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 Data

검색결과 2,870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과학을 위한 양적 텍스트 마이닝: 이주, 이민 키워드 논문 및 언론기사 분석 (Quantitative Text Mining for Social Science: Analysis of Immigrant in the Articles)

  • 이수정;최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8-127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사회과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양적 텍스트 분석의 흐름과 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사례를 포함하여 기술 하였다. 특히,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학술지와 언론에서 사용된 "이주", "이민" 키워드를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과학분야에서 주목 받는 자연어 처리 기술(NLP)를 이용한 양적 텍스트 분석 (Quantitate tex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양적 텍스트 분석은 문서를 구조적 데이터로 변환하여, 가설의 발견 및 검증을 실시하는 데이터 과학의 영역으로, 데이터의 모델링 및 가시화 등이 가능하고, 특히 비구조화 된 데이터를 구조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과학 분야에 많이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적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이주", "이민"을 키워드로 한 연구 및 언론 기사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결론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였다.

SVD-LDA: A Combined Model for Text Classification

  • Hai, Nguyen Cao Truong;Kim, Kyung-Im;Park, Hyuk-R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5권1호
    • /
    • pp.5-10
    • /
    • 2009
  • Text data has always accounted for a major portion of the world's information. As the volume of information increases exponentially, the portion of text data also increases significantly. Text classification is therefore still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LDA is an updated, probabilistic model which has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in many other fields. As regards text data, LDA also has many applications, which has been applied various enhancements. However, it seems that no applications take care of the input for LDA. In this paper, we suggest a way to map the input space to a reduced space, which may avoid the unreliability, ambiguity and redundancy of individual terms as descript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LDA can be perfectly performed in a "clean and clear" spac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20 News Groups data se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oost the classification results when the appropriate choice of rank of the reduced space is determined.

텍스트 감정분석을 이용한 IT 서비스 품질요소 분석 (Analysis of IT Service Quality Elements Using Text Sentiment Analysis)

  • 김홍삼;김종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40
    • /
    • 2020
  • In order to satisfy customer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quality elements that affect customers' satisfaction. The Kano model has been widely used in identifying multi-dimensional quality attributes in this purpose. However, the model suffers from various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survey practices such as the data amount, reply attitude and cost. In this research, a model based on the text sentiment analysis is proposed, which aims to substitute the survey-based data gathering process of Kano models with sentiment analysis. In this model, from the set of opinion text, quality elements for the research are extracted using the morpheme analysis. The opinions' polarity attributes are evaluated using text sentiment analysis, and those polarity text items are transformed into equivalent Kano survey questions. Replies for the transformed survey questions are generated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original data. Then, the question-reply set is analyzed using both the original Kano evaluation method and the satisfaction index metho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has been tested using a large amount of data of public IT service project evaluations. The result shows that it can replace the existing practice and it promises advantages in terms of quality and cost of data gathering. The authors hope that the proposed model of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new quality analysis model for a wide range of areas.

Determining Feature-Size for Text to Numeric Conversion based on BOW and TF-IDF

  • Alyamani, Hasan J.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283-287
    • /
    • 2022
  • Machine Learning is the most popular method used in data science. Growth of data is not only numeric data but also text data. Most of the algorithm of supervised and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use numeric data. Now it is required to convert text data into numeric.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this conversion. Researcher confuses which technique is best in what situation. Here in proposed work BOW (Bag-of-Words) and TF-IDF (Term-Frequency-Inverse-Document-Frequency) has been studied based on different features to determine best method. After experimental results on text data, TF-IDF and BOW both provide better performance at range from 100 to 150 number of features.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용자 핵심 요구사항 분석 방법론 : 중국 온라인 화장품 시장을 중심으로 (A Methodology for Customer Core Requirement Analysis by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Chinese Online Cosmetics Market)

  • 신윤식;백동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6-77
    • /
    • 2021
  • Companies widely use survey to identify customer requirements, but the survey has some problems. First of all, the response is passive due to pre-designed questionnaire by companies which are the surveyor. Second, the surveyor needs to have good preliminary knowledg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urvey. On the other hand, text mining is an excellent way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surveys. Recently,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is steadily grown, and the enormous amount of text data has increased as Internet usage higher. Also, a technique to extract high-quality information from text data called Text Mining is improving. However, previous studies tend to focus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individual analytics techniques.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ology by combining several text mining techniques and has mainly three contributions. Firstly, able to extract information from text data without a preliminary design of the surveyor. Secondly, no need for prior knowledge to extract information. Lastly, this method provides quantitative sentiment score that can be used in decision-making.

