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hedral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1초

이온교환형 리튬망간산화물의 리튬이온 용출특성 및 전자상태 (Li+ Extraction Reactions with Ion-exchange type Lithium Manganese Oxide and Their Electronic Structures)

  • 김양수;정강섭;이재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860-864
    • /
    • 2002
  • $Li^{+}$ extraction reactions with ion-exchange type lithium manganese oxide in an aqueous phase were examined using chemical and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In the process of extraction reaction, the lithium manganese oxide showed a topotactic extraction of $Li^{+ }$ in the aqueous phase mainly through an ion-exchange mechanism, and the $Li^{+}$ extracted samples indicated a high selectivity and a large capacity for $Li^{+}$ . The electronic structures and chemical bonding properties were also studied using a discrete variational (DV)-X$\alpha$ molecular orbital method with cluster model of (Li$Mn_{12}$ $O_{40}$ )$^{27-}$ for tetrahedral sites and ($Li_{7}$ Mn $O_{38}$ )$^{3}$ for octahedral site in $Li_{1.33}$ $Mn_{1.67}$ / $O_{4}$ respectively. Li in the manganese oxides is highly ionized in both sites, but the net charge of Li was greater for tetrahedral sites than octahedral. These calculations suggest that the tetrahedral sites have higher $Li^{+}$ $H^{+}$ exchangeability than the octahedral sites, and are preferable for the selective adsorption for L $i^{+}$ ions.s.

3차원 벡터필드 탄젠트 곡선 계산을 위한 사면체 분해 방법 (A Tetrahedral Decomposition Method for Computing Tangent Curves of 3D Vector Fields)

  • 정일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75-58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벡터필드의 탄젠트 곡선을 계산하는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안한다. 탄젠트 곡선 상의 정확한 값을 구하지 못하고 단지 탄젠트 곡선의 근사치를 구하는 Runge-Kutta 같은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여기서 제안한 방법은 3D 사면체 도메인에서 벡터필드가 선형적으로 변한다는 가정하에 탄젠트 곡선 상의 정확한 값을 계산한다. 새로 제안한 방법은 벡터필드가 3D 사면체 도메인에서 선형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한다. 우선 이 방법은 3차원 벡터필드에서 육면체 셀을 5 또는 6개의 사면체 셀로 분해하는 것을 요구한다. 임계점은 각 사면체의 간단한 선형 시스템을 풀어서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전 사면체에서 계산된 탄젠트 곡선상의 점들을 기초로 다음 사면체에서 탄젠트 곡선상의 계속적인 점들을 생성함으로써 출구 점을 구한다. 탄젠트 곡선상의 점들은 각 사면체의 명시해에 의해서 계산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은 3D 벡터필드를 가시화하는데 정확한 위상을 마련한다.

옥트리 기반의 적응적 사면체 요소망구성 (Octree-Based Adaptive Tetrahedral Meshing)

  • 김철원;박석훈;최민규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5-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양질의 이면각을 가진 사면체로 물체 내부를 채우는 볼륨 요소망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실행시간이 빠르고 안정적이며 구현이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해 옥트리를 사용함으로써 물체 내부에서 표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사면체를 활용할 수 있다. 최소 이면각을 최대화하고 최대 이면각을 최소화하는 양질의 요소망을 얻기 위하여 옥트리의 인접 셀들 사이의 레벨 차이를 제한하며, 옥트리 및 요소망 생성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규 격자에서의 부호거리장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요소망 구성 방법은 유한요소법 기반의 변형체 시뮬레이션이나 사면체 기반의 유체 시뮬레이션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FVA 증착법에 의해 합성된 ta-C 박막의 구조 및 물성 제어 (The control of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etrahedral amorphous carbon films prepared by Filtered Vacuum Arc)

  • 이철승;신진국;김종국;이광렬;윤기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15
    • /
    • 2002
  • 진공 여과 음극 아크(Filtered Vacuum cathodic Arc, FVA) 증착법을 이용하여 초경질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tetrahedral amorphous carbon, ta-C)을 합성하였다. FVA 증착법은 이온화율이 높고, 치밀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증착에 적당한 이온 에너지를 갖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때의 카본 이온 에너지는 아크 소스의 조작만으로는 쉽게 조절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다양한 물성 조절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판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ta-C박막의 기계적 물성을 제어하였다. 기판의 바이어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물성 및 밀도는 바이어스 전압이 -100 V인 경우에 최대값을 보였다. 최대 경도값 및 밀도는 각각 55$\pm$3 GPa, 3.6$\pm$0.4 g/㎤로 이는 RF PACVD나 이온빔으로 증착되는 DLC의 3~5배에 이르는 값이다. 조성 및 구조 분석은 Raman spectroscopy와 NEXAFS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박막의 물성 변화는 박막내의 $sp^2$$sp^3$ 혼성결합 분율의 변화의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사면체 보간을 이용한 실시간 색역 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Color Gamut Mapping Using Tetrahedral Interpolation)

