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1st Korean Postal Build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우정총국주변 시민광장 설계 (The Citizen Plaza Design around the 1st Korean Postal Building, 'Woojeongchongkuk')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7-74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for the citizen plaza around the ˝Woojeongchongkuk˝(the 1st Korean postal building) where the ˝Gapsinjeongbyeon˝(1844 coup d´etat) occurred and which was once used as the ˝Jeoneoigam˝(a palace hospital). The site is located in 39 Kyeonji-dong, Jongno-gu, Seoul, and of which area is about 2,013$m^2$. The landscape design goals are to build traditional spaces which fit the traditional buildings and where people feel the old atmosphere; to build interesting spaces where people can learn the post and telegraphic history; and to build nature-friendly green rest spaces in the city. To achieve these goals, symbolic, traditional, educational, historical,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ncepts are developed. With this concept the space is divided into two axis of the pst and telegraph of Korea. Along the two axis the Postage Stamp ˝Madang˝(yard), the Letter Garden, the Telegraphic ˝Ddeul˝(garden), the Communication Plaza, and the ˝Jeoneoigam˝(old palace hospital) and the ˝Gapsinjeongbyeon˝(1884 coup d´etat) Memorial Place are arranged. The Postal Stamp Madang which symbolizes the first Korean postage stamp is a space for studying history and evolution of stamps in Korea. The Letter Garden which symbolizes and formalizes a letter paper is composed with white bamboo trees which are planted linearly and long granite benches on which famous letters are carved. In the Telegraphic Ddeul which symbolizes the telegraph, the history of the telegraphic instrument and the telephone is exhibited. In the Communication Plaze which symbolizes future post and telegraph service extending to the world, the images of satellite communication, internet, webmail etc. are exhibited. The Jeoneoigan, and the Gapsinjeongbyeon Memorial Place is for memorializing the historic place and events. Throughout the whole place, various models and ceramic picture tiles about the post and telegraph and exhibited for effective education. In conclusion,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s for the site are suggested.

  • PDF

일개 지역사회 여성 주민의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수검에 관한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stages-matched educational program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adult women in a community)

  • Kim, Young-Bok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3-37
    • /
    • 2007
  • 연구 배경: 자궁경부암은 조기검진을 통해 사망률과 의료비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자궁경부암이 여성암 중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나, Pap test를 통해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자궁경부암 조기검진 수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행동적 요인을 고려하여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40세 이상의 여성 주민에게 적용해봄으로써 행동변화단계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서울시 서초구에 거주하는 40세$\sim$59세 사이의 여성 주민을 대상으로 2003년 9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서초구의 5개 지역(동)에서 교육 중재군(162명)과 대조군(121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은 범이론적모형(TTM)을 활용하여 개발되었고, 교육 중재군의 교육내용 전달방법으로 인터넷 서비스와 우편 서비스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중 88.9%가 일생 중 1번 이상, 65.4%가 최근 2년 동안 1번 이상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을 수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교육 후 인지 행동적 요인 중 태도와 변화의 과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고, 행동변화단계 중 유지단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교육내용 전달 방법은 인쇄된 교육자료를 활용한 우편 서비스가 인터넷 서비스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변화단계별 전환 양상에서도 우편 서비스 중재군이 인터넷 서비스 중재 군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한편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 평가에서는 전달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지역사회 여성 주민의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에 관한 수검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그 결과, 행동변화단계별 교육 프로그램이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의 수검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