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xt summarization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ransformer-based Text Summarization Using Pre-trained Language Model (사전학습 언어 모델을 활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텍스트 요약)

  • Song, Eui-Seok;Kim, Museong;Lee, Yu-Rin;Ahn, Hyunchul;Kim, Nam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95-398
    • /
    • 2021
  • 최근 방대한 양의 텍스트 정보가 인터넷에 유통되면서 정보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기가 더욱 어려워졌으며, 이로 인해 자동으로 텍스트를 요약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텍스트 자동 요약을 위한 다양한 기법 중 특히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의 모델은 추상 요약(Abstractive Summarization) 과제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해당 분야의 SOTA(State of the Art)를 달성하고 있다. 하지만 트랜스포머 모델은 매우 많은 수의 매개변수들(Parameters)로 구성되어 있어서,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으면 이들 매개변수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양질의 요약문을 생성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량의 데이터가 주어진 환경에서도 양질의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는 문서 요약 방법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제안 방법론은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 모델인 KoBERT의 임베딩 행렬을 트랜스포머 모델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문서 요약을 수행하며, 제안 방법론의 우수성은 Dacon 한국어 문서 생성 요약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을 통해 ROUGE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PDF

EyeBERT: Eye tracking based Human Reading for Extractive Text Summarization (EyeBERT: 아이트래킹 기반의 휴먼 리딩을 반영한 추출 요약 기법)

  • Lee, Seolhwa;Hur, Yu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522-526
    • /
    • 2019
  • 추출 요약(Extractive summarization)은 문서내에 주요한 요약정보가 되는 문장 또는 단어를 추출하여 요약을 생성하는 기법이다. 딥러닝 기법들이 많이 발전하면서 요약 기법에도 sequence-to-sequence와 같은 많은 시도들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방법론들은 딥러닝의 모델 구조관점으로 접근하거나 요약에 있어서 단순히 입력 텍스트를 넣고 알고리즘이 처리하는 머신 리딩(Machine reading)관점으로 접근한다. 텍스트 요약 태스크 자체는 사람이 텍스트에 대한 정보 파악을 요약문을 통해 빠르게 하고 싶은 궁극적인 목표가 있으므로, 사람이 텍스트 요약에 필요한 인지처리과정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국, 기존의 머신 리딩보다는 휴먼 리딩(Human reading)에 관한 이해와 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휴먼 리딩을 위한 인지처리과정을 위해 아이트래킹 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추출 요약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Method Name Suggestion Model based on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 (추상적 텍스트 요약 기반의 메소드 이름 제안 모델)

  • Ju, Hansae;Lee, Scott U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37-138
    • /
    • 2022
  • 소스 코드 식별자의 이름을 잘 정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프로그램 엔티티의 의미있고 간결한 이름은 코드 이해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관리 비용을 줄이는 데에 큰 효과가 있다. 이러한 코드 식별자 중 평균적으로 가장 복잡한 식별자는 '메소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소드 내용과 일관성 있는 적절한 메소드 이름 생성을 자연어 처리 태스크 중 하나인 '추상적 텍스트 요약'으로 치환하여 수행하는 트랜스포머 기반의 인코더-디코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Github 오픈소스를 크롤링한 Java 데이터셋에서 기존 최신 메소드 이름 생성 모델보다 약 50% 이상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 적절한 메소드 작명에 필요한 비용 절감 달성 및 다양한 소스 코드 관련 태스크를 언어 모델의 성능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telligent Korean Sentence Summarization Technique Combining KoBART and GSG (KoBART와 GSG를 결합한 지능형 한국어 문장 요약 기법)

  • Hyeonsol Sim;Hyeonbin Park;Jeeyoung Park;Jaewon Sin;Youngj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98-70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데이터와 모델링, 추가 평가 지표를 통해 Text Summarization 분야에서 한국어로 좋은 성능을 내기 위한 방식을 제안한다. KoBART의 크기를 키우고 PEGASUS의 GSG를 사용하는 KoBART-GSG 모델을 제안한다. 이때 ASR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추가 학습을 진행한다. 또한, 생성된 요약문과 원문에서 Attention 기법으로 키워드와 핵심 문장을 추출하여 지능형 텍스트를 구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ASR Open API와 제안한 방식을 사용하여 오디오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요약하는 강의나 회의 등 학계와 산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Fine-tuning of Attention-based BART Model for Text Summarization (텍스트 요약을 위한 어텐션 기반 BART 모델 미세조정)

  • Ahn, Young-Pill;Park, Hyun-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12
    • /
    • pp.1769-1776
    • /
    • 2022
  • Automatically summarizing long sentences is an important technique. The BART model is one of the widely used models in the summarization task. In general, in order to generate a summarization model of a specific domain, fine-tuning is performed by re-training a language model trained on a large dataset to fit the domain. The fine-tuning is usually done by changing the number of nodes in the last fully connected layer. Howe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ne-tuning method by adding an attention layer, which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various models and shows good performanc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such as accumulating layers deeper, fine-tuning without skip connections during the fine tuning process, and so on. As a result, the BART model using two attention layers with skip connection shows the best score.

