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Classificatio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 근처 차이를 이용한 텍스쳐 분류에 관한 연구 (Texture Classification Using Local Neighbor Differences)

  • 뮤잠멜;팽소호;박민욱;김덕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7-380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texture descriptor for texture classification called Local Neighbor Differences (LND). LND is a high discriminating texture descriptor and also robust to illumination changes. The proposed descriptor utilizes the sign of differences between surrounding pixels in a local neighborhood. The differences of those pixels are thresholded to form an 8-bit binary codeword. The decimal values of these 8-bit code words are computed and they are called LND values. A histogram of the resulting LND values is created and used as feature to describe the texture information of an imag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spect to texture classification accuracies using OUTEX_TC_00001 test suite has been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LND outperforms LBP method, with average classification accuracies of 92.3% whereas that of local binary patterns (LBP) is 90.7%.

SPOT HRV 영상을 이용한 부산 지역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의 질감의 기여에 관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Use of the Texture in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from SPOT HRV Image of Pusan Metropolitan Area)

  • 정인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2-44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질감을 분광정보와 함께 사용했을 때의 분류정확도의 향상을 평가하는데 있다. 먼저 부산지역의 SPOT HRV 영상에 최대우도분류를 적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3번 파장에서 다양한 질감을 추출한 다음, 이 질감을 신파장의 형태로 분광정보에 통합하여 분류하여 질감의 사용이 분류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질감별로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는 전체적인 정확도와 토지피복별 정확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정확도 향상을 관측할 수 있었는데, 특히 엔트로피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창의 크기는 $5{\times}5$$7{\times}7$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질감에 따라서는 전체적인 정확도는 향상되지 않더라도 일부 토지피복의 정확도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별로는 저층건물지역, 아파트 단지. 고층건물지역, 공업지역 등 도시지역의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질감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질감 서술자 및 컴퓨터 조력 진단 시스템의 적용 (Texture Descriptor for Texture-Based Image Retrieval and Its Application in Computer-Aided Diagnosis System)

  • 뮤잠멜;팽소호;김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4호
    • /
    • pp.34-43
    • /
    • 2010
  • 질감 정보는 객체 인식과 분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확한 질환 판별을 위해 분류에서 사용되는 질감 특징은 식별성이 높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질감-기반 영상 검색 및 폐기종 진단을 위해 컴퓨터 조력진단(Computer-Aided Diagnosis)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질감 기술자를 제안한다. 제안한 질감 기술자는 이웃화소간의 차이값과 중심화소와 이웃화소간의 차이 값의 결합에 기반을 두고 있어 결합된 주변화소 차이(Combined Neighborhood Difference; CND)라고 한다. 화소들간의 CND는 비교후 이진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그다음에, 식별성이 높은 값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진 계수가 코드워드에 할당된다. 이와 같은 값들의 분포가 계산되어 질감 특징 벡터를 구성한다. Outex와 Brodatz 데이터집합을 이용한 질감 특징 분류에 관련하여 CND는 92.5%의 정확성을 보이는 데 비해, LBP, LND와 Gabor 픽터는 89.3%, 90.7%와 83.6%의 정확성을 각각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CND를 이용한 폐기종의 진단 기능을 CAD 시스템에서 구현하였다.

AUTOMATIC SELECTION AND ADJUSTMENT OF FEATURES FOR IMAGE CLASSIFICATION

  • Saiki, Kenji;Nagao, Tomoharu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525-528
    • /
    • 2009
  • Recently, image classification has been an important task in various fields. Generally, the performance of image classification is not good without the adjustment of image features. Therefore, it is desired that the way of automatic feature extr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classification method which adjusts image features automatically. We assume that texture features are useful in image classification tasks because natural images are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texture. Thu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rate is improved by using distribution of texture features. We obtain texture features by calculating image features from a current considering pixel and its neighborhood pixels. And we calculate image features from distribution of textures feature. Those image features are adjusted to image classification tasks using Genetic Algorithm. We apply proposed method to classifying images into "head" or "non-head" and "male" or "female".

