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ased Chatbo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서로 다른 챗봇 유형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능력 및 학습자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hatbots on EFL Learners' Speaking Competence and Learner Perception)

  • 김나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48권
    • /
    • pp.223-25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유형의 챗봇(음성기반 챗봇 및 문자기반 챗봇)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실험 참가자는 총 80명으로, 한국에 있는 한 대학교의 신입생들이었으며, 모두 교양 영어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 하게 두 실험집단으로 나뉘어 16주 동안 서로 다른 두 유형의 챗봇과 10번의 채팅에 참여하였다. 실험 전후 참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말하기 시험을 진행하였고, 챗봇을 이용한 영어학습에 대해 인식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말하기시험결과, 챗봇을 이용한 한국 EFL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그 중 문자기반 챗봇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 챗봇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그 중 음성기반 챗봇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호의적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본 연구는 EFL 상황에서 챗봇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챗봇활용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 있다.

Primary Study for dialogue based on Ordering Chatbot

  • Kim, Ji-Ho;Park, JongWon;Moon, Ji-Bum;Lee, Yulim;Yoon, Andy Kyung-yo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3호
    • /
    • pp.209-214
    • /
    • 2018
  • Today is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s have begun to impersonate various human characteristics today. Chatbot is one instance of this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s a computer program that enables to conduct natural conversations with people. As mentioned above, Chatbot conducted conversations in text, but Chatbot, in this study evolves to perform commands based on speech-recognition. In order for Chatbot to perfectly emulate a human dialogu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entence correctly and extract appropriate response. To accomplish this, the sentence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bjects, actions, and preferences. This study shows how objects is analyzed and processed, and also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evolving from an elementary model to an advanced intelligent system. By this study, it will be evaluated that speech-recognition based Chatbot have improved order-processing time efficiency compared to text based Chatbot. Once this study is done, speech-recognition based Chatbot have the potential to automate customer service and reduce human effort.

T-EBOW를 이용한 취업알선 챗봇용 단문 분류 연구 (Short Text Classification for Job Placement Chatbot by T-EBOW)

  • 김정래;김한준;정경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19
  • 최근 각종 사업 분야에서 기업들은 기존 메신저 플랫폼에 인공지능을 더하여 다양한 환경을 대상으로 챗봇 서비스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취업알선 분야의 기관에서도 취업상담 서비스 품질 제고와 상담 인력 해소를 위해 챗봇 서비스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챗봇은 입력된 사용자 문장을 학습된 문장으로 분류하여 적합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영향으로 챗봇에 입력되는 사용자 문장은 단문으로 입력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단문 분류의 성능향상은 챗봇 서비스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취업알선 챗봇을 위한 단문 분류 강화를 위해 기존 연구의 개념 정보뿐만 아니라 번역문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인 T-EBOW (Translation-Extended Bag Of Words)를 제안한다. T-EBOW를 기계학습 분류 모델에 적용한 단문 분류의 성능은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 평가 결과를 보였다.

A BERGPT-chatbot for mitigating negative emotions

  • Song, Yun-Gyeong;Jung, Kyung-Min;Lee, 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53-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레플리카'와 같은 텍스트 입력 기반의 부정적 감정 완화가 가능한 국내 인공지능 챗봇인 BERGPT-chatbot을 제안하고자 한다. BERGPT-chatbot은 KR-BERT와 KoGPT2-chatbot을 파이프라인으로 만들어 감정 완화 챗봇을 모델링하였다. KR-BERT를 통해 정제되지 않은 일상 데이터셋에 감정을 부여하고, 추가 데이터셋을 KoGPT2-chatbot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이다. BERGPT-chatbot의 개발 배경은 다음과 같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COVID-19로 인해 장기적 실내 생활이나 대인 관계 제한으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로 인해 부정적 감정 완화나 정신 건강 케어에 목적을 둔 국외의 인공지능 챗봇이 팬데믹 사태로 사용량이 증가하였다. 국내에서도 국외의 챗봇과 비슷한 심리 진단 챗봇이 서비스 되고 있으나, 국내의 챗봇은 텍스트 입력 기반 답변이 아닌 버튼형 답변 중심으로 국외 챗봇과 비교하였을 때 심리 진단 수준에 그쳐 아쉬운 실정이다. 따라서, BERGPT-chatbot을 통해 감정 완화에 도움을 주는 챗봇을 제안하였으며, BERGPT-chatbot과 KoGPT2-chatbot을 언어 모델의 내부 평가 지표인 '퍼플렉서티'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BERGPT-chatbot의 우수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소셜챗봇 구축에 필요한 관계성 추론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방법 (Identifying Social Relationships using Text Analysis for Social Chatbots)

  • 김정훈;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85-110
    • /
    • 2018
  • 챗봇은 음성, 이미지, 비디오 또는 텍스트와 같은 다양한 매채를 이용하여 대화가 가능한 대화형 어시스턴트이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질문에 답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현재 챗봇은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기술적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개인화된 대화로 사용자와 챗봇간의 관계성 구축에는 제한적이어서 일부 사례에도 불구하고 소셜챗봇이 되기에는 미흡한 상태이다. 만약 인간의 사회성을 나타내는 특징 중 하나인 관계성을 챗봇이 인식하여 알맞게 대화를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개인화된 대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과 유사한 대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기반으로 챗봇과 사용자 간의 관계성을 추론하고 대화 상황에 맞게 대화 상대가 적절한 대화를 수행 할 수 있는 텍스트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및 평가를 하기 위하여 실제 SNS대화 내용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사용자의 개인 프로필 정보가 제외된 방법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소셜 챗봇에 적합한 방법으로 검증되었다.

