연구원'을 설립, 후진양성에 진력하였는데, 이곳에서 임인(林人)의 아들인 許文과 남농(南農)의 장손자인 허전(許塡) 등이 수련하여 5대째 운림산방의 화맥을 계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