  • PDF

A New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Structural Textures

  • Lee, Bon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25-133
    • /
    • 200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thod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edge in-formation and second-order neural networks for the classification of structural textures. The edges of a texture are extracted using an edge detection approach. From this edge information, classification features called second-order features are obtained. These features are fed into a second-order neural network for training and subsequent classification. It will be shown that the main disadvantage of using structural methods in texture classifications, namely, the difficulty of the extraction of texels, is overcome by the proposed method.

텍스처 특징 표현 좌표체계에서의 효율적인 패턴 분류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fficient Pattern Classification on Texture Feature Representation Coordinate System)

  • 우경덕;김성국;백성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7-248
    • /
    • 2010
  • 컴퓨터/로봇 비전 분야에서 실세계 장면들을 촬영할 때, 상당 부분의 텍스처 기반 패턴들이 발견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런 다양한 패턴들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Gabor 함수)을 기반으로 한 특징 측정 좌표 체계를 소개한다. 그 체계를 통한 텍스처 패턴의 여러 특징들에 대한 측정값의 표현은 텍스처 패턴분류 작업을 수행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성능을 가능케 한다. 또한 실험에 사용된 텍스처 이미지 데이터의 좌표 체계에서의 표현 정보가 추후 유사 연구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으며, 제안된 좌표 체계에서 표현된 패턴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가장 적합한 의사결정나무 알고리듬을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텍스처 패턴분류 실험을 통해 기존 연구 방법들에 비해 연구 결과의 개선이 있음을 보여준다.

유사 가버 특징에 기반한 텍스쳐 분류 (Texture Classification Based on Gabor-like Feature)

  • 손지훈;김성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7-153
    • /
    • 2017
  • 텍스쳐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효과적인 텍스쳐 표현을 통해 텍스쳐 분류나 텍스쳐 분할 등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버 필터는 텍스쳐 표현을 위해 오랫동안 사용된 다해상도 스케일 기반의 방법이다. 가버 필터는 텍스쳐 분류나 분할에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처리 과정의 연산량으로 인해 처리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어 실제 응용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버 필터와 유사하게 다해상도 스케일 기반으로 텍스쳐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특징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주파수 공간에서 방향과 스케일을 기반으로 다해상도 스케일 기반으로 텍스쳐를 표현한다. 2가지 실험 영상 집합에 대해 분류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특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가버 필터와 유사한 분류 성능을 제공하면서 처리 속도는 가버 필터의 5%이하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텍스쳐 분류 및 검출을 위한 강인한 특징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bust Feature Image for Texture Classification and Detection)

  • 김영섭;안종영;김상범;허강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3-1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 대한 공간 특성(Spatial properties) 및 통계적 특성(Statistical properties)을 포함한 특징이미지를 구성하고, 지역 분산 크기를 이용한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여 텍스쳐 분류에 이용함으로서 조도(illumination) 및 노이즈(Noise) 그리고 회전(Rotation)에 강인한 텍스쳐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영역 합계의 빠른 연산을 위해 사용된 중간 이미지 표현인 적분 이미지(Integral Image)를 이용함으로서 텍스쳐 검출 프로세스의 수행 시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브로다츠(Brodatz) 질감 이미지를 이용하여 잡음 추가 및 히스토그램 명세화 그리고 회전 이미지를 생성하여 실험하였으며, 96% 이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Gabor 웨이블릿을 이용한 회전 변화에 무관한 질감 분류 기법 (Rotation-Invariant Texture Classification Using Gabor Wavelet)

  • 김원희;윤청파;문광석;김종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125-113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가보 웨이블릿(Gabor Wavelet)을 이용한 회전 변화에 무관한 질감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들은 대용량 질감 데이터베이스에서 낮은 정정분류비(Correct Classification Rate)를 나타내었다. 제안한 방법은 가보 웨이블릿 필터링 된 영상에서 전역 특징 벡터(Global Feature Vector)와 지역 특징행렬(Local Feature Matrix)을 정의하였다. 회전 변화에 무관한 두 가지 특징 그룹을 이용하여 개선된 유사도 측정 판별식(Discriminant)을 정의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대용량 질감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결과 향상된 정정분류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질감 영상 스펙트럼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실험회수를 50% 가까이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112개의 브로다츠(Brodatz) 질감 클래스에서 비교 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2.3%{\sim}15.6%$의 향상된 정정분류비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