  • 김경석;권도형;이학성;한동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1호
    • /
    • pp.56-63
    • /
    • 2007
  • 색역 사상은 다양한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색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었으며 Digital TV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고속의 영상 신호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 색역 사상 또한 고속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실시간 색역 사상 방식에 사용되는 육면체 보간에 비해 사면체 보간이 좀 더 간단한 형태의 보간 연산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면체 보간 기법의 장점을 활용하여 고속 실시간 색역 사상을 위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하드웨어 구조는 색역 사상의 처리 속도 향상시키고, 하드웨어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Synthesis and M$\ddot{o}$ssabuer Spectroscopy Studies of $Nd_{1-x}Bi_xY_2Fe_5O_{12}$ Nano-Particles

  • Uhm, Young Rang;Lee, Jae-Gwang;Kim, Chul Su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5권1호
    • /
    • pp.16-18
    • /
    • 2000
  • The garnets $Nd_{1-x}Bi_xY_2Fe_5O_{12}$ ($\chi$=0.0, 0.25, 0.5, 0.75 and 1.0) have been studied by x-rays, electron microscopy, ferromagnetic resonance,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and Mossbauer spectroscopy, Ultra-fine polycrystalline cubic samples have been prepared by a melt-salt routed sol-gel method. The Mossbauer spectra consist of two sets of six-line patterns corresponding to $Fe^{3+}$ at the tetrahedral 24(d) and octahedral 16(a) sites. Magnetic hyperfine fields of $Nd_{0.5}Bi_{0.5}Y_2Fe_5O_{12}$ at 12 K are found to be 548 kOe (octahedral site) and 475 kOe (tetrahedral site), respectively, It is found that Debye temperatures for the tetrahedral and octahedral sites of $Nd_{0.75}Bi_{0.25}Y_2Fe_5O_{12}$ are $\theta_{tet}=436$ K and $\theta_{oct}=285$ K, respectively, The iron ions at both sites are highly covalent ferric. The Nel temperature decreases linearly with Bi concentration, from 630 K fur $\chi$=0.0 to 600 K for $\chi$=1.0, suggesting that the superexchange interaction for the Nd-O-Fe link is stronger than that for the Bi-O-Fe link. As a consequence, the coercivity of $Nd_{1-x}Bi_xY_2Fe_5O_{12}$ drastically decreases and the magnetization remains almost constant as x increases.

  • PDF

다구찌 강건 설계를 통한 자장 여과 아크 소스로 증착된 사면체 비정질 탄소막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etrahedral amorphous carbon (ta-C) film deposited with filtered cathodic vacuum arc through Taguchi robust design)

  • 곽승윤;장영준;류호준;김지수;김종국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3-61
    • /
    • 2021
  • The properties of tetrahedral amorphous Carbon (ta-C) film can be determined by multiple parameters and comprehensive effects of those parameters during a deposition process with filtered cathodic vacuum arc (FCVA). In this study, Taguchi method was adopted to design the optimized FCVA deposition process of ta-C for improving deposi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eposited ta-C thin film. The influence and contribution of variables, such as arc current, substrate bias voltage, frequency, and duty cycle, on the properties of ta-C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deposition efficiency and mechanical properties. It was revealed that the deposition rate was linearly increased following the increasing arc current (around 10 nm/min @ 60 A and 17 nm/min @ 100A). The hardness and ID/IG showed a correlation with substrate bias voltage (over 30 GPa @ 50 V and under 30 GPa @ 250 V). The scratch tests were conducted to specify the effect of each parameter on the resistance to plastic deformation of films. The analysis on variances showed that the arc current and substrate bias voltage were the most effective controlling parameters influencing properties of ta-C films. The optimized parameters were extracted for the target application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i-Cr-Mo계 및 Ti-Cr-V계 bcc 합금의 수소저장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torage in Ti-Cr-Mo and Ti-Cr-V bcc Alloys)

  • 유정현;조성욱;박충년;최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22-129
    • /
    • 2005
  •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torage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Ti-Cr-Mo and Ti-Cr-V ternary alloys with bcc structure. The alloys were melted by arc furnace and remelted 4-5 times for homogeneity. The lattice parameters, microstructures and phases of the alloys were examined by SEM, EDX and XRD, and the Pressure-Composition isotherms of the alloys were measured. From these data the relationship of the maximum and effectiv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vs. chemical composition, lattice parameter and the radius of tetrahedral site we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se alloy, in the range of the this study, had mainly bcc solid solutions with small amount of Ti segregation due to a lower melting point of Ti compared with other elements. Lattice parameters of the alloys were very near to the atomic average values of lattice parameter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t was also found that maximum hydrogen storage capacities of the Ti-Cr-Mo alloys increased with increasing Ti content and the radius of tetrahedral site but the effectiv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decreased after showing the maximum. Th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of the Ti-Cr-V alloys were almost same even though the V contens were quite different from alloy to alloy and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almost same Ti/Cr ratio of the alloys. The maximum effective hydrogen storage capacity of the Ti-Cr-Mo alloys was revealed at Ti content of about 40${\sim}$50 at% and radius of tetrahedral site of 0.43${\sim}$0.45 nm. The Ti-Cr-V alloys showed th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of 3.0 wt% and effective hydrogen storage capacities of 1.5 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