Hybrid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a TextRank Algorithm and an Attentive Recurrent Neural Networks (TextRank 알고리즘과 주의 집중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문서 요약)

  • Jeong, Seok-won;Lee, Hyeon-gu;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47-50
    • /
    • 2017
  • 문서 요약은 입력 문서가 가진 주제를 유지하면서 크기가 축약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요약의 방법론은 크게 추출 요약과 추상 요약으로 구분된다. 추출 요약의 경우 결과가 문서 전체를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거나 문장들 간의 호응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순환 신경망 구조의 모델을 이용한 추상 요약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이 길어지는 경우 정보가 누락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추출 요약으로 입력 문서의 중요한 일부 문장들을 선별하고 이를 추상 요약의 입력으로 사용했을 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한다. 추출 요약을 통해 원문 대비 30%까지 문서를 요약한 후 요약을 생성했을 때, ROUGE-1 0.2802, ROUGE-2 0.1294, ROUGE-L 0.32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Hybrid Document Summarization using a TextRank Algorithm and an Attentive Recurrent Neural Networks (TextRank 알고리즘과 주의 집중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문서 요약)

  • Jeong, Seok-won;Lee, Hyeon-gu;Kim, Harkso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47-50
    • /
    • 2017
  • 문서 요약은 입력 문서가 가진 주제를 유지하면서 크기가 축약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서 요약의 방법론은 크게 추출 요약과 추상 요약으로 구분된다. 추출 요약의 경우 결과가 문서 전체를 충분히 대표하지 못하거나 문장들 간의 호응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순환 신경망 구조의 모델을 이용한 추상 요약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이 길어지는 경우 정보가 누락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추출 요약으로 입력 문서의 중요한 일부 문장들을 선별하고 이를 추상 요약의 입력으로 사용했을 때의 성능 변화를 관찰한다. 추출 요약을 통해 원문 대비 30%까지 문서를 요약한 후 요약을 생성했을 때, ROUGE-1 0.2802, ROUGE-2 0.1294, ROUGE-L 0.32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Subword Neural Language Generation with Unlikelihood Training

  • Iqbal, Salahuddin Muhammad;Kang, Dae-K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2
    • /
    • pp.45-50
    • /
    • 2020
  • A Language model with neural networks commonly trained with likelihood loss. Such that the model can learn the sequence of human text. State-of-the-art results achieved in various language generation tasks, e.g., text summarization, dialogue response generation, and text generation, by utilizing the language model's next token output probabilities. Monotonous and boring outputs are a well-known problem of this model, yet only a few solutions proposed to address this problem. Several decoding techniques proposed to suppress repetitive tokens. Unlikelihood training approached this problem by penalizing candidate tokens probabilities if the tokens already seen in previous steps. While the method successfully showed a less repetitive generated token, the method has a large memory consumption because of the training need a big vocabulary size. We effectively reduced memory footprint by encoding words as sequences of subword units. Finally, we report competitive results with token level unlikelihood training in several automatic evaluations compared to the previous work.

Korean Text Automatic Summarization using Semantically Expanded Sentence Similarity (의미적으로 확장된 문장 간 유사도를 이용한 한국어 텍스트 자동 요약)

  • Kim, Heechan;Lee, So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41-844
    • /
    • 2014
  • 텍스트 자동 요약은 수많은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이중 추출요약은 현재 가장 많이 연구가 되고 있는 자동 요약 분야이다. 본 논문은 추출 요약의 선두 연구인 TextRank는 문장 간 유사도를 계산할 때 문장 내 단어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유사성을 고려한 새로운 단어 간 유사도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추출된 문장 간 유사도는 그래프로 표현되며, TextRank의 랭킹 알고리즘과 동일한 랭킹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문장 간 유사성을 고려할 때 단어의 의미적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여 정보의 유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것을 실험 결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A Lecture Summarization Application Using STT (Speech-To-Text) and ChatGPT (STT(Speech-To-Text)와 ChatGPT 를 활용한 강의 요약 애플리케이션)

  • Jin-Woong Kim;Bo-Sung Geum;Tae-Ko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97-298
    • /
    • 2023
  • COVID-19 가 사실상 종식됨에 따라 대학 강의가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대면 강의로 전환되었다. 온라인 강의에서는 다시 보기를 통한 복습이 가능했지만, 대면강의에서는 녹음을 통해서 이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다시 보기와 녹음본은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내용을 요약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내용을 STT(Speech-to-Text)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ChatGPT(Cha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로 요약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