다차원 텍스트 큐브를 이용한 호텔 리뷰 데이터의 다차원 키워드 검색 및 분석 (Multi-Dimensional Keyword Search and Analysis of Hotel Review Data Using Multi-Dimensional Text Cubes)

  • 김남수;이수안;조선화;김진호
    • 정보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63-73
    • /
    • 2014
  • 웹의 발달로 텍스트 등으로 이루어진 비정형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웹상에서 사용자들이 작성한 대부분의 비정형 데이터는 사용자의 주관이 담겨져 있어 이를 적절히 분석할 경우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관적인 관점 등의 아주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정형 텍스트 문서를 다양한 차원으로 분석하기 하는데 OLAP(온라인 분석 처리)의 다차원 데이터 큐브 기술을 활용한다. 다차원 데이터 큐브는 간단한 문자나 숫자 형태의 정형적인 데이터에 대해 다차원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었지만, 텍스트 문장으로 이루어진 비정형 데이터에 대해서는 활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다차원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텍스트 큐브 모델이 최근에 제안되었는데, 이 텍스트 큐브는 정보 검색에서 널리 사용하는 용어 빈도수(Term Frequency)와 역 인덱스(Inverted Index)를 측정값으로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다차원 분석을 지원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차원 텍스트 큐브를 활용하여 실제 서비스되고 있는 호텔 정보 공유 사이트의 리뷰 데이터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호텔 리뷰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텍스트 큐브를 생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차원 키워드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 중심의 의미있는 정보 검색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에 대해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온라인 상품 리뷰 추출을 통한 목적별 맞춤화 정보 도출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Extracting the Purpose-Specific Customized Information from Online Product Reviews based on Text Mining)

  • 김주영;김동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61
    • /
    • 2016
  • 개방, 공유, 참여를 특징으로 하는 웹 2.0 시대로 들어서면서 인터넷 사용자들의 데이터 생산 및 공유가 쉬워졌다. 이에 따른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함께 디지털 정보의 대부분인 비정형적 데이터(Unstructured Data)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정해진 형식 없이 자연어 형태로 만들어진 비정형 데이터 중, 특정 상품들에 대해 개인이 평가한 리뷰들은 해당 기업이나 해당 상품에 관심이 있는 잠재적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이다. 많은 양의 리뷰 데이터에서 상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데이터 수집, 저장, 전처리, 분석, 및 결론 도출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사용하여 텍스트 형식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 및 문서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정형화된 데이터 값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도출된 정형화된 리뷰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적용하여 목적에 맞게 맞춤화된 리뷰 정보를 도출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빈도 분석을 이용한 HTML 텍스트 추출 (HTML Text Extraction Using Frequency Analysis)

  • 김진환;김은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135-1143
    • /
    • 2021
  • 최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웹 크롤러를 이용한 텍스트 수집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태그와 텍스트로 복잡하게 구성된 웹 페이지에서 필요한 텍스트만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웹 크롤러에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본문이 포함된 HTML태그와 스타일 속성을 명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HTML태그와 스타일 속성을 명시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서 출현하는 텍스트의 빈도를 이용하여 본문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수집된 모든 웹 페이지의 DOM 트리에서 텍스트를 추출하여 텍스트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후, 출현 빈도가 높은 텍스트를 제외시킴으로써 본문을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기존 방법의 정확도 비교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텍스트 분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스팸 데이터 식별 방안 (Detecting Spam Data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ext Analysis)

  • 현윤진;김남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493-504
    • /
    • 2017
  • 최근 뉴스, 블로그,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방대한 양의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는 풍부한 정보 및 의견을 거의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 학계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분석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데이터의 유용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를 왜곡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스팸성 텍스트 데이터의 증가는 방대한 정보 가운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은 물론, 정보 자체 및 정보 제공 매체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원본 데이터로부터 스팸성 데이터를 식별하여 제거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 및 분석 결과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팸을 식별하기 위한 연구가 오피니언 스팸 탐지, 스팸 이메일 검출, 웹 스팸 탐지 등의 분야에서 매우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팸 식별을 위한 기존의 연구 동향을 자세히 소개하고, 블로그 정보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블로그의 스팸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Text Classification on Social Network Platforms Based on Deep Learning Models

  • YA, Chen;Tan, Juan;Hoekyung, J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9-16
    • /
    • 2023
  • The natural language on social network platforms has a certain front-to-back dependency in structure, and the direct conversion of Chinese text into a vector makes the dimensionality very high, thereby resulting in the low accuracy of existing text classific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s a deep learning model that combines a big data ultra-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DCNN) and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 (LSTM). The deep structure of UDCNN is used to extract the features of text vector classification. The LSTM stores historical information to extract the context dependency of long texts, and word embedding is introduced to convert the text into low-dimensional vectors.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the social network platforms Sogou corpus and the University HowNet Chinese corpu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mpared with CNN + rand, LSTM, and other models, the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hybrid model can effectively improve the accuracy of text class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