챗봇 기반의 개인화 패션 추천 서비스 향상을 위한 사용자-제품 속성 제안 (Proposal for User-Product Attributes to Enhance Chatbot-Based Personalized Fashion Recommendation Service)

  • 안효선;김성훈;최예림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50-62
    • /
    • 2023
  • The e-commerce fashion market has experienced a remarkable growth, leading to an overwhelming availability of shared information and numerous choices for users. In light of this, chatbots have emerged as a promising technological solution to enhance personalized servi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user-product attributes for a chatbot-based personalized fashion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big data text mining techniques. To accomplish this, over one million consumer reviews from Coupang, an e-commerce platfor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es to identify the upper-level attributes of users and products. Attribute terms were then assigned to each user-product attribute, including user body shape (body proportion, BMI), user needs (functional, expressive, aesthetic), user TPO (time, place, occasion), product design elements (fit, color, material, detail), product size (label, measurement), and product care (laundry, maintenance). The classification of user-product attributes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the knowledge graph of the Conversational Path Reasoning model. A testing environment was establish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ttributes based on real e-commerce users and purchased product inform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new research methodology in the field of Fashion Informatics for constructing the knowledge base of a chatbot based on text mining analysis. The proposed research methodology is expected to enhance fashion technology and improve personalized fashion recommendation service and user experience with a chatbot in the e-commerce market.

자연어 처리를 이용한 감정 스트레스 인지 및 관리 챗봇 개발 (A Development of Chatbot for Emotional Stress Recognition and Management using NLP)

  • 박종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7호
    • /
    • pp.954-961
    • /
    • 2018
  • In this paper, a chatbot for emotional stress recognition and management using rule-based method and NLP is designed and developed to tackle various emotional stresses of people through questionnaire. For this, Dialogflow as open chatbot development platform and Facebook messenger as chatting platform are used. We can build natural and resourceful conversational experiences through predefined questions by using powerful tools of Dialogflow, and can use developed chatbot on the Facebook page messenger. Developed chatbot perceives emotional stresses of user by user-input which is either text or choice of predefined answer. It also gives user questions according to the user's feeling, and assess the strength of the emotional stresses, and provide a solution to the user. Further research can improve the developed chatbot by using open Korean NLP library and database of emotions and stresses.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을 활용한 '진료수행시험 연습용 챗봇(CPX Practicing Chatbot)' 시범 개발 (Pilot Development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Practicing Chatbot' Utilizing Prompt Engineering)

  • 김준동;이혜윤;김지환;김창업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3-214
    • /
    • 2024
  • Objectives: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emphasized in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ilot version of a CPX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Practicing Chatbot utilizing large language models with prompt engineering. Methods: A standardized patient scenario was acquir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and transformed into text format. Prompt engineering was then conducted using role prompting and few-shot prompting techniques. The GPT-4 API was employed, and a web application was created using the gradio package. An internal evaluation criterion was established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chatbot's performance. Results: The chatbot was implemen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internal evaluation criterion. It demonstrated relatively high correctness and complianc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confidentiality and naturalness. Conclusions: This study successfully piloted the CPX Practicing Chatbot, revealing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models using AI technolog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Additionally, it identified limitations and provided insights for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s.

사용 목적에 따른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 연구 (A Study on Chatbot Profile Imag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18-129
    • /
    • 2018
  • 메신저 창에서 제공되는 AI 챗봇의 경우 프로필 이미지가 챗봇과 소통하는 첫 단계가 된다. SNS에서 인상관리 수단으로 이용되는 프로필 이미지는 챗봇의 경우에도 서비스에 대한 인상을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맞는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목적과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챗봇의 프로필 이미지와 표현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대화 자체가 중요시 되는 심심할 때와 심리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인기 챗봇들의 사례를 분석 하여 프로필 이미지를 추출한 결과 사람, 로봇, 동물, 추상적 이미지로 유형이 구분되었다. 이 기준에 따라 텍스트 버전과 이미지 버전으로 선택지를 만들어 설문한 결과 심심할 때 텍스트 버전에서는 남녀 모두 사람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이미지 선택지를 보고 고른 경우 남성은 여성과 로봇 이미지, 여성은 귀여운 의인화된 만화 캐릭터와 로봇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심리상담의 경우 남녀 모두 텍스트 버전에서는 사람을, 이미지 버전에서는 여성과 동물의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다. 종합해보면 심심할 때는 남녀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 반면 심리상담의 경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차이점은 사람 이미지를 제외하고 재미에서는 로봇, 심리 상담에서는 동물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표현 방식에 있어서 남녀 모두 실사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지만 여성의 경우 2D 그래픽으로 단순화된 이미지와 추상화된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가 남성에 비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제공하는 프로필 이미지를 설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Restaurant Recommendation Service App Based on AI Chatbot Using Personalization Information

  • Kim, Heeyoung;Jung, Sunmi;Ryu, G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63-270
    • /
    • 2020
  • The growth of the mobile app markets has made it popular among people who recommend relevant information about restaurants. The recommendation service app based on AI Chatbot is that it can efficiently manage time and finances by making it easy for restaurant consumers to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they want anytime, anywhere. Eating out consumers use smartphone applications for finding restaurants, making reservations, and getting reviews and how to use them. In addition, social attention has recently been focused on the research of AI chatbot. The Chatbot is combined with the mobile messenger platform and enabling various services due to the text-type interactive service. It also helps users to find the services and data that they need information tersely. Applying this to restaurant recommendation services will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in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based smartphone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 using personalization information is proposed. The recommendation service app utilizes personalization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interests, occupation, search records, visit records, wish lists, reviews,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Users can get recommendations for restaurants that fir their purpose through chatting using AI chatbo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heck real-time information about restaurants, make reservations, and write reviews. The proposed app uses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users receive information on dining ou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Through chatbots, users can receive customiz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time and spac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