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hatbots on EFL Learners' Speaking Competence and Learner Perception

서로 다른 챗봇 유형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능력 및 학습자인식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8.10
  • Accepted : 2017.09.01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effects of two types of chatbots - voice-based and text-based - on Korean EFL learners' speaking competence and learner perception. Participants were 80 freshmen students taking an English-speaking clas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t random. During the sixteen-week experimental period, participants engaged in 10 chat sessions with the two different types of chatbots. To take a close examination of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peaking competence, they took the TOEIC speaking test as pre- and post-tests. Structured questionnaire-base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o determine if there are changes in perception. Findings reveal two chatbots effectively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peaking competence among EFL learners. Particularly, the voice-based chatbot was as effective as the text-based chatbot. An analysis of survey results indicates perception of chatbot-assisted language learning changed positively over time. In particular, most participants preferred voice-based chatbot over text-based chatbot. This study provides insight on the use of chatbots in EFL learning, suggesting that EFL teachers should integrate chatbot technology in their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두 유형의 챗봇(음성기반 챗봇 및 문자기반 챗봇)이 한국 EFL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실험 참가자는 총 80명으로, 한국에 있는 한 대학교의 신입생들이었으며, 모두 교양 영어 말하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었다. 참가자들은 무작위 하게 두 실험집단으로 나뉘어 16주 동안 서로 다른 두 유형의 챗봇과 10번의 채팅에 참여하였다. 실험 전후 참가자의 말하기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말하기 시험을 진행하였고, 챗봇을 이용한 영어학습에 대해 인식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말하기시험결과, 챗봇을 이용한 한국 EFL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그 중 문자기반 챗봇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결과, 챗봇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그 중 음성기반 챗봇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호의적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본 연구는 EFL 상황에서 챗봇기반 영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효과적인 챗봇활용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