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udin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5초

Relationship between the nucleolar cycle and chromatoid body formation in the spermatogenesis of $Phrynops$ $geoffroanus$ (Reptilia Testudines)

  • Peruquetti, Rita L.;Taboga, Sebastiao R.;Cabral, Silvia R.;De Oliveira, Classius;Azeredo-Oliveira, Maria T.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104-113
    • /
    • 2012
  • The nucleolus is a distinct nuclear territory involved in the compartmentalization of nuclear functions. There is some 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nuclear fragmentation during spermatogenesis and chromatoid body (CB) formation. The CB is a typical cytoplasmic organelle of haploid germ cells, and is involved in RNA and protein accumulation for later germ-cell differenti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escribe the nucleolar cycle during the spermatogenesis of $Phrynops$ $geoffroanus$ (Reptilia Testudines), and compare this nucleolar fragmentation with CB formation in this species through the use of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 fragmentation of the nuclear material after pachytene of the first meiotic division in the primary spermatocytes.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nucleolar cycl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nucleoli and in the size of the nucleolus between spermatogonia and early spermatids. Using ultrastructural analysis, we recorded the beginning of the CB formation process in the cytoplasm of primary spermatocytes at the same time as when nuclear fragmentation occurs. In the cytoplasm of primary spermatocytes, the CB was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mitochondrial aggregates and the Golgi complex. In the cytoplasm of early spermatids, the CB was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lipid droplets. In conclusion, our data show that the nucleolus plays a role in the CB formation process. During spermatogenesis of $P.$ $geoffroanus$, the CB is involved in some important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acrosome formation and mitochondrial migration to the spermatozoon tail and middle piece region.

한국 내 멸종위기종 남생이 Mauremys reevesii Gray 1831 (Reptilia; Testudines; Geoemydidae)의 집단 서식 및 서식지 현황 보고 (Report on the Large Population and Habitat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Mauremys reevesii Gray 1831 (Reptilia; Testudines; Geoemydidae) in South Korea)

  • 구교성;장환진;김대인;김수환;백혜준;성하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2-40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자 천연기념물(453호)인 한국산 남생이 Mauremys reevesii가 집단으로 발견된 경북 경주시 내 저수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서식지 내에서 남생이의 생존에 직 간접으로 위협이 되는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남생이가 집단으로 발견된 지역은 농업용으로 관리 중인 저수지이다. 서식지 주변에는 수몰나무 지대, 석축, 산림, 갈대밭, 농경지(논)가 형성되어 있었다. 저수지 내 모든 남생이들은 저수지 북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몰나무지에서만 발견되었다. 2018년 5월 10일과 8월 9일에 걸친 현지 조사에서 발견된 남생이의 수는 각각 28 개체와 21 개체였다. 남생이에게 위협이 되는 붉은귀거북과 황소개구리가 서식지 주변에서 다수 발견되었다. 문화재 발굴 작업, 화학 비료 그리고 생활 쓰레기가 저수지 곳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남생이에게 큰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당해 연도 태어난 개체들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아성체들이 다수 발견된 것을 고려하면 자연 번식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경쟁종인 붉은귀거북의 아성체 역시 발견되었기 때문에 남생이에게는 지속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남생이 개체군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서식지 내 보전 방법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법정관리종 지정 및 수거 제도가 외래종 늑대거북 유기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legal designation and collection system on the abandonment and surrender of non-native common snapping turtle(Chelydra serpentina) in South Korea)

  • 박은진;강하경;김철훈;임종윤;장이권;구교성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46-53
    • /
    • 2024
  • 북미 지역이 원산지인 늑대거북(Chelydra serpentina)은 1990년대부터 한국에 수입되었다. 늑대거북은 전국의 대형마트와 펫샵에서 약 20달러 정도의 낮은 가격으로 팔렸다. 이후 큰 크기에 강력한 포식자인 늑대거북은 2014년부터 야생에서 발견되기 시작했으며, 2022년 10월 생태계교란생물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3년 6월 30일까지는 늑대거북의 생태계교란종 지정에 따른 유기를 줄이기 위해 수거 시스템을 운영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태계교란종에 대한 법적관리종 지정과 수거 시스템이 늑대거북의 유기와 사육 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계교란종 지정은 늑대거북의 유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사육 포기 사례는 수거 시스템 운영 직후부터 확인되었다. 늑대거북의 41.8%는 구입 후 3년 내 그리고 67.5%는 3 kg이 되기 전에 사육 포기되었다. 생태계교란종 지정이 늑대거북의 유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과는 아마도 수생거북의 특성상 개체 파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작용했을 것이다. 반면, 수거 시스템은 자연으로 유기될 수 있는 늑대거북의 상당수를 회수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추후 새롭게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하는 외래종에게도 수거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야생으로의 유기